자료게시판
(쥔장이 쓰는 칼럼입니다)
Total article
75 :
1
page / total
3
page
Login
Join
Subject :
민간연구소에서 전국민 기본소득제에 관한 청사진이 나왔네요. 완벽합니다.
(Homepage)
|
Point : 71442
|
2019-11-13 09:00:09
|
Read : 974
|
Vote : 62
-
SiteLink #1
:
http://m.hankookilbo.com/News/Read/201910281742773408?did=NT&dtype=1&dtypecode=4965&prnewsid=201910281560361711&backAd=1
<div>기존의 청년수당, 기초연금, 최저임금 인상 같은 복지제도는 세대간/업종간 너무 형평성이 떨어지는데다가 투명하지 못하고 선별비용이 많이 들면서 최저임금 같으면 부작용도 너무 커서 수혜자 입장에서도 혜택을 받기가 쉽지 않았는데 그런 제도의 문제점을 완벽히 꿰뚫고 예산을 통폐합해 모두가 원하는 기본소득 제도의 청사진을 제시한 연구소의 발표가 있어 주목됩니다. 2년 안에 전국민 월 30만원 지급 기본소득이 가능하다네요. ㅡ_ㅡ<br><br>진짜 예산이 어디로 들어가는지 쥐도새도 모르게 과다 지출돼 왔던 저출산 정책을 비롯한 복지 관련 예산을 모두 정비한 후 이 제도를 시행하면 고질적인 저출산, 고령화, 청년실업, 최저임금 문제까지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반을 제공할 거라는 확신이 드네요.<br></div><div><br></div><div>단 청년들 포함 국민들로 하여금 추가 소득을 유인하기 위해, 즐겁게 일할 수 있는 풍토 조성과 건강하고 의미있는 활동을 하게 하기 위한 여러가지 제반 조치들도 아울러 꼼꼼이 마련되었으면 좋겠습니다.</div> =========================================================<br><br> <p>민간연구소 LAB2050, 2021년 기본소득제 제안… “빈곤 감소, 경제 활력 효과”</p><figure class="story-media"><div class="photo"><div align=left><img name=zb_target_resize src="../images/baseIncome/201910281742773408_5.jpg"></div></div><figcaption class="caption"><span>김용 경기도 대변인이 지난 4월 2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span></figcaption></figure><p>한 민간연구소가 기존의 소득공제ㆍ세액공제를 대부분 폐지하고 아동수당과 기초연금을 없애는 대신 전국민에게 월 30만원 이상의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방식의 ‘국민기본소득제’를 제안했다. 최근 서울시가 미취업 청년수당 대상자를 4배로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발표하고 정치권과 지자체에선 ‘농민기본소득제’가 대두되는 등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제안이어서 주목된다.</p><p><br></p><p>민간연구소 LAB2050은 28일 서울 종로구 대학로 공공그라운드에서 ‘국민기본소득제: 2012년부터 재정적으로 실현 가능한 모델 제안’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이 제안한 국민기본소득제는 아동, 노인을 포함한 대한민국 모든 개인에게 월 30만~65만원을 지급하는 방안이다. 구체적으로 2021년부터 월 30만원을 지급하는 방안과 2028년부터 월 65만원(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 기준)을 지급하는 방안까지 총 6개 모델을 내놓았다. 올해 3월 통계청이 발표한 장기인구특별추계에 따라 인구수를 추산해 보면 필요한 예산은 최소 187조원에서 최대 405조원 정도다.</p><p><br></p><p>기본소득제란 저소득층, 아동, 청년, 다문화가정 등 다양한 소외계층에게 자격을 선별해 복지 혜택을 주는 ‘선별적 복지’를 폐지하는 대신 일정한 생계비를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제도를 말한다. <b>수혜자 선별에 들어가는 행정비용도 줄어들고 실업이나 재난에 대비한 안전망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막대한 재원 때문에 ‘이상론’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았다.</b></p><figure class="story-media"><div class="photo"><div align=left><img name=zb_target_resize src="../images/baseIncome/201910281742773408_6.jpg"></div></div><figcaption class="caption"><span>[저작권 한국일보]부부 합산 연소득. 신동준 기자</span></figcaption></figure><p>이 번에 나온 제안은 해외에서 논의되는 ‘환경세’ ‘구글세’ 등 신종 세금을 도입하는 방식이 아니라 현재 세제를 손보고 아동수당과 기초연금을 폐지하는 등 ‘2년 안에 가능한’ 방식으로 재원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원재 LAB2050 대표는 <b>“한국은 소득세에 대한 비과세 감면 항목이 너무 많아 세제가 지나치게 복잡하고 소득세의 명목세율과 실효세율에 큰 차이가 있다”면서 “세제를 단순화하는 것만으로도 56조원의 기본소득 재원이 생긴다”</b>고 주장했다. 동시에 연소득 4,700만원(세전)이하인 개인은 기존보다 소득이 늘어나도록 소득세 명목세율을 2~3%포인트 낮추는 쪽으로 설계했다.</p><p><br></p><p>연소득 4,700만원이 넘어도 모두가 전보다 소득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가구원 전원에게 기본소득이 지급되기 때문에 고소득 1인가구가 아닌 이상 대부분 가구의 총 소득은 오히려 늘어난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1억원인 외벌이 4인가구(자녀 2명 포함)가 월 30만원의 기본소득을 받는 경우, 소득세 비과세 감면혜택을 받지 못해 현재보다 연 700만원의 세금을 더 내야 하지만, 배우자와 자녀 2인에게 연 360만원씩이 지급되므로 가구소득 총액은 오히려 350만원 가량 늘게 된다.</p><p><br></p><p>이 대표는 기본소득제 도입이 ‘플랫폼 노동’이 횡행하는 등 불안정한 노동시장에서 사회안전망을 제공해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b>“청년들이 공무원 시험만 보려 하고 자영업자가 몰락하는 등 경제 활력이 크게 떨어졌다”며 “최소생계가 보장된다면 민간소비가 늘고 새로운 경제활동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b>이라고 말했다.</p><p><br></p><p>최진주 기자 pariscom@hankookilbo.com</p>
Tweet
216.73.216.253
http://blrun.net/
http://www.ntzn.net/
http://www.blrun.net/eight
http://삼성산뜨란채.kr
1.
:::
아래 경기도청에서 주최한 "2019 대한민국 기본소득 박람회" 관련 동영상 링크가 있네요. 저도 방금 구글에서 찾아 알아낸 건데 관심있는 분들은 함 보십시요.<br /> <br /> <a href=https://bit.ly/2QXqPqT target=_blank>https://bit.ly/2QXqPqT</a>
[bitly]
2019-11-28 06:47:29
2.
:::
중앙부처, 지차체 각 부처의 예산 써버리기 관행도 문제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산을 나눠주는 부처에서 각 부처로 하달하기를 주는 예산을 다 쓰지 않으면 다음 해 예산을 깎는다는 방침을 정하니 각 부처는 필요도 없는 곳에 예산을 막 낭비하고 결국 정작 요긴하게 쓰여져할 할 복지 예산을 더 마련하려면 별도로 예산을 더 늘려잡아 똑같은 비율로 더 확보해야 하는 일이 매해 반복되고 있습니다. 제가 오랫동안 관공서 예산 배정과 집행 실태를 관찰해 보니 이렇더라구요. 이런 데에 낭비하는 예산만 확보해도 이재명 지사가 추진하는 전국민 기본소득이 저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복지예산도 낭비 없이 적시적소에 쓰여져야 하지만 앞으로 기본소득이 이슈라고 한다면 이런 폐해를 범정부적으로 개혁해서 걸림돌이 되는 것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br /> <br /> 이게 개혁되지 않으니까 문재인 정부가 그런 것처럼 나라 예산은 매해 큰 폭으로 늘려잡지만 복지예산은 맨날 부족해서 기본소득 못한다는 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겠죠. ㅡ_ㅡ
[bitly]
2020-02-15 18:10:35
3.
:::
<a href=https://youtu.be/HDeWSmBq5Gc target=_blank>https://youtu.be/HDeWSmBq5Gc</a><br /> <br /> 이 유튜브를 보면 아시겠지만 사회보장제도 중 의료보험제도는 어차피 우리가 납부하는 보험료로 조성되는 기금 성격이기 때문에 그걸 폐기하면서 기본소득제도를 마련한다는 가정은 잘못된 것 같구요 "기본소득" 과 "수당" 의 차이점을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공감을 했습니다.<br /> <br /> 분명 기본소득은 전국민에게 지급하는 개념으로 출발했는데 유튜브에 나왔듯이 지금까지 일부 정치인들이 그 제도를 극히 일부 대상에 도입하면서 그 의미를 변질시킨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기본소득은 세수입 안에서 시행하면 금액이 많아도 아무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단 기본소득이 세수입을 증대시키는데 문제가 없도록 지출(소비)->세수입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고 이 기본소득 때문에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일이 없게 국민들이 기본소득 외에 추가적인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가지 유인책과 실업대책들을 꼼꼼이 마련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br /> <br /> 또 기본소득은 기존 복지제도를 축소한다는 표현보다는 기존 제도가 갖고 있는 선별비용 및 비리, 복지 사각지대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던 것을 재정비한다는 의미에 훨씬 가깝고 예를 들어 기초수급자 등 가족 세대인 경우는 명수대로 기본소득이 지급될 것이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오히려 혜택은 더 늘어나지 않을까 싶네요)<br /> <br /> 참고 - <a href=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select_arrange=headnum&desc=asc&page_num=25&selected=&exec=&sn=off&ss=on&sc=on&sm=on&category=&keyword=%EA%B8%B0%EB%B3%B8%EC%86%8C%EB%93%9D&x=0&y=0 target=_blank>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select_arrange=headnum&desc=asc&page_num=25&selected=&exec=&sn=off&ss=on&sc=on&sm=on&category=&keyword=%EA%B8%B0%EB%B3%B8%EC%86%8C%EB%93%9D&x=0&y=0</a>
[bitly]
2020-03-12 06:39:10
4.
:::
아래는 LAB2050 대표가 설명하는 2021년 당장 시행할 수 있는 월30만원 기본소득제에 관한 유튜브 영상입니다. 본문의 내용을 잘 설명해 주고 있는 동영상인데요 한번쯤 시청해 보시면 이해가 빠를 겁니다.<br /> =========================================================================<br /> <br /> <iframe width="800" height="450" src="https://www.youtube.com/embed/HsXWEMr-ays"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bitly]
2021-02-12 20:06:36
5.
:::
말대로 현실 가능하게 만들어서 정부일 해주셨으면 감사할듯 ㅎ
설지운
[bitly]
2021-02-13 12:39:32
익명덧글쓰기 코드입력:
[HOME]
[bitly]
Copyright 1999-2025
Zeroboard
/ skin by
pooh長
서울 관악구 호암로 399, 308동 403호 TEL: 02-883-5482
CopyRight©
Y.C.Lee
All Rights Reserved. Since 2007.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