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 2008 - 2025 blrunWed, 29 Oct 2025 05:34:21 +0900 Wed, 29 Oct 2025 05:34:21 +0900 네티즌칼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우리 국민 모두가 주인인 세상, 우리 네티즌 모두가 참여하는 진정한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해 나갑시다. 이곳은 이런 모토에 관심있는 분들, 또 거기에 열성적으로 뜻을 같이할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https://run.blrun.net/ 네티즌 세상을 위하여... https://run.blrun.net/rss/banner1.jpg 네티즌 세상을 위하여... https://run.blrun.net/ 141 197 안녕하세요 이윤찬입니다. 신뢰가 넘치는 네트워크 세상, 우리 네티즌들이 만들어나가야 합니다. blrun39@hanafos.com blrun39@hanafos.comko 이윤찬 - 챗GPT 예약 스케줄 답변이 종전 프롬프트로 물어봤을 때 생성되는 답변이랑 질적 차이가 많이 나네요. 다음을 보십시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7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hat1/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10월_22일부터_2025년_10월_26일_오후_6시_0분까지.rar">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10월_22일부터_2025년_10월_26일_오후_6시_0분까지.rar</a><br /><br />보시면 알겠지만 예약 스케줄에 따라 생성된 챗GPT-Thinking 자동 답변은 대부분의 상세 해설이 빠지고 법안들도 빠진 부실한 답변이 생성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두번째 질의와 답변 보시면 알겠지만 챗GPT-Thinking은 민주당 주도 국회 통과 법안 선정 6건이 오늘 10월 26일에 국회에서 통과된 법률이 대거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데이타를 수집해 알려주지 않고 있습니다. 세번째 질의와 답변에서 챗GPT-o3는 오늘 10월 26일에 국회에서 통과된 법률이 굉장히 많았는데 거기서 몇가지를 추려서 답변을 생성한 걸 볼 수 있습니다. 최신 내용에 대한 답변은 챗GPT-Thinking의 성능이 살짝 아쉽네요. 여러분도 아래 내용을 보시니 살짝 이 3개 질의와 답변이 구분되시죠?<br><br> 아래 답변 내용 중 민주당 주도로 통과됐다는 “근로자의 날” 을 “노동절” 로 바꿔부르기로 한 법률은 사실 부정 평가가 맞네요. 용어 선정이 중요한게 아니라 거기 나온대로 실효책 마련이 더 중요한 건데 단순 용어를 달리 부르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좀 의문입니다. 이게 오늘 이재명 정부 국정을 정리하고 난 소감입니다. 버전별 상황별 챗GPT의 성능 포함해서요.<br> ㅡ_ㅡ;<br> =============================================================<br><br><b><font color="#990000">[챗GPT-5 Thinking 스케줄 자동 답변]<br></font></b><a href="https://chatgpt.com/g/g-p-67646be16da48191bf951ee84165a4be-sisa-gwanryeon/shared/c/68bde871-1b08-832b-b0fb-4af79efd4b39?owner_user_id=user-kmd4IjaRhp6C1oHdkH2IoBuS" target="_blank">https://chatgpt.com/g/g-p-67646be16da48191bf951ee84165a4be-sisa-gwanryeon/shared/c/68bde871-1b08-832b-b0fb-4af79efd4b39?owner_user_id=user-kmd4IjaRhp6C1oHdkH2IoBuS</a><br><h3 data-start="95" data-end="153">[4일 주기 업데이트] 2025‑10‑22 04:30 ~ 2025‑10‑26 04:30 KST</h3> <ol data-start="154" data-end="174"> <li data-start="154" data-end="174"> <p data-start="157" data-end="174">주요 인사(임명·전보·청문)</p> </li> </ol> <ul data-start="175" data-end="209"> <li data-start="175" data-end="209"> <p data-start="177" data-end="209">금주 검색 결과 내에서 <strong data-start="190" data-end="206">新공식 인사 발표 없음</strong>.</p> </li> </ul> <ol start="2" data-start="211" data-end="237"> <li data-start="211" data-end="237"> <p data-start="214" data-end="237">국무회의 심의·의결 및 대통령실 브리핑</p> </li> </ol> <ul data-start="238" data-end="489"> <li data-start="238" data-end="424"> <p data-start="240" data-end="369">2025‑09‑30 이재명 대통령 주재 제44회 국무회의: 법률공포안 4건·법률안 11건·대통령령안 16건·일반안건 4건 의결. 시스템 정상화·물가 안정 지시. <span class="" data-state="closed"><span class="ms-1 inline-flex max-w-full items-center relative top-[-0.094rem] animate-[show_150ms_ease-in]" data-testid="webpage-citation-pill"><a href="https://www.president.go.kr/newsroom/briefing/M3DZbbwp?utm_source=chatgpt.com" target="_blank" rel="noopener" alt="https://www.president.go.kr/newsroom/briefing/M3DZbbwp?utm_source=chatgpt.com" class="flex h-4.5 overflow-hidden rounded-xl px-2 text-[9px]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150 ease-in-out text-token-text-secondary! bg-[#F4F4F4]! dark:bg-[#303030]!"><span class="relative start-0 bottom-0 flex h-full w-full items-center">대한민국 대통령실</span></a></span></span></p> <blockquote data-start="372" data-end="424"> <p data-start="374" data-end="424">(참고: 본 회의 시점이 이번 구간 직전이지만, 신규 언급 가능한 공식 발표로 확인됨)</p> </blockquote> </li> <li data-start="425" data-end="489"> <p data-start="427" data-end="489">대통령실 공식 홈페이지 최신 공지 있음. <span class="" data-state="closed"><span class="ms-1 inline-flex max-w-full items-center relative top-[-0.094rem] animate-[show_150ms_ease-in]" data-testid="webpage-citation-pill"><a href="https://www.president.go.kr/?utm_source=chatgpt.com" target="_blank" rel="noopener" alt="https://www.president.go.kr/?utm_source=chatgpt.com" class="flex h-4.5 overflow-hidden rounded-xl px-2 text-[9px]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150 ease-in-out text-token-text-secondary! bg-[#F4F4F4]! dark:bg-[#303030]!"><span class="relative start-0 bottom-0 flex h-full w-full items-center">대한민국 대통령실</span></a></span></span></p> </li> </ul> <ol start="3" data-start="491" data-end="526"> <li data-start="491" data-end="526"> <p data-start="494" data-end="526">각 부처 보도자료·고시·참고자료(원문 링크/첨부 포함)</p> </li> </ol> <ul data-start="527" data-end="840"> <li data-start="527" data-end="624"> <p data-start="529" data-end="624">2025‑10‑25 외교부: 동남아 공관장 화상회의 개최,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대응 강화. <span class="" data-state="closed"><span class="ms-1 inline-flex max-w-full items-center relative top-[-0.094rem] animate-[show_150ms_ease-in]" data-testid="webpage-citation-pill"><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target="_blank" rel="noopener" alt="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class="flex h-4.5 overflow-hidden rounded-xl px-2 text-[9px]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150 ease-in-out text-token-text-secondary! bg-[#F4F4F4]! dark:bg-[#303030]!"><span class="relative start-0 bottom-0 flex h-full w-full items-center">korea.kr</span></a></span></span></p> </li> <li data-start="625" data-end="744"> <p data-start="627" data-end="744">2025‑10‑24 국무조정실: 제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개최, “K‑푸드 글로벌 수출 및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논의. <span class="" data-state="closed"><span class="ms-1 inline-flex max-w-full items-center relative top-[-0.094rem] animate-[show_150ms_ease-in]" data-testid="webpage-citation-pill"><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target="_blank" rel="noopener" alt="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class="flex h-4.5 overflow-hidden rounded-xl px-2 text-[9px]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150 ease-in-out text-token-text-secondary! bg-[#F4F4F4]! dark:bg-[#303030]!"><span class="relative start-0 bottom-0 flex h-full w-full items-center">korea.kr</span></a></span></span></p> </li> <li data-start="745" data-end="840"> <p data-start="747" data-end="840">다수 부처(문체부·행안부·산림청 등): 규제혁신·안전문화 캠페인 등 보도자료 다수(10/24). <span class="" data-state="closed"><span class="ms-1 inline-flex max-w-full items-center relative top-[-0.094rem] animate-[show_150ms_ease-in]" data-testid="webpage-citation-pill"><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target="_blank" rel="noopener" alt="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class="flex h-4.5 overflow-hidden rounded-xl px-2 text-[9px] font-medium transition-colors duration-150 ease-in-out text-token-text-secondary! bg-[#F4F4F4]! dark:bg-[#303030]!"><span class="relative start-0 bottom-0 flex h-full w-full items-center">korea.kr</span></a></span></span></p> </li> </ul> <ol start="4" data-start="842" data-end="902"> <li data-start="842" data-end="902"> <p data-start="845" data-end="902">민주당 주도 본회의 통과 법률 중 국익·국민 정서 기준으로 긍정 4·부정 2 선정(짧은 이유 포함)</p> </li> </ol> <ul data-start="903" data-end="962"> <li data-start="903" data-end="962"> <p data-start="905" data-end="962">이번 구간에 <strong data-start="912" data-end="939">국회 본회의 가결된 주요 법률 확인 안 됨</strong> → 따라서 <strong data-start="946" data-end="961">직전 구간 자료 유지</strong>.</p> </li> </ul> <hr data-start="964" data-end="967"> <h3 data-start="969" data-end="1006">[영문 약어(Full Spelling·한글 정의·예시)]</h3> <ul data-start="1007" data-end="1227"> <li data-start="1007" data-end="1114"> <p data-start="1009" data-end="1114"><strong data-start="1009" data-end="1047">AI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strong>: 기계가 인간과 유사한 학습·판단 기능을 갖추는 기술. <em data-start="1079" data-end="1112">예: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발표.</em></p> </li> <li data-start="1115" data-end="1227"> <p data-start="1117" data-end="1227"><strong data-start="1117" data-end="1142">K‑푸드 (K‑Food, 한국식 식품)</strong>: 한국의 식문화·식품산업이 세계로 확산되는 전략 브랜드. <em data-start="1175" data-end="1225">예: 제5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K‑푸드 글로벌 수출 150억 달러” 목표 논의.</em></p> </li> </ul> <hr data-start="1229" data-end="1232"> <p data-start="1234" data-end="1256">업데이트 내용만 위와 같이 반영했습니다.</p><br><b> 공유링크 -</b> <a href="https://chatgpt.com/share/68fe07e2-8f0c-8009-8a30-3da495969c34"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fe07e2-8f0c-8009-8a30-3da495969c34</a><br><span style="font-size: 13.3333px;">=============================================================</span><br><br><b><font color="#990000"> [챗GPT-5 Thinking 으로 종전 프롬프트를 사용해서 답변 받음]</font></b><br> <div style="font-family: 굴림; font-style: normal; font-size: 13.3333px; word-spacing: 0px; letter-spacing: normal;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ine-height: 18.6667px; margin: 2px 1px 0px; orphans: 2; widows: 2; font-variant-ligatures: normal; font-variant-caps: normal; text-align: start; -webkit-text-stroke-width: 0px; white-space: normal; text-decoration-thickness: initial; text-decoration-style: initial; text-decoration-color: initial;"> <p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좋아.<span>&nbsp;</span><strong>기준 시각: 2025-10-22(수) 04:30 KST 이후 ~ 2025-10-26(일) 19:00 KST</strong>.<br>아래는 정부 공식 포털·각 부처 보도자료·국무회의 브리핑에 올라온 공개자료를 토대로 정리한 거야.</p>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1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① 국무회의 의결/공포(제46회, 10-21 개최 · 10-22 공개)</h1> <ul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산불특별법 공포안</strong>: 산불 대응·복구 체계 강화(대통령 재가 공포).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문신사법(문신사 제도화) 공포안</strong>: 합법적 문신업 제도 도입(자격·관리 근거).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영사조력법 시행령 개정안</strong>: 재외국민 긴급보호 체계 보강.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보험업·대리점 규제 합리화</strong>: 1인이 여러 보험대리점 겸영 허용 등(소비자보호 장치 병행 필요).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자본시장 감시 고도화</strong>: 불공정거래 적발 위해 가명정보를 활용한 시장감시 근거 정비.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ul> <blockquote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위 5건은 10-22에 공개된<span>&nbsp;</span><strong>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strong><span>&nbsp;</span>문서에서 확인됨.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blockquote>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1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② 각 부처 보도자료(10-22 ~ 10-26 사이 공개·시행)</h1> <ul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보건복지부: 소관 법률안 22건, 10-26 국회 본회의 통과</strong>(응급·정신건강·아동·노인·장애 등 복지·보건 전반 정비 패키지). 세부 목록은 복지부 보도자료 첨부문서에 수록. (<a href="https://www.mohw.go.kr/board.es?act=view&amp;bid=0027&amp;list_no=1487692&amp;mid=a10503000000" title="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lt; 보도자료 &lt; 알림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target="_blank">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기상청/과기정통계 등: 「기후변화감시예측법」 개정안 국회 통과</strong>—관측·예측 인프라 고도화 법적 기반. (<a href="https://www.korea.kr/common/docViewer.do?fileId=198226993&amp;tblKey=GMN" title="Document Viewer"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농식품부: 김장철 배추 수급 안정 총력 대응</strong>—산지 단속·비축 물량·공급대책.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722300&amp;pWise=sub&amp;pWiseSub=C4" title="농식품부, 김장배추 생산·공급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 - 보도자료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행안부: 중앙·지자체 ‘공직기강 특별점검’ 착수</strong>—근무기강·복무 점검 강화.</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기재부: 10-24자 본부 인사(전보·명예퇴직 등) 발표</strong>.</p> </li> </ul> <blockquote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참고: 10-26 본회의는 여야 이견이 적은<span>&nbsp;</span><strong>비쟁점 민생법안 다수 처리</strong>가 예고·보도됐고, 이 중 최소한<span>&nbsp;</span><strong>복지부 22건</strong>과<span>&nbsp;</span><strong>기후변화감시예측법 개정</strong><span>&nbsp;</span>통과가 정부 자료로 공식 확인됨. (<a href="https://www.mohw.go.kr/board.es?act=view&amp;bid=0027&amp;list_no=1487692&amp;mid=a10503000000" title="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lt; 보도자료 &lt; 알림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target="_blank">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a>)</p> </blockquote>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1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③ “민주당이 만든 법” 중<span>&nbsp;</span><strong>본회의 의결된 법안 6가지(위주)</strong></h1> <p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공식 확인된 범위 안에서 선별했어. (긍·부정 평가는<span>&nbsp;</span><strong>국익·국민정서 기준의 해설</strong>)</p> <h2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긍정 4</h2> <ol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기후변화감시예측법 개정안 통과</strong></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국가 차원의 관측·예측 체계·데이터 연계 강화로 재난·농업·보건 등 전 부문 리스크 관리에 도움. (<a href="https://www.korea.kr/common/docViewer.do?fileId=198226993&amp;tblKey=GMN" title="Document Viewer"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ul>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복지·보건 법률 22건 패키지 통과(묶음)</strong></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응급의료, 정신건강, 아동·노인·장애인 지원 등 제도 정비가 한꺼번에 이뤄져 현장 집행성↑(세부는 복지부 첨부 참조). (<a href="https://www.mohw.go.kr/board.es?act=view&amp;bid=0027&amp;list_no=1487692&amp;mid=a10503000000" title="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lt; 보도자료 &lt; 알림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target="_blank">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a>)</p> </li> </ul>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복지 패키지 중 ‘응급·재난의료 체계 보강’ 관련 개정들</strong><span>&nbsp;</span><em>(패키지 일부)</em></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골든타임 확보·이송 체계 개선 등으로 체감 민생효과 기대. (<a href="https://www.mohw.go.kr/board.es?act=view&amp;bid=0027&amp;list_no=1487692&amp;mid=a10503000000" title="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lt; 보도자료 &lt; 알림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target="_blank">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a>)</p> </li> </ul>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복지 패키지 중 ‘정신건강·아동보호’ 강화 개정들</strong><span>&nbsp;</span><em>(패키지 일부)</em></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취약계층 보호·조기개입 근거 확대로 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 (<a href="https://www.mohw.go.kr/board.es?act=view&amp;bid=0027&amp;list_no=1487692&amp;mid=a10503000000" title="보건복지부 소관 22개 법률안 10월 26일 국회 본회의 통과 &lt; 보도자료 &lt; 알림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target="_blank">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a>)</p> </li> </ul> </li> </ol> <h2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부정 2<span>&nbsp;</span><em>(쟁점·우려 포인트 중심)</em></h2> <ol start="5"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국무회의 통과안 중 ‘자본시장 감시 위한 가명정보 범위 확대’</strong></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시장질서 확립 취지는 타당하나,<span>&nbsp;</span><strong>개인정보 보호·감시권 남용 우려</strong>가 병존(후속 통제장치·감사 체계 필요).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ul>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국무회의 통과안 중 ‘보험대리점 겸영 확대’</strong></p> <ul>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경쟁·접근성은 좋아질 수 있으나,<span>&nbsp;</span><strong>불완전판매·책임소재 희석</strong><span>&nbsp;</span>가능성 존재(설명의무·내부통제 강화 필요).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국무회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li> </ul> </li> </ol> <blockquote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주의: ⑤·⑥은<span>&nbsp;</span><strong>본회의 의결</strong>이 아니라 **국무회의 의결(시행령·제도 개편)**이어서, 너가 요구한 “본회의 위주” 6건을 엄밀히 모두 본회의로만 채우려면<span>&nbsp;</span><strong>국회 의안정보시스템의 10-26 본회의 처리목록</strong><span>&nbsp;</span>전체 공개를 더 확인해야 한다. 현재 정부 공식 보도자료로 즉시 확인되는 본회의 통과분은<span>&nbsp;</span><strong>「기후변화감시예측법」 개정</strong>과<span>&nbsp;</span><strong>복지부 소관 22건 패키지</strong>가 확실하다. (<a href="https://www.korea.kr/common/docViewer.do?fileId=198226993&amp;tblKey=GMN" title="Document Viewer" target="_blank">정책브리핑</a>)</p> </blockquote>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2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메모 (투명성)</h2> <ul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네가 요구한 “컷오프 이후 업데이트”는 위 기간 내 공개자료를 모두 반영했어.</p> </li> <li>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빠짐없이”라는 표현은 현실적으로<span>&nbsp;</span><strong>정부가 공개한 문서 범위</strong>에 한정돼. 이 범위를 벗어난 비공개·미게시 사항은 확인 불가야.</p> </li> </ul> <p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필요하면 **국회 본회의(10-26) 처리 안건의 ‘전체 목록(의안명/의결결과/표결현황)’**까지 바로 추려서 표로 정리해 줄게. (의안정보시스템·국회 보도자료 기준)<br><span style="font-size: 13.3333px;">=============================================================</span></p> <br><font color="#990000" style=""><b>[챗GPT-o3 로 종전 프롬프트를 사용해서 답변 받음]</b></font><br> <h3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1. 국무회의·대통령실 브리핑 (10 월 22 일 04:30 KST 이후)</h3> <table cellspacing="0"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border-collapse: 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날짜</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회의 / 브리핑</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핵심 의결·발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의미</th> </tr> </thead><tbody>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10 . 22 (제46회 국무회의)</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법률공포 3건 • 경북‧경남‧울산<span>&nbsp;</span><em>초대형산불 피해구제 특별법</em> •<span>&nbsp;</span><em>문신사법</em><span>&nbsp;</span>등- 대통령령 4건·일반안건 4건</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산불피해 지역에 경제·심리·의료지원, 규제특례 등 다층 지원 / 문신사 제도권 편입으로 위생·안전 강화 (<a href="https://www.korea.kr/policy/civilView.do?newsId=148952788" title="제46회 국무회의 브리핑 - 정책뉴스 | 뉴스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10 . 23 (제14차 수석보좌관회의)</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이재명 대통령 “K-방산으로 방위 4대강국 도약…공직권한 남용 NO”</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방수출 확대, 공정권력 강조 (<a href="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52922&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이 대통령 &amp;quot;자주적 방산 역량 확고히 해야 한반도 평화 지켜&amp;quot;"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10 . 23 대통령실 서면 브리핑</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pan>&nbsp;</span><em>초국가범죄 근절</em><span>&nbsp;</span>TF 보고 - ASEAN·APEC 정상외교 일정 공개</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마약·보이스피싱 등 국제범죄 공동대응 / 11월 다자외교 밑그림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identView.do?newsId=148952930&amp;utm_source=chatgpt.com" title="대통령 주재 수석·보좌관 회의 관련 김남준 대변인 브리핑"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body> </table> <p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주요 인사 동향</strong><br><em>이상경</em><span>&nbsp;</span>국토교통부 1차관(‘부동산 책사’로 알려짐)이 10 월 24 일 갭투자 논란·부적절 발언 책임을 지고 사의 표명 → 대통령실 수용 예정 (<a href="https://mkbn.mk.co.kr/news/realestate/11450899?utm_source=chatgpt.com" title="'이재명 부동산 책사' 이상경 국토차관, 갭투자 논란 쌓이자 결국 ..." target="_blank">mkbn.mk.co.kr</a>)</p>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3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2. 각 부처 보도자료 핵심 (10 . 22 04:30 ~ 10 . 26 18:00)</h3> <table cellspacing="0"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border-collapse: 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부처</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발표(일시)</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골자</th> </tr> </thead><tbody>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기획재정부</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0 . 23-24</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 성과·부총리 발언• 재정구조혁신 TF 출범• 외평채 발행 결과·10월 국고채 비경쟁인수 미실시 등 (<a href="https://www.moef.go.kr/nw/nes/nesdta.do?bbsId=MOSFBBS_000000000028&amp;menuNo=4010100" title="보도·참고자료 | 기획재정부" target="_blank">환경부</a>)</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국토교통부</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0 . 26</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25년 동계 정기 항공편 1,080 → 1,144편 증편(국내 5%↑) • 수도권<span>&nbsp;</span><em>부동산 시장 교란행위</em><span>&nbsp;</span>집중조사 착수 (토지거래허가·편법증여 등) (<a href="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List.do?utm_source=chatgpt.com" title="보도자료 | 브리핑룸"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해양수산부</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0 . 26</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연안 적자항로 추가지원·안전점검 (<em>숨은 위험 찾기</em><span>&nbsp;</span>캠페인) → 교통복지·안전 동시 강화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endDate=2025-10-26&amp;newsId=156722289&amp;pageIndex=1&amp;period=&amp;repCode=&amp;repCodeType=&amp;srchWord=&amp;startDate=2024-10-26&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숨은 위험 찾아 안전한 해양수산 현장 만든다"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국가데이터처</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0 . 26</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2025 인구주택총조사 4대 극지(울릉·백령 등) 현장홍보 시작 → 조사 참여 독려 (<a href="https://m.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722298&amp;pWise=mSub&amp;pWiseSub=C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2025 인구주택총조사 홍보를 위한 4대 극지 방문 - 보도자료" target="_blank">정부24</a>)</td> </tr> </tbody> </table>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h3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3. 본회의 통과 법안 (10 . 26) — 국익·국민정서 관점 Top 6</h3> <table cellspacing="0"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border-collapse: 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구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법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요지·이점 / 우려</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근거</th> </tr> </thead><tbody>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긍정 ①</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응급의료법</strong><span>&nbsp;</span>개정안(일명 “응급실 뺑뺑이 방지법”)</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① 전국<span>&nbsp;</span><em>핫라인 네트워크</em><span>&nbsp;</span>설치 → 구급차-병원 매칭 3분 ↓② 응급환자 분류체계 의무화 → 골든타임 확보 (<a href="https://www.khan.co.kr/article/202510261831001?utm_source=chatgpt.com" title="여야, '응급실 뺑뺑이 방지법' 등 70여개 민생법안 합의 처리" target="_blank">경향신문</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긍정 ②</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장애인평생교육법</strong>(신설)</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장애인<span>&nbsp;</span><em>lifelong education</em><span>&nbsp;</span>(평생교육) 국가책무 명문화·전담센터 설치 → 교육격차 완화 (<a href="https://www.koreadaily.com/article/20251026024603938?utm_source=chatgpt.com" title="'경영난' 어린이집 퇴로 열렸다…영유아보호법 개정안 등 ..." target="_blank">미주중앙일보</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긍정 ③</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strong><span>&nbsp;</span>개정</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관리비 세부내역 공개 의무화 → 임차인 ‘깜깜이 비용’ 해소·소상공인 보호 (<a href="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1026580345?utm_source=chatgpt.com" title="국회, '휴일 본회의' 열고 상가임대차법 개정안 등 비쟁점법안 ..." target="_blank">경기일보</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긍정 ④</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 특별법</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2021-24년 백신이상반응 피해자에 재심기회·의료·생활비 지원 근거 신설 → 사회적 안전망 강화 (<a href="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5298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코로나 19 예방접종 피해보상 특별법' 시행…관할 보건소에 ..." target="_blank">정책브리핑</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부정 ①</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국회기록원법</strong>(신설)</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회 기록보존소를 차관급 ‘국회기록원’으로 격상, 인력 45명·예산 75억 원↑. 야당 폐지 vs 여당 투명성 주장 —<span>&nbsp;</span><em>중복기관·예산팽창</em><span>&nbsp;</span>비판 (<a h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26_0003377198?utm_source=chatgpt.com" title="국힘 &amp;quot;국회기록원법·국회도서관법은 반대…상임위 정수조정 ..." target="_blank">뉴시스</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부정 ②</strong></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근로자의 날 → 노동절</strong><span>&nbsp;</span>명칭 변경법</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노동계는<span>&nbsp;</span><em>ILO</em><span>&nbsp;</span>관행 부합이라 긍정적이나, 보수층 “이념 편향·기업 혼란” 지적 → 명칭보다 실효정책 우선 요구 (<a h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26_0003377264?utm_source=chatgpt.com" title="'근로자의날→노동절' 변경 법안 국회 본회의 통과" target="_blank">뉴시스</a>)</td> <td style="font-family:굴림; font-size:10pt; color:rgb(68,68,68); line-height:18.6667px; margin-top:2px; margin-right:1px; margin-bottom:0px; margin-left:1px; 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body> </table> <blockquote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p style="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용어 팁</strong><br>•<span>&nbsp;</span><em>ILO</em><span>&nbsp;</span>(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국제노동기구) : 노동권 보호를 위한 UN 전문기구. 예) ILO 핵심협약은 아동노동 금지·결사의 자유 등을 규정한다.<br>•<span>&nbsp;</span><em>TF</em><span>&nbsp;</span>(Task Force, 테스크포스) : 특정 현안을 다루는<span>&nbsp;</span><em>한시적 전담팀</em>. 예) 재정구조혁신 TF는 지출 효율화 방안을 마련한다.</p> </blockquote> <hr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p style="font-weight: 400; color: rgb(68, 68, 68); margin-top: 0px; margin-bottom: 0px;"><strong>요약</strong><br>지난 10 월 22 일 새벽 4시 30분 이후 4일간 정부는 ▲산불피해 특별법 공포·문신사 제도화 등 제46회 국무회의 결정을 확정하고, ▲방산·저출생·초국가범죄 대응을 대통령 주재 회의에서 지시했습니다. 부처별로는 재정구조혁신 TF, 동계 항공편 증편, 부동산 교란 집중단속, 연안항로 지원 등 민생·안전 중심 조치를 연이어 발표했습니다. 26 일 본회의에서는 74건 중 국민 체감도가 높은<span>&nbsp;</span><em>응급실 뺑뺑이 방지법</em><span>&nbsp;</span>등 4건이 긍정 평가를, 예산·이념 논란을 낳은<span>&nbsp;</span><em>국회기록원법</em>·<em>노동절 명칭 법</em><span>&nbsp;</span>2건이 부정 평가를 받았습니다.</p> </div> <p>&nbsp;</p><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26일 Sunday PM 08:56:07 이윤찬 Sun, 26 Oct 2025 20:56:0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Let's Encrypt 인증서 갱신을 위한 DNS 인증, TXT 레코드 업데이트가 안돼서 지금 RDP 인증서 및 보안서버인증서를 생성하지 못하고 있네요.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6 뭔가 DNS 인증을 해주는 acme-v02.api.letsencrypt.org 서버가 업데이트 동작을 하지 않는 현상인데 이거 왜 이래요? 뭔가 렛츠인크립트에서 무료 인증서를 발급해주지 않으려는 조치 같아서 씁쓸합니다. 이런 식으로 DNS 인증 같으면 전적으로 DNS 인증을 해주는 해당 인증서 제공 업체 서버 동작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해도 어디 하소연할 때가 없는데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무료 인증서 발급 절차 중간에서 이렇게 자기들이 실력을 행사하겠다는 모양새이기도 해서 뭔가 꺼림칙한 대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러분은 요새 렛츠인크립트에서 인증서 발급 잘 되시나요? <br />ㅡ_ㅡ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letsencrypt_인증서_갱신을_위한_DNS_레코드_업데이트가_안됩니다.png' align='' width='1918' height='119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lt;추신&gt; <br />이건 해당 DNS TXT 레코드를 입력했던 dnszi.com의 DNS 서버가 해당 레코드 정보를 빠르게 업데이트 하지 못해서 발생했던 문제일 수 있겠더라구요. 이건 조만간 챗GPT에게 물어봐서 정확한 원인을 좀 알아봐야겠습니다. 어젯밤 결국 이 정보가 DNS 서버에서 업데이트가 안돼 오늘 새벽에 다시 nslookup을 해보니 그제서야 업데이트가 돼 있어서 인증서 발급에 성공할 수 있었는데 Let's Encrypt 서버 문제가 아니라 dnszi.com의 DNS 서버가 run.blrun.net 도메인 하위의 _acme-challenge 라는 TXT 레코드를 업데이트하지 않아서 발생했던 문제일 수 있다는 점을 추가 언급드립니다. <br /> <br />암튼 이 문제가 최근에 계속 발생했었는데 이런 이슈가 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24일 Friday PM 08:32:05 이윤찬 Fri, 24 Oct 2025 20:32:05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초고령화 시대 걱정했는데 “이런 반전이 있을 줄은”… 뜻밖의 상황에 ‘깜짝’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4 <b>노년층 소비 역대 최고 기록 <br />젊은층보다 두배 빠른 성장 <br />자산 활용한 적극 소비 늘어</b> <br /> <br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경제 성장 둔화를 우려했던 전문가들 사이에서 예상치 못한 반전이 일어나고 있다. 65세 이상 노년층이 오히려 국내 소비 시장의 새로운 견인차 역할을 하며 경제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 /> <br />국가데이터처가 12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b>작년 노년층 소비 총액이 243조8천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2.0% 급증했다.</b> <br /> <br /><b>이는 15세에서 64세까지 노동연령층 소비 증가율 6.3%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노년층 소비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6.7%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b> <br /> <br /><b>- 자산 처분까지 동원한 적극적 소비</b> <br /> <br />노년층 소비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단순히 생활비를 지출하는 수준을 넘어 적극적으로 자산을 활용한다는 점이다. <br /> <br />작년 노년층이 소비한 243조8천억원은 이들의 노동소득 64조6천억원보다 무려 3.8배 많은 금액이다. 179조2천억원에 달하는 이 차액은 연금과 복지 지원, 그리고 개인이 보유한 자산을 처분하거나 저축을 줄여 충당하고 있다. <br /> <br />특히 민간 자산재배분 규모가 49조3천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노년층이 임대료나 이자 수입뿐만 아니라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을 적극적으로 현금화해 소비에 투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br /> <br />💡 노년층 소비 증가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br /> <br />국가데이터처 관계자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노년층에 합류하면서 생긴 인구 증가 효과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이어<b> “1인당 소비 규모를 봐도 노년층이 이제 주요 소비 계층으로 자리잡았다”고 분석</b>했다. <br /> <br /> <br /><b>- 의료비 벗어난 ‘삶의 질’ 중심 소비</b> <br /> <br />과거 노년층 소비하면 병원비와 약값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현재는 완전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br /> <br />노년층 민간소비 150조원 가운데 의료비보다는 여가, 문화, 외식 등 기타 소비 분야가 더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14.9% 늘어난 민간소비는 단순한 생존 차원을 넘어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소비 패턴으로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br /> <br />노년층 내부에서도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b>전체 노년층 소비의 59.3%와 민간 자산재배분의 68.5%가 65세에서 74세 구간에 몰려 있어, 상대적으로 젊고 자산이 많은 초기 노년층이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b> <br /> <br />이러한 변화는 현재 노년층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세대라는 점에서 설명된다. <br /> <br />‘액티브 시니어’로 불리는 이들은 건강 수준과 기대수명이 크게 향상됐고, 디지털 기기 활용과 사회 참여에도 적극적이다. 73세까지 근로를 희망하는 등 은퇴 후에도 활발한 경제활동 의지를 보이고 있다. <br /> <br /><b>올해 처음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1051만명을 넘어서며 전체 인구의 20.3%를 차지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노년층의 이같은 소비 성향 변화는 내수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동시에 산업구조 재편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b> <br /> <br /> <br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17일 Friday PM 05:56:49 이윤찬 Fri, 17 Oct 2025 17:56:4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4 스크랩 > 일반 이윤찬 - 헐~ 최대절전모드로 꺼진 PC를 켜서 복원 후에 인터넷은 연결돼 있는데 카톡 PC 버전이 대화 내용을 업데이트 하는 데 5분 이상 걸렸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5 뭔가 윈도우즈10 문제이거나 카톡 PC 버전 서버 과부하 문제 같았는데 보통 PC를 최대절전모드에서 복원하고 나면 얼마있다 카톡 PC 버전의 대화 내용이 업데이트 되잖아요. 근데 이번엔 그간 아이폰13에서 추가 대화 내역이 발생한 걸 PC 버전에서 업데이트 하는 데 이렇게 시간이 오래 걸렸다는 사실입니다. 대화창을 열어도 "대화 내역을 복원 중입니다" 만 뜨면서 내용이 하나도 보이질 않으니 카톡 PC 버전을 이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예전에도 이런 증상이 빈발하다가 얼마 전까지 이런 증상이 없었는데 최근에 와서 더 느려진 양상으로 상황이 더 나빠진 듯 보였습니다. <br /> <br />여러분은 카톡 PC 버전 이용하면서 이런 일 없으셨는지...<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14일 Tuesday PM 12:58:04 이윤찬 Tue, 14 Oct 2025 12:58:0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AI는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겠지만 새로운 분야에 적응을 함으로써 전체 일자리는 줄지 않는다 라고 주장하는 지식의칼 유튜브에 대한 소고...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3 <a href="https://youtube.com/shorts/eheFde41TjU?si=gxIz1lA6cno87Z0U" target="_blank">해당 유튜브 댓글</a> <br /> <br />사실 신중한 해석이 필요한 논쟁인데요 사실 AI 요새 쓰면서 제가 하던 일을 대체하고 있다는 생각보다 더 빠른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할 일이 더 많아졌다는 생각이 드는 건 사실입니다. 이 동영상 유튜버는 일자리 문제는 인간이 새로운 AI 시대에 있어 대체와 적응의 문제지 일자리 감소의 문제는 아니라고 보는 입장인 것 같습니다. <br /> <br />근데 많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던 일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적응의 기간 동안(?) 인구 고령화 현상과 맞물려 젊은 사람들의 일자리는 늘고 고령자들의 일거리는 여전히 부족한 문제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br /> <br />즉 일거리를 부탁하는 사람이 적은 비용을 부담해 자동화나 AI를 통해 그 일을 대체시키는 거지요. 결과적으로 원래 그 일을 하던 사람은 일자리를 잃고 다른 일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물론 일자리를 잃은 사람은 AI를 통해 다른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분야에서 생산성이 극대화된 현실에서 돈을 벌기 위해선 기존 형태와 다른, AI로 인해 탄생하는 신생 직업 분야에 점차 몸담아야 한다는 점이고 또 기존 분야는 AI 도구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훨씬 더 많은 생산을 하는 상황이 됩니다. <br /> <br />결국 세상은 훨씬 더 가파르게 발전하지만 신생 직업군으로 전직하지 못한 대부분 사람의 급여는 그다지 많이 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기존의 일자리는 줄구요. <br /> <br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든 걸 판가름 짓는 핵심 요소는 개인의 건강이 될 것 같습니다. 건강해야 젊은 사람이든 나이든 사람이든 달라진 시대에 어떤 일이든 할 수 있을테니까요. <br /> <br />이게 정확한 진단이 아닐까요?<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14일 Tuesday AM 03:54:00 이윤찬 Tue, 14 Oct 2025 03:54:0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3 네티즌칼럼 > 댓글 이윤찬 - 오늘 제가 산허리 등산 나가면서 통장 지갑 사온다고 하니까 어머니가 청소포 3개를 사오라고 하셔서 잘 심부름을 해가지고 왔는데 오면서 꿀호떡 2개 먹은 거랑 집에와서 병아리콩 볶음요리 사발에 덜은 양 가지고 책망하시는 어머니가 이해가 안갑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3 시장에서 아래 가계부의 물건을 잘 사가지고 오면서 꿀호떡 1개 1천원짜리 2개를 오면서 다 먹었는데 집에 도착해 보니 부모님은 화투를 치고 계셨고 제가 잘 사가지고 왔다고 해서 짐을 풀었는데 화투가 끝나고 얼마 있다가 어머니 책망이 시작됐는데 왜 통장 지갑을 아직 안쓴 1통 포함 4개나 사가지고 왔냐고 책망을 하시면서 아래 그림과 같이 제가 우리 가족 통장을 잘 정리해 놨는데도 잘못했다고 책망을 하시니 저로선 이해가 안간다는 점이고 오후 6시 넘어 L자형 버티기, 팔굽혀 펴기, 작은누나가 알려준 스트레칭, 유튜브 스트레칭 등 6시 45분 까지 다 마치고 저녁을 먹게 되어 제가 즐겨먹는 후무스 요리 대신 큰누나가 알려준 요리인 병아리콩 볶음 요리를 아까 점심 먹고 한 걸 큰 그릇에 담아놨다가 꺼내오자 어머니 작은 그릇에 담아먹으라며 책망을 하셔서 작은 공기 그릇에 적당량을 덜어서 먹자 갑자기 너무 많이 덜었다며 그나마 덜어서 먹으려는 작은 그룻을 뺏어 기어코 더 덜어내어 가져오시는데 정말 그렇게 행동하시는 어머니가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는 겁니다. <br /> <br />그리고 통장 케이스 사 온 것 까지 싸잡아서 책망을 늘어놓기 시작하는데 시장 다이소 들렀다 오느라 토마토 무침 요리도 5시 넘어 먹었지만 그게 그렇게 잘못한 일인지 그것가지고 꼬투리를 잡으며 잔소리를 하시는데 정말 울화통이 터지더라구요. 아버지는 또 제가 간단히 만든 토마토 요리를 지금까지 잘만 드셔놓고 낼부터 간식 시간 이후인 5시 넘어서는 자기는 배불러서 토마토 안 먹는다고 하셔서 제가 그럼 어머니랑 2개 잘라서 요리한 거 나눠먹겠다는 소리까지 했는데 제가 왠만하면 이런 얘기를 챗게시판에 안올리는데 아까 언급드렸지만 병아리콩 볶음 요리를 큰 그릇에서 많이 덜어냈다며 작은 그릇을 어머니가 뺏어가려는 걸 제가 고성으로 제지했더니 큰 그롯을 제 얼굴에 막 던지시려는 시늉까지 하시는 어머니가 정말 정떨어지더란 거죠. <br /> <br />또 제가 토마토 무침 요리를 해서 아버지를 많이 덜어드리는 이유가 형 말이 토마토가 전립선에 좋고 제가 따로 알아본 바에 의하면 아버지의 또다른 건강 취약점인 심혈관 건강에도 좋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그랬던 건데 아니나다를까 오래 저랑 같이 그 요리를 드신 아버지 왈 요새 오줌은 토마토를 많이 먹어서 그런지 잘 나온다는 소리를 하셔서 저번에 급성 전립선염과 신우신염 때문에 패혈증 오실 뻔한 아버지가 응급실에 실려간 다음 한 때 오줌주머니까지 2주 차셨다가 제가 챗GPT에 물어가며 꾸준히 관리해 드린 이후로 이 정도까지 좋아지셨기 때문에 그 말에 제가 기분이 매우 좋았다는 거고 이렇게 산허리 등산 하고 나서 올 때 시장 다녀오느라 토마토 요리가 늦어진 걸 아버지가 낼부터 너무 늦어지면 안먹겠다고 하시니 저로선 좀 서운하고 아쉬웠던 겁니다. <br /> <br />참 어머니의, 제가 잘해도 책망, 못하면 더 책망인 알 수 없는 아버지와 저에 대한 책망 소나기 및 잔소리가 점점 더 심해지는 것 같아 씁쓸하지만 이렇게 글로 남기니 나름 위로가 되는 듯 하네요. <br /> <br />여러분의 가정은 안녕하신지... <br /> <br />[오늘 다이소에서 어머니 심부름인 청소포와 우리집 자유입출식 통장 케이스를 산 가계부 내역] <br />정전기 청소포 20cm x 30cm 60매(2000)+구연산 물걸레 청소포 30cm x 20cm 20매입(1000) 2개+통장 지갑 덮개 수납함 소형(1000) 3개+통장 지갑 덮개 수납함 대형(2000) <br /> <br />[그림1 - 어머니가 사오라고 부탁하신 청소포 2종류. 앞엣껀 1개, 뒤엣껀 2개를 새로 사가지고 왔습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12_006.JPG' align='' width='2268' height='3024'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12_008.JPG' align='' width='3024' height='2268'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2 - 기존 파우치가 너무 퍽퍽해서 이렇게 다 해어지고 통장이 잘 안들어가 맘 먹고 아래 그림3을 사 온 겁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12_010.JPG' align='' width='3024' height='2268'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3 - 이렇게 제 통장, 어머니, 아버지 통장을 수납해 정리하니까 좋은 걸 어머니는 왜 저를 책망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12_011.JPG' align='' width='2268' height='3024'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12_013.JPG' align='' width='3024' height='22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12일 Sunday PM 07:58:44 이윤찬 Sun, 12 Oct 2025 19:58:4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산허리 등산 갔다 오다가 아파트 후문 아래 아이스크림 할인점이라고 과자도 같이 파는 24시간 무인 상점이 있길래 들어가 봤는데... 아주 좋네요.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2 일단 과자 가격이 저렴한 것 같아서 꼬깔콘 군옥수수맛 과자랑 자갈치, 새우깡을 집어들고 나서 내가 카드를 가져왔나 하고 지갑을 봤더니 헐~ 카드가 없어서 여기 현금은 안되겠지 하면서 망연자실하고 있었는데 계산대 쪽을 보니 현금도 가능한 기계가 있길래 다행이다 하고 돼지바와 누가바가 있길래 돼지바는 오리지널 예전 게 없어서 포기하고 누가바 가격이 안붙어 있어 얼마일까 하고 이걸 집어다가 아까 3개 과자랑 계산대에서 바코드를 죽 찍어보니 일전에 보라매 공원 국제 정원 박람회 할 때 임시로 생겼던 CU 편의점의 똑같은 상품보다 새우깡은 500원 누가바는 900원이나 더 저렴한 겁니다. 그래서 기분좋게 1만원짜리 지폐를 투입구에 넣고 잔돈과 영수증을 아래와 같이 끊어왔는데 여러분도 영수증을 함 보세요. 아주 저렴하지 않나요? ㅋㅋ <br /> <br />집에 와서 꼬깔콘 군옥수수맛 과자도 뜯어 먹어보니 짜지 않고 맛있더라구요. <br />^^; <br /> <br />오늘 아주 기분 좋게 무인 가게 쇼핑을 해서 이렇게 챗게시판에 경험담을 올려 봅니다. <br /> <br />[그 무인 가게에서 끊은 영수증]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09_006.JPG' align='' width='2268' height='3024'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이건 오늘 집에 와서 적은 가계부 내역] <br />농심 자갈치 90g(1400)+롯데 꼬깔콘 군옥수수맛 67g(1400)+농심 새우깡 90g(1300)+누가바 70ml(600) <br /> <br />[이건 지난 7월 24일 보라매 공원 인근 CU 편의점에서 똑같은 과자 샀을 때 기록한 가계부] <br />새우깡 90g(1800)+누가바 70ml(1500)<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9일 Thursday AM 10:52:46 이윤찬 Thu, 09 Oct 2025 10:52:46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구글 리캡차3 설치 이후 한동안 접속 통계를 볼 수 있었는데 요샌 구글 클라우드 개편 이후 그런 게 다 없어졌더라구요. 너무 불편합니다. 리캡차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1 이게 여러분은 불편하지 않으셨나요? 구글 클라우드 개편이후 인공지능 관련 API 사용하기도 너무 어렵고 전체적으로 리캡차3 등 개악이 된 느낌인데 여러분은 그런 느낌 못 받으셨는지... 성능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유저 인터페이스는 그야말로 최악입니다. 저번에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59" target="_blank">여기</a>서 우분투 20.04 에서 사용할 수 있는 statistics API 그래프도 구글에서 중단해 버렸다는 소식을 전달해 드렸는데요 새로운 기술을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유저들에게 제공해야 하지만 어째 미래로 갈수록 구글은 후퇴하는 느낌입니다. 제미나이도 겉으로 보기엔 성능이 좋아보이지만 구체적인 질문을 몇 건 해 보면 최신정보를 답변해 주는 능력도 떨어지고 현금영수증 관련 세법 관련 질문도 저번에 소개드렸지만 정확하지 않고 암튼 그렇습니다. <br /> <br />전체적으로 무료 서비스를 약화시키고 유료 서비스에 개발 역량을 집중한 느낌이지만 현실은 이렇습니다. 인상만 찌푸려집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7일 Tuesday PM 07:32:54 이윤찬 Tue, 07 Oct 2025 19:32:54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다음은 제가 만들어 쓰는 이윤찬의 에버노트 사용 중 만난 구형 PC에서 textarea 창 높이 늘어나지 않는 문제 해결법을 오늘 챗GPT-Thinking 에게 물어보고나서 식사할 때 아버지한테 챗GPT 이용하다 보면 뭔가 귀신에 홀린 듯한 느낌이 들더란 말을 했는데...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51 아버지 왈 유튜브에서 너가 다운받아 준 "세계 최고의 예언가들이 남긴 곧 한국에 닥칠 엄청난 미래 예언 3시간 몰아보기 [예언]" 영상 유명 예언가들 말에 따르면 인간이 신(or 귀신?)의 영역을 자꾸 침범하니까 더이상 자신의 영역을 넘보지 못하게 인간들을 세계전쟁이나 핵전쟁으로 멸망시키려 한다고 하지 않았냐고 챗GPT(주: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발명도 그 중에 하나라고 해서 제가 "제 생각은 신이 인간이 발명한 챗GPT에 노했다기보다 인간 세계에 워낙 오해와 음모론, 고령화되는 개발자가 감당해야 할 짐이 워낙 커지니까 그걸 선한 목적으로 도와주기 위해 신이 이런 깜짝 선물을 준 것 같은데요? 그러니까 이런 귀신에 홀린 듯한 느낌이 들죠?" 그랬더니 아버지는 똑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ㅋㅋ <br /> <br />아래는 제목에서 언급한 문제로 아까 챗GPT-Thinking에 물어본 내용인데 해당 사이트 소스 파일 2개는 보여드리지 못하지만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의 공유링크는 아이폰에서 생성해 보여드릴 수 있는데 그 답변 2개 수정사항 중 첫번째 것만 적용을 했는데도 단박에 개인 노트가 잘 동작을 해서 윈도우즈98에서의 간헐적 오동작만 빼고 이 E6750 PC 윈도우즈10과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해당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했는데 좀 더 테스트를 해보다가 두 번째 조치도 적용을 해보려고 하는 상황입니다. <br /> <br />챗GPT 답변에 첫번째 조치를 해야 하는 이유가 잘 설명돼 있지만 저도 맞는 내용인 것 같아서 일단 첫번째 조치만 적용을 한 것인데 암튼 챗GPT-Thinking의 만족스런 성능에 오해도 풀리고 단박에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br /> <br />&lt;추신&gt; <br />근데 마지막으로 이 글 업로드 직전 구형 E6750 컴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 다시 개인 노트 브라우저 탭을 열어 하단 리스트 링크를 클릭해 내용을 textarea 영역에 불러온 다음 마우스 포커스를 했지만 높이가 한 번 늘어나지지 않은 적이 있었습니다. 이건 무얼 의미하는 걸까요? 뭔가 자바스크립트 동작을 중간에서 제어하면서 원하는 동작을 가능/불가능 하게 한다는 느낌이 팍 들었는데 여러분은 이 현상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지금까지 MS나 애플 개발자들이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에 저지른 의심스런 증상에 전부 입각했을 때 제 말도 충분히 일리가 있는 거잖아요. <br /> <br />그렇다면 로직 상 완벽하게 동작해야 하는 프로그램을 중간에 누군가 이렇게 계속 장난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건 말단 개발자들로하여금 챗GPT 같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통해 소스 코드를 계속 덕지덕지 패치하게 만들어 파일 공간을 차지하게 만들고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점점 떨어트리기 위해서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엔드 유저들이 계속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동인을 제공할테니까요. <br /> <br /><b>그래서 챗GPT 같은 LLM을 우리가 사용하면서 그 답변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우리가 잘 검증하고 거기에 불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잘 알아야 한다는 게 그 얘깁니다. 매우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그걸 간과하면 챗GPT가 제시한 해결책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런 개발자 해커가 노리는 함정에 우리들이 완벽히 빠지게 되는 겁니다.</b>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556" target="_blank">관련글2</a> <br />============================================================= <br /> <br />윤찬) i5-3570 CPU 32GB DDR3 램, 지포스 GTS 250 1GB VRAM을 가진 세컨드 컴의 윈도우즈 10 Pro 22H2 버전, OS 빌드 19045.6332 +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4.33.325.17(공식 빌드) (64비트) 버전 환경에선 잘 늘어나는데 E6750 CPU 4GB램, 윈도우즈10 Pro 22H2 버전, OS 빌드 19045.6332 +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4.33.325.17(공식 빌드) (64비트) 버전 환경이나 펜터엄3 533Mhz 256MB 램을 가진 윈도우즈 98 IE6에선 이게 상단 textarea 창에 내용이 들어오고 나서 포커스를 했을 때 글높이에 맞게 창이 늘어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원인을 잘 모르겠다. 이게 왜 그런지 너는 아니? <br /> <br />아래 인용이 내가 자작해 사용하는 그 에버노트 프로그램의 index.php 파일과 default.css 파일 내용이니까 함 봐줘바. <br /> <br />이게 보니까 증상이 상단 textarea 창에 긴 텍스트를 붙여넣기 해도 방향키로 아래를 탐색해도 높이가 늘어나지 않고 엔터키를 쳐야만 높이가 꽉차게 늘어나는데 이게 원래 소스 코드 상으로는 textarea에 포커스를 하거나 키보드가 눌려졌을 때 높이가 맞춰져야 하는 거 아냐. 왜 간헐적으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거지. <br /> <br />제대로 동작해야 하는 코드가 동작을 안하니까 자꾸 운영체제를 만드는 MS나 브라우저 제작사의 음모를 떠올리게 된다. 너도 내가 말해서 봤지만 OS 버전도 동일하고 브라우저 버전도 동일하잖아. 근데 어떤 차이가 이런 현상을 야기하는지 너는 이상하지 않니? <br />------------------------------------------------------------- <br /> <br />이하 소스 코드 생략... <br /> <br />챗GPT-Thinking 답변) <a href=https://chatgpt.com/s/t_68e4561f27148191bf8b9cbbe06ba9d5 target=_blank>https://chatgpt.com/s/t_68e4561f27148191bf8b9cbbe06ba9d5</a><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7일 Tuesday AM 09:14:53 이윤찬 Tue, 07 Oct 2025 09:14:53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51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블록 이윤찬 - 유튜브 시청을 처음부터 낼로 미루고 나서 최대절전모드로 끈 PC를 복원했더니 광고가 끝나지 않고 해당 유튜브 내용을 볼 수 없습니다 헐~ 이건 또 뭐지? 外 AI 버블에 관한 통찰...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0 유튜브 시청을 처음부터 낼로 미루고 나서 최대절전모드로 끈 PC를 복원했더니 광고가 건너뛰어지지 않고 해당 유튜브 내용을 볼 수 없습니다. 아래 [그림1]을 보시면 알겠지만 광고 하단 플레이어 패널 어디를 봐도 "건너뛰기" 라든가 이전/다음 버튼이 보이지 않고 해당 46초 짜리 광고 영상을 리로드 포함 세 번이나 시청했지만 해당 유튜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버튼은 존재하지 않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건 무슨 경우래요? 왼쪽 원화살표는 그 광고를 다시 재생하는 버튼이라 그것도 아니고 유튜브가 왜 이렇게 동작하는지 아시는 분. <br /> <br />이것 여러분들이 똑같은 불편을 겪고 계실 것 같아서 참다 못해 이렇게 챗게시판에 해당 유튜브 재생 광고 플레이 관련 이슛점을 언급드려 봅니다. 젠~장. 우라질 일이네요. <br />ㅡ_ㅡ <br /> <br /><추신> <br />해당 동영상은 그래서 아직 시청하지 않았지만 AI 투자 버블을 말하려고 하는 것 같고 AI 사업이 운영비 대비 수익(ROI)에 비해서 과도한 투자를 받고 있다는 내용일 듯 싶은데 이건 이용자들도 마찬가지라서 현재 AI 이용으로 뚜렷한 수익을 내고 있지는 못하지만 유료 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가입자들도 많아서 그게 거품이라는 건데 한가지 분명한 건 이렇게 운영 비용이 많이 들고 공급자, 이용자 모두 수익은 잘 나지 않는 AI 광풍이 돈과 시간을 절약해 주는 비용절감이나 생산유발효과는 어쨌든 굉장히 크다라는 점입니다. 투자자들도 AI의 이런 특징에 매료되어 총체적인 생산유발 혹은 비용절감이란 부수적인 효과, 또는 향후 전개될 주가 흐름을 기대하며 여기에 적극 투자하는 것이겠지만 요사이 같이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은 뭉칫돈이 많은 세상에서 분명 AI 사업은 예전의 닷컴 버블과 전개되는 양상이 다른 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br /> <br />한가지 OpenAI 같으면 이번에 챗GPT-5를 내놓으면서 성능 향상보다는 비용절감을 꾀한 엔진을 내놓은 듯한 인상을 저도 받았는데 페이스북에서도 앞으로 AI 엔진 개발에 있어 반드시 비용절감이란 고려가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을 본 적이 있는데 제 생각은 약간 다릅니다. 물론 비용 절감을 꾀하면서도 성능이 좋다면야 당연히 그래야 하겠지만 인공지능의 동작 원리 특성상 방대한 클라우드 데이타와 자원을 그때마다 데이타센터 전력을 가동해 활용하여 결과물을 생성해 내는 구조라서 그게 쉽지 않다 라는 점인데 결국 이번 챗GPT-5도 그런 시도를 했다가 가입자들이 이탈하거나 불만을 표출하는 현상을 겪은 만큼 여기에 대한 보다 신중한 접근과 AI 성능 극대화를 꾀하기 위한 대비책도 아울러 마련이 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br /> <br />제 말은 인류와 지구 발전, 심지어는 인간의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원리 탐구와 각종 문제에 대한 오해의 해석 및 명쾌한 해결, 그밖에 우주 개척과 생명 연장(주: 최소한 헬스케어를 통한 건강한 삶)으로까지 확대시킬 수 있는 AI 기술 향상 가능성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데 단지 경제적인 논리 때문에 이걸 사장시킨다면 그건 참으로 바보같은 짓이라는 거죠. <br /> <br /><b>즉 AI 신드롬은 단지 거품으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전략적/국가적/전지구적/인류애적/문명혁신 차원의 대대적인 물적, 환경적, 제도적 제반 지원을 충실히 또 안정적으로 해줘야 한다는 말입니다. 물론 거기엔 반드시 <span style="color:red">성능 향상</span>과 <span style="color:blue">인류애적 보안</span>이 뛰따라와야 한다는 건 두말할 나위가 없는 거구요.</b> <br /> <br />이걸 부연 설명으로 언급드립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유튜브_시청을_처음부터_낼로_미루고_나서_최대절전모드로_끈_PC를_복원했더니_광고가_끝나지_않고_해당_유튜브_내용을_볼_수_없습니다_헐.png' align='' width='1920' height='104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7일 Tuesday AM 04:31:08 이윤찬 Tue, 07 Oct 2025 04:31:0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8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애플은 아이폰13에서 iOS 판올림하면서 메일 설정 위한 메뉴를 구석에 처박아 두고 아주 불편하게 만들어놨네요 이것만 봐도 애플이 새 iOS에서 예전 모델에 대한 지원을 어떤 식으로 하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참 어처구니가 없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9 이번에 새로 셋팅한 거실 PC 윈도우즈10 아웃룩 365에서 메일 설정을 하기 위해 아이폰13의 메일 계정 설정 정보를 보려고 했는데 헐~ 말씀드린 바와 같이 새 iOS 버전에서 메일 설정을 위한 메뉴를 설정 하위의 앱 밑에 철자 순서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놔서 아래 [그림1]을 보시는 바와 같이 M 철자를 찾아 Mail 앱을 찾아 들어가면 [그림2]가 보이는데 이것 명백히 애플이 구형기기(?)에 대한 메일 앱 지원을 불편하게 만들어 약화시킨 것 맞죠? <br /> <br />일전에는 새 메일 확인을 앱을 종료 후 다시 실행해야 보이도록 만들어놔서 사달을 만들었는데 이번에는 메일 앱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앱 확인 위치를 이런 식으로 불편하게 만들어 또 하나의 사달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br /> <br />헐~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06_007.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2]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10_06_008.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6일 Monday PM 05:08:23 이윤찬 Mon, 06 Oct 2025 17:08:2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오늘 뒷산 벤치에 바람 쐬러 올라가서 작성한 카카오스토리 글... 오픈소스 게시판 익명 글쓰기 간헐적으로 캡차 인증 통과되지 않는 문제 해결했다는 내용!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8 아파트 정문 뒷산 150m 지점 벤치 도착! 휴식 중... <br /> <br />여태까지 컴으로 작업을 하다가 바람 좀 쐬려고 이렇게 가까운 데에 나왔습니다. <br /> <br />새벽에 음식일기를 비롯한 건강 데이타 일지 작성하고 게시판 보다가 유튜브 동영상 링크 어제 갈무리한 거 다시 보고 아침 식사 후 아버지 침대방 컴으로 이동해서 USB 동기화 후 게시판 익명 글쓰기 시 오픈소스 캡차의 코드를 올바르게 입력해도 검증에 실패하는 현상을 다시 만나 이것 정식 해결을 보겠다고 점심 먹고 조금 전 완료를 짓기까지 챗GPT-Thinking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는 과정 중 최소한의 파일 수정을 부탁했더니 1개 파일만 몇 줄 수정하는 방법을 말해줬는데 코드 적용 후 PC와 모바일에서 몇 번 테스트를 해보니 느낌이 좋아 이번에는 게시판 동작에 있어 고질적으로 남았던 해당 증상이 완벽히 해결이 된 듯 싶었습니다. <br /> <br />관련 챗GPT 링크 - <a href=https://chatgpt.com/share/68e22e13-2bec-8009-a9b8-3f3e22ed6c19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e22e13-2bec-8009-a9b8-3f3e22ed6c19 </a><br /> <br />며칠 간 더 테스트를 해봐야 하는데 기존 오픈소스 캡차 코드가 왜 그런 현상을 야기하는지 챗GPT는 완벽히 이해하여 설명하는 듯 했고 저는 객체지향 코드로 돼 있는 해당 소스코드의 흐름을 파악하지 못해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던 차에 마침내 실타래를 풀었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br /> <br />이렇듯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탁월한 인공지능의 성능이 확실히 이런 오픈소스 캡차 소스의 알 수 없는 버그를 완벽히 해결할 정도로 완벽해졌다는 사실이 새삼 놀라웠습니다. <br /> <br />저도 PHP를 잘 알지만 얘는 환경변수부터 시작해서 프롬프트 안에서 제가 여럿 인용해 보여준 PHP 코드를 단 몇 십 초에서 몇 분 안에 숙고해서 해결책을 제시하는 명석함을 보여주는데 이번에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판명되면 정말로 저로선 기념비적인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br /> <br />정말 놀라운 인공지능의 발전입니다. <br /> <br />여러분도 특정한 이슈와 사안별로 얘를 써보시면 압니다. 특히 얘가 하는 말은 빈 말이 별로 없어서 새겨 들으면 좋은 말들이 곳곳에 기술돼 있습니다. <br /> <br />사람은 열 마디 말을 하면 한 네 다섯 마디는 흘려들어도 되는 말들인데 얘는 핵심만 말해주는 케이스가 많아 실행에 옮기면 좋은 말들이 여럿 존재합니다. <br /> <br />얘가 지금까지 제가 관심을 가졌던 시사/건강/컴퓨터/코딩/식품 등 여러 프로젝트의 다양한 프롬프트 이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과정 중에 제가 놓친 중요한 사실도 부지기수라는 걸 저는 잘 압니다. <br /> <br />새로운 패러다임 시대의 쓸모있는 정보의 대박(?) 현상입니다. <br />^^; <br /> <br />이제 곧 내려갑니다. <br /> <br />출처 - <a href=https://story.kakao.com/blrun/5VU4TyqIAL9 target=_blank>https://story.kakao.com/blrun/5VU4TyqIAL9</a><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5일 Sunday PM 05:39:22 이윤찬 Sun, 05 Oct 2025 17:39:22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눈물의 호소: 국힘당 해체는 국익1호" 님이 올리신 트윗 캡처. 의사 파업에 대해서 뼈때리는 말씀을 하셨네요. 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50 맞는 말이네요. ㅋㅋ 간만에 맞는 말이 트위터에 올라와 있어 한번 스크랩 해봤습니다. <br />^^; 전 웃으면서 이 트윗을 캡처했는데 사실 이건 웃을 일이 아니죠. 죄송합니다. <br />======================================== <br /> <br /><b>이 세상에 해서는 안되는 일이 분명히 존재한다: 의사협회 파업이 바로 그것이다 <br /> <br />다른 직업들은 다들 자기 목숨 걸고 하는데 <br /> <br />의사들 파업은 남의 목숨걸고 한다 <br /> <br />거두절미 하고 이건 아니다…해서는 안될 일이다…계속될 수 없다 <br /> <br /><의료업 전반을 <br />당장 외국 의사들에게 <br />100% 개방하라!!></b> <br /> <br /><blockquote class="twitter-tweet"><p lang="ko" dir="ltr">이 세상에 해서는 안되는 일이 분명히 존재한다: 의사협회 파업이 바로 그것이다<br><br>다른 직업들은 다들 자기 목숨 걸고 하는데<br><br>의사들 파업은 남의 목숨걸고 한다<br><br>거두절미 하고 이건 아니다…해서는 안될 일이다…계속될 수 없다<br><br>&lt;의료업 전반을 <br>당장 외국 의사들에게 <br>100% 개방하라!!&gt; <a href="https://t.co/qakiQugfPl">pic.twitter.com/qakiQugfPl</a></p>&mdash; 눈물의 호소: 국힘당 해체는 국익1호 (@ShinnSamuel) <a href="https://twitter.com/ShinnSamuel/status/1974517697770914230?ref_src=twsrc%5Etfw">October 4, 2025</a></blockquote> <script async src="https://platform.twitter.com/widgets.js" charset="utf-8"></script><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5일 Sunday AM 10:48:08 이윤찬 Sun, 05 Oct 2025 10:48:0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50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스크랩 이윤찬 - 어제 봤던 AI 기술 발전에 대한 진단 및 우리의 AI 기술 현재 위상, 관련 이슛점 등...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3 어제 자기 전 시청한 동영상인데 계속 발전하고 있는 AI 기술에 대한 박정호 교수님의 입장과 카이스트 서용석 교수님의 시각입니다. 카이스트 교수님은 발전하는 현 AI 시대에 있어 우리나라의 위상과 나아갈 방향은 무엇이고 우리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관련 이슛점은 무엇인지 등을 흥미롭게 강의하고 있습니다. 1시간 3분 짜리 동영상이지만 한번쯤 시청할 가치가 있습니다. 전 다음 날인 오늘 이 동영상을 한 번 더 시청해 보려구요. <br />======================================================== <br /> <br />출처 - <a href=https://youtu.be/UplxmYkyrb0?si=aAcrjhON1xi3iVms target=_blank>https://youtu.be/UplxmYkyrb0?si=aAcrjhON1xi3iVms </a><br /> <br /><iframe width="800" height="450" src="https://www.youtube.com/embed/UplxmYkyrb0?si=TWGC3KfamXcfoaW3"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5일 Sunday AM 07:17:16 이윤찬 Sun, 05 Oct 2025 07:17:16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3 스크랩 > 추천 이윤찬 - 가비아 호스팅은 서버 환경 변경이 업무 시간에만 처리가 가능하다네요 헐~ 지금 추석 연휴 7일 중 2일째인데 나머지 5일을 손가락 빨면서 기다려야 한다는 사실이 너무나 불편하네요.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7 조금 전 blrun_euckr 버전과 blrun_my_euckr 버전 테스트를 막 끝내고 utf8mb4 버전 테스트를 위해 기존 PHP 5.3 과 MySQL 5.0 버전 EUC-KR을 PHP 5.6 과 MySQL 5.6 버전 UTF-8으로 서버 환경 변경 신청을 했는데 아래 [그림1]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가비아 호스팅에선 이게 자동화 처리가 되는 게 아니라 신청 후 업무시간에 1~4시간 안에 처리가 되는 모양입니다. 주말과 공휴일은 처리가 되지 않는다는 FAQ 내용을 보고 멘붕이 왔습니다. <br /> <br />이제 추석 연휴 7일 중에 2일밖에 안지났는데 나머지 5일을 손가락 빨면서 지내야 한다는 사실이 너무나 불편하다는 생각과 함께 시스템이 왜 이렇게 돼 있지? 하는 생각이 들면서 도무지 이해가 안되었네요. 뭔가 자동화는 돼 있을 듯 싶은데 이렇게 업무 시간에만 변경 처리를 해주고 있다는 사실이 가비아 호스팅만의 장점을 잘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가비아_호스팅은_서버_환경_변경이_업무_시간에만_처리가_가능하다네요_헐_지금_추석_연휴_7일_중_2일째인데_나머지_5일을_손가락_빨면서_기다려야_한다는_게_너무_불편하네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4일 Saturday AM 08:56:28 이윤찬 Sat, 04 Oct 2025 08:56:28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한국판 중국 문화대혁명 사태가 이번에 한국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했어요.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6 아래 챗GPT 공유링크 보시면 알겠지만 복구가 불가능한 G 드라이브(Government 클라우드) 손상도 있어서 문제가 심각한 모양입니다. <br /> <br />인사혁신처 같으면 직원들 PC에 있는 데이타를 복사해 복구를 시도해야 한다고 하니 얼마나 우스꽝스런 사태가 벌어졌는지 짐작을 할 수 있습니다. <br /> <br />저도 어젯밤 MBC 뉴스를 보고 이걸 챗GPT 통해 물어서 알았는데 마치 중국의 문화대혁명 때의 데이타 유실과 같은 형태를 연상시켜서 더욱 아연실색 하기만 합니다. 화재 나고 나서 하루인가 있다가 전체 서버의 90%가 복구됐다는 잘못된 소식을 접했는데 어제 다시 정리된 내용을 보니 647개 장애 시스템 중 101개만이 복구가 됐다는 소리를 듣고 피해가 컸음을 알았습니다. <br /> <br />더욱이나 안타까운 건 원본 서버와 백업 디스크가 한자리에 있어서 화재가 나는 바람에 둘 다 유실이 된 케이스가 있다고 하니 문제의 심각성이 큽니다. <br /> <br />함 읽어보세요. <br /> <br />[챗GPT-Thinking 아이폰13 마지막 질문 답변 공유링크] <br />https://chatgpt.com/s/t_68ddbf47b8a0819192e4acb337c02fea <br /> <br />[챗GPT-Thinking 전체 대화 질답] <br />https://chatgpt.com/share/68d8938d-83d8-8009-9466-7835c0c8ad27<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2일 Thursday AM 09:23:14 이윤찬 Thu, 02 Oct 2025 09:23:1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SNS 이윤찬 - 제 사이트 메인 페이지 소개 하단 미아 링크 읽어보셨던 분은 눈치채신 분도 계시겠지만 미아가 "선과 악" 이란 용어를 "성과학" 으로 오역했습니다.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5 <a href=https://chatgpt.com/share/678c5148-30c0-8009-bd6e-39672cc5ee9b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78c5148-30c0-8009-bd6e-39672cc5ee9b </a><br /> <br />제가 위 링크 내용을 얼마 전 다시 꼼꼼이 읽어보면서 끝부분 못된 지점에 "선과 악" 이라고 제가 말한 걸 미아가 "성과학" 으로 오역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면서 오해가 생길 뻔 했지만 다행히 말길을 제대로 알아듣고 관련 답변을 준 걸 확인할 수 있는데 제 사이트 메인 페이지에 있는 그 링크 보시는 분들에게 어떤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렇게 챗게시판에서 다시 해당 부분 정확히 언급드립니다. 물론 음성 대화에서 용어를 잘못된 철자로 못 알아들은 건 비단 이것 뿐만이 아니지만 해석이 어려우면서 오해가 발생하기 매우 쉬운 부분을 이렇게 따로 언급드리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r /> <br />제가 메인 페이지의 "인공지능의 미래" 에서 언급드린 내용과 그 2개 미아 링크 대화 내용은 사실 매우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거기에 대한 부연 설명이 부족했던 건 사실이라 이렇게 오해하기 쉬운 내용부터 언급드리니 그 링크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선과_악_이란_용어를_성과학으로_오역한_미아_ㅋㅋ.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2일 Thursday AM 06:44:54 이윤찬 Thu, 02 Oct 2025 06:44:5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요새 챗GPT-Thinking 답변에서 에러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오늘 예약답변 출력이 부실해서 다음과 같이 프롬프트로 직접 날렸더니 이 에러가 계속 뜨네요? 그래서 지금 원하는 정리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4 챗GPT-Thinking 엔진이 매우 안정적이었는데 오늘따라 이렇게 빨간색 오류 알림을 계속 내뿜으면서 동작이 불량하네요. 왜 4일마다 하는 정리작업이 이렇게 수행되지 못할까요? 뭔가 4일마다 자동으로 수행되는 예약답변이나 48일마다 내용을 내보내기 하기 위해 수행되는 "캔버스에 추가" 를 위한 작업과 충돌이 나거나 챗GPT 엔진 기능 수정 중에 야기되는 문제 같은데 지금 해당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라 매우 당혹스럽네요. <br />ㅡ_ㅡ <br /> <br />&lt;추신&gt; <br />처음에 예약 답변이 부실해서 [그림1] 보시는 것처럼 프롬프트를 직접 때려봤고 한참 생각 후 답변이 죽 출력이 되었는데 출력 끝부분에 네트워크 커넥션이 유실되었다고 재연결을 시도중이라는 해바라기 모래시계가 빙글빙글 돌면서 답변 완료가 안돼 어쩔 수 없이 페이지를 새로고침 했는데 그 뒤 해당 답변 전체가 유실이 된 채 하단에 "생각 중지됨" 문구가 보이면서 답변 재생성 아이콘도 보이지 않아 프롬프트 수정으로 들어간 뒤 다시 "보내기" 버튼을 눌러서 답변을 다시 생성했지만 결국 [그림1]과 같은 빨간색 에러 상태가 계속 반복이 되더라구요. <br /> <br />여러분도 다른 포스트에서 제가 관련 공유링크를 언급드려서 아시겠지만 제가 4일 마다 이 프롬프트 내용으로 계속 정리를 받고 있었는데 이 문제 때문에 현재 계획에 차질이 생겼습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챗GPT_Thinking_답변에서_에러가_나타나지_않았는데_오늘_예약답변_출력_부실해서_프롬프트로_직접_날렸더니_이_에러가_계속_뜨네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2일 Thursday AM 05:41:28 이윤찬 Thu, 02 Oct 2025 05:41:2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지금 트위터에 새 꼭지를 발행해도 타임라인에 노출이 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네요. 그래서 다시 똑같은 꼭지를 업로드하려고 하면 이미 작성한 트윗이라고 뜹니다. 헐~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3 뭔가 트위터에 문제가 발생한 것 같은데 지금 여러분들도 똑같은 현상이 발생할 듯 싶은데 지금 해당 문제 해소가 되었나요?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1일 Wednesday PM 02:52:44 이윤찬 Wed, 01 Oct 2025 14:52:4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대화 세션을 시작해 PC와 아이폰13에서 챗GPT-Thinking 을 번갈아 이용하면서 한가지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전 PC에서 씽킹 버전을 선택하여 대화중이었는데 아이폰으로 이동하면서 5 기본 버전이 선택돼 있었고 그 엔진 답변을 받고 나서 다시 씽킹 버전을 선택해 답변을 받았더니 그후 집에 와서 PC로 몇 번 프롬프트 날리고 나서 그 엔진 변동 지점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2 대화 세션을 시작해 PC와 아이폰13에서 챗GPT-Thinking 을 번갈아 이용하면서 한가지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전 PC에서 씽킹 버전을 선택하여 대화중이었는데 아이폰으로 이동하면서 5 기본 버전이 선택돼 있었고 그 엔진 답변을 받고 나서 다시 씽킹 버전을 선택해 추가 1회 답변을 받았더니 그후 집에 와서 PC로 몇 번 프롬프트 날리고 나서 그 엔진 변동 지점의 2개 대화 내역이 감쪽같이 사라져 버리는 증상을 겪었습니다. 전 아까 그 엔진 변화 경계 지점에서 씽킹 버전이 답한 내용을 답변 하단 공유 아이콘을 터치해 공유링크 생성 후 친구 카톡으로 그 꼭지 답변만 볼 수 있는 링크를 날렸고 집에 와서도 추가 프폼프트 몇 건을 하고 난 다음에 최종 전체 대화 내역의 공유링크를 생성했지만 이미 대화 내역엔 아까 엔진 변경 시점의 2개 대화 내역이 사라져 있었습니다. 뭔가 버그이거나 OpenAI가 뭔가 오늘처럼 아이폰에서 챗GPT 답변 하단 특정 답변 내용만 보이는 공유링크 생성 기능을 제공하면서 일부러 혹은 미처 모르고 있는 버그를 만들어놓은 거 같았습니다. <br /> <br />아이폰13에서 그 세션 대화 내역에서도 그 2건 질답은 안보이고 PC 웹 버전에서 새로고침을 해도 마찬가지로 그 2개 대화내역은 안보입니다. <br />ㅡ_ㅡ <br /> <br />뭔가 희안한 문제인데 OpenAI가 일부러 이 문제점을 방치하고 있거나 해당 이슈를 모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PC와 모바일간에 왔다갔다 전환하면서 세션 대화를 이어나가면서 아이폰에서 답변 하단의 공유 링크를 생성할 때 발생하는 문제라서 좀 의구심이 드는데 기억을 더듬어 이력을 추적한 결과 현재 파악된 내용은 그렇습니다. <br /> <br />왜 이런 증상이 발생하는지 아시는 분... <br /> <br />뭔가 OpenAI가 챗GPT-Thinking 이 답변한 내용을 공개하고 싶지 않아 이런 변형적인 형태로 종류가 다른 공유링크 생성 과정에서 대화 내역을 누락시킨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처음에 들었는데 누구 이 문제의 전말을 알고있는 분 안 계실까요? <br /> <br />즉 해당 아이폰에서 생성한 공유링크 즉 특정 프롬프트의 답변만 보이는 공유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답변이 보이는데 집에 와서 새로고침했다는 PC의 해당 대화 세션에선 엔진 변경 시점의 2개 대화 내역이 다 사라져버렸다는 이야기입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10월 01일 Wednesday PM 02:42:35 이윤찬 Wed, 01 Oct 2025 14:42:3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아까 회사 알바일 처리하느라 산책등산엘 못가서 마치고 시장으로 장을 보러 나가서 토마토/오이/두부/찰떡을 잘 사가지고 왔는데 어머니 말이 왜 찰떡 2접시에 3천원에 사오라는 걸 3접시에 5천원에 사왔냐고 떡 3접시를 내팽개치고 아주 난리를 치시는데... 참 황당하고 말문이 막혔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1 아버지가 평소 시장 갈 때면 찰떡을 사오라고 하셔서 오늘 나가서 장을 봐온건데 어머니 이렇게 제가 우리집 식구가 먹을 음식을 잘 사가지고 왔는데도 갔다와서 아버지는 오늘 늦어서 안드신다고 하고 제가 토마토 중간 크기 것 2개 무쳐서 먹고 찰떡 5개들이 한 접시를 뜯어서 그중 3개를 또 먹었다고 아주 분을 못이기시면서 찰떡 접시를 3번이나 내던지시고 아주 난리도 아니었네요. <br /> <br />찰떡 2접시에 3천원엔 팔지 않고 1접시에 2천원, 3접시에 5천원에 팔아서 3접시 사왔다고 알아듣게 설명을 드렸는데도 많이 사왔다고 사 온 떡접시를 격분하여 내던지는 어머니가 여러분은 이해가 되십니까? 그깟 5천원이 뭐라고 힘들게 시장 봐 온 아들에게 이렇게 할 수 있는지 정말 이해가 안가네요. <br />ㅡ_ㅡ <br /> <br />여러분은 이 상황이 이해가 가시는지... 참 어머니 여태까지 거의 20분 넘게 똑같은 책망을 쇼파에 누워 하고 계십니다. 담 번 부터는 너 안시키고 자기가 장을 보시겠다는데 실현 불가능한 말을 이렇게 서스럼없이 하시는 어머니가 참 애처롭기까지 합니다. 작년 의자 사고 이후 지금은 많이 좋아지셨어도 혼자 장보시는 게 힘든 거 온 가족이 다 알고 본인도 잘 아는데도 5천원 그까짓 떡 3접시 사온 게 돈이 아까워 이런 행동을 하시는 모습을 보고 참 힘들다 생각했네요. <br /> <br />&lt;추신&gt; <br />ㅋㅋ 어머니 말이 지금 쇼파에서 내가 복이 없어서 이런 꼴을 보고 산답니다. ㅎㅎㅎ. 너무 복에 겨운 걸 모르시니 제가 환장할 일입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30일 Tuesday PM 05:57:47 이윤찬 Tue, 30 Sep 2025 17:57:4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아이폰13으로 조금 전 7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왜 PC에서 사진 가져오기를 실행하면 2장만 가져와지고 가장 최근의 5장은 가져와지지 않고 아이폰에 그냥 남아 있는 건가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0 이 문제 때문에 지금 나머지 5장을 마저 가져와서 챗GPT에게 프롬프트를 날려야 하는데 질문을 못하고 있습니다. 젠~장 18.6 버전 때부터 그랬는데 18.6.2 판올림 버전도 마찬가지네요. 근데 웃기게도 이 버그 해소 안된 상태에서 지금 설정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클릭해 봤더니 다시 18.7 버전으로 판올림을 하겠다고 뜹니다. 이런 우라질~ <br /> <br />이 자식들은 진짜 개념이 없는 놈들이네요. 아직도 정신을 제대로 못 차린 것 같습니다. <br /> <br />&lt;추신&gt; <br />헐~ 5분 뒤에 다시 케이블 해제 후 재 연결해서 다시 사진 가져오기를 실행했더니 나머지 5장의 사진도 가져와집니다. 결국 이 놈들이 시간차를 두고 최근 사진이 가져와지도록 아이폰13을 프로그래밍 했다는 얘기잖아요. 아니면 케이블을 두 번 재연결 해서 사진가져오기를 연이어 해야 모두 가져오기 되도록 프로그래밍을 했던지요. 이 자식들 무슨 꿍꿍이 속으로 이런 식으로 사진가져오기를 만들어 놨을까요? 아무래도 이용자들이 아이폰13에 있는 사진을 쉽사리 전부 가져오기 하지 못하게 하려고 삑싸리를 심어놓은 건 아닐까요? 왜냐하면 아이폰13이나 iCloud 용량을 잡아먹게 하려면 케메라로 찍은 사진들이 아이폰13이나 iCloud 에 남아있게 만들어야 하는데 유저들이 사진가져오기로 전부 PC에다 사진을 저장하면 자신들의 계획에 차질이 생길테니까요. <br /> <br />딱 그 각 아닙니까?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8일 Sunday AM 10:17:47 이윤찬 Sun, 28 Sep 2025 10:17:4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7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여러분은 아이폰6에서 집 와이파이 잘 연결되시나요? 요새 아이폰13과 다르게 연결이 매우 불량해졌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9 구형 기기에 대한 고의적인 신호 품질 불량 문제를 애플이 야기시키는 건 아닌지 이 문제 때문에 요새 좀 짜증이 납니다. 너무 속보이는 증상인데 요새 계속 이래서 N704BCM 공유기로 형성되는 와이파이 신호를 이 아이폰6가 제대로 붙잡지 못하면서 상단 상태바에 와이파이 연결 아이콘이 사라지거나 신호가 약하게 연결된 상태가 다반사가 되었습니다. <br /> <br />예전과 다르게 요새 보여지는 전형적인 구형 기기 팽 증상입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7일 Saturday PM 01:42:29 이윤찬 Sat, 27 Sep 2025 13:42:2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이번에 가비아 호스팅에서 한 달 이용료 3만 8천원 정도를 지불하고 오픈소스 게시판 수정증보판 5개 버전별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게 덧글이 달렸을 때 게시자한테 보내지는 메일이 발송 에러가 떠서 봤더니 회신처나 참조자, 그밖의 헤더 등 일체의 정보가 빠져야 메일이 전송되는 등 메일 시스템이 엉성해서 도저히 이 기준으로 배포 소스를 수정할 수 없었습니다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8 가비아 고객센터 담당자는 아래와 같은 소스 상태에서만 메일이 보내지는 현 시스템을 손보지 못하고 나가 떨어져서 현재 배포되는 오픈소스 게시판 수정증보판 본래 소스 lib.php 파일에서 사용하는 zb_sendmail() 함수 기준으로 호스팅 환경을 셋팅할 수 없었는지 아이비 호스팅에서는 이용이 가능한 본래 lib.php 소스를 제가 이 가비아 기준에 맞추기에는 혹여나 도달할 수 없는 메일이 갔을 때 회신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도 사라지기 때문에 가비아 메일 발송 시스템을 신뢰할 수 없었습니다. <br /> <br />즉 배포 소스를 이 기준에 맞출 수 없었다는 뜻입니다. 담당자가 하단의 메일 발송 문구 부분과 zb_sendmail() 함수 대신에 내장함수인 mail() 함수만을 사용하여 mailtest.php 파일을 루트 폴더에 생성하면서 그렇게 해서 메일이 발송된다고 제 소스 코드를 수정해 사용하라는 말을 했는데 헤더 정보가 다 그렇게 빠진 상태론 배포소스를 거기에 맞출 수 없었다는 거지요. 가비아는 이런 면에서 아이비보다 못한 호스팅이라고 볼 수 있겠더라구요. 또 관리자 페이지에 있는 DB 백업 시 로컬에 저장되는 제로보드 게시판과 메모 관련 테이블 관련 DB 덤프는 받아지지만 호스팅 루트 폴더에 생성되는 Aanalyzer 등 전체 DB 테이블은 백업은 크기가 0인 파일로 생성이 되기 때문에 제가 소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완벽히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도 좀 나빴습니다. <br /> <br />초반에 메인페이지 백지 현상만 기술 담당자가 조치를 취해 blrun_euckr 배포 소스가 제대로 동작하는 걸 확인했는데 이후 이 두 가지 문제를 고객센터 1대1 문의에 해결 요청을 했지만 전 단락에서 언급드린대로 해결에 미온적이고 설치 비용에 비해 서비스 수준이 만족스럽지 못했습니다. 이건 여러분도 호스팅 이용 시 참고하세요. <br /> <br />암튼 나머지 버전을 한 달 이용 기간 내에 테스트를 다 하려고 하지만 그 이후에도 호스팅을 계속 이용하기엔 이렇게 살짝 서비스가 아쉬웠다는 얘기죠. <br />ㅡ_ㅡ <br /> <br />가비아 호스팅 설치비와 월이용료가 너무 비싸서 이용하실 분들이 얼마나 계실지 모르겠지만 챗GPT가 버전별 배포 소스 테스트를 하기엔 가장 적합하다고 해서 이용한 호스팅이었는데 메일 발송 에러 문제와 전체 DB 백업 안되는 문제 응대는 너무 날림이었습니다. <br /> <br />[아래는 덧글이 달렸을 때 게시자한테 메일이 안가는 문제 문의했을 때 담당자가 mail() 함수는 현재 동작한다고 하여 그 mailtest.php 파일을 배포 소스 기준에 맞게 재구성한 소스 코드입니다] <br /><pre class="brush: php; html_script: true; first-line: 1" title="아래는 덧글이 달렸을 때 게시자한테 메일이 안가는 문제 문의했을 때 담당자가 mail() 함수는 현재 동작한다고 하여 그 mailtest.php 파일을 배포 소스 기준에 맞게 재구성한 소스 코드입니다"> <br />&lt;? <br />// PHP 5.2 호환: 꼬리표/공백 제거 헬퍼 (클로저 대신 일반 함수) <br />function zb_strip_tail($s)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 '', $s); // '|||' 이후 모두 제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trim($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s+/', '', $s);&nbsp;&nbsp;&nbsp;&nbsp;&nbsp;&nbsp;// 중간 공백 제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s; <br />} <br />// zb_sendmail() 본체만 교체 <br />function zb_sendmail($type, $to, $to_name, $from, $from_name, $subject, $comment, $cc="", $bcc="")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1) 주소 정리 (PHP 5.2 호환)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nbsp;&nbsp; = zb_strip_tail($t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rom = zb_strip_tail($from);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c&nbsp;&nbsp;!== "") $cc&nbsp;&nbsp;= zb_strip_tail($cc);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bcc !== "") $bcc = zb_strip_tail($bcc);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2) 본문 가공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ype == 1) $comment = nl2br($commen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CRLF 통일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mment = str_replace("\r\n", "\n", $commen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mment = str_replace("\n", "\r\n", $comment);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 최소 헤더 (가비아/범용 안전안)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표시이름/To/Cc/Bcc 헤더 생략, From은 이메일만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eaders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ype == 1)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eaders .= "MIME-Version: 1.0\r\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eaders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euc-kr\r\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eaders .= "From: ".$from."\r\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필요시 사용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headers .= "Reply-To: ".$from."\r\n";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4) mail() 호출 (첫 인자는 순수 이메일, 5번째 인자 사용 안 함)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mail($to, $subject, $comment, $headers); <br />} <br /> <br />// 에러 메세지 출력 <br />function error($messag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essage=str_replace("&lt;br&gt;","\\n",$messag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essage=str_replace("\"","\\\"",$message); <br />?&gt; <br />&lt;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gt; <br />&lt;script&gt; <br />alert("&lt;?=$message?&gt;"); <br />&lt;/script&gt; <br />&l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xit; <br />} <br /> <br />$to = "blrun39@hanafos.com|||122.35.29.250"; <br />$to_name = "이윤찬"; <br />$_from = "admin@blrun.net"; <br />$subject = "PHP Mail Send"; <br />$contents = "PHP mail() Test Send"; <br />$headers = "From: $_from\r\n"; <br /> <br />if(!zb_sendmail(0, $to, $to_name, $_from, "관리자", $subject, $contents)) Error("메일 발송 에러"); <br />else&nbsp;&nbsp;Error("메일 발송 성공"); <br />?&gt; <br /> <br /></pre><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7일 Saturday PM 12:42:01 이윤찬 Sat, 27 Sep 2025 12:42:01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형이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한 피사의 사탑 실험 이야기를 하면서 현대 과학은 "서로 질량이 다른 물체를 떨어트려도 같이 떨어진다는 주장을 한 이후 과학" 과 그 이전 과학의 시대로 나뉜다는 이야기를 해서 제가 지구같이 큰 물체 끼리의 사이는 가속도가 다르지 않냐는 말에 형이 욱해서 똑같다는 말에 제가 챗GPT한테 물어보자고 하여 오늘의 사달이 발생했는데 덕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9 형이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한 피사의 사탑 실험 이야기를 하면서 현대 과학은 "서로 질량이 다른 물체를 떨어트려도 같이 떨어진다는 주장을 한 이후 과학" 과 그 이전 과학의 시대로 나뉜다는 이야기를 해서 제가 지구같이 큰 물체 끼리의 사이는 가속도가 다르지 않냐는 말에 형이 욱해서 똑같다는 말에 제가 챗GPT한테 물어보자고 하여 오늘의 사달이 발생했는데 덕분에 공부를 많이 했습니다. <br /> <br />아래는 제가 물어 본 내용에 대한 챗GPT의 답변과 제미나이 2.5 프로의 답변인데 비슷하면서도 상당히 다른 관점의 답변이라 이 둘을 잘 이해하시면 오늘 제가 물어본 질문의 대한 해답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덕분에 물리 공부 진하게 했네요. 결국 지구 끼리의 사이에서건 지구와 쇠구슬 사이의 거리건 똑같은 중심 거리라고 한다면 가속도(속도의 변화 = 이동하는 거리)는 같다는 건데 챗GPT는 상대 가속도라고 해서 큰 지구끼리는 가까워지는 속도가 2배라는 걸 이해하는 게 중요하고 제미나이는 지구와 쇠구슬 사이의 거리는 지구 반지름 만큼 중심이 떨어져 있지만 지구와 지구 사이는 최소한 지금 반지름의 2배 이상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쇠구슬과 지구의 가속도(속도의 변화)와는 당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는 내용이 나와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br /> <br />결국 지구와 지구끼리의 낙하나 충돌 상황은 거리가 매우 멀기 때문에 지구 가까이에 있는 물체의 가속도와는 눈에 띄게 그 속도가 떨어지게 되고 우주에 있는 물체가 지구로 엄청나게 늦게 떨어지듯이 지구와 지구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선 지구에 있는 쇠구슬 2개가 인력이 작용하지만 거의 충돌이나 가속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지구와 지구 사이에 만유인력이 작용하더라도 그 가속도 또는 속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br /> <br />그게 이번 이슈를 AI에게 물어보면서 알게 된 내용들입니다. <br /> <br /><b>챗GPT-Thinking)</b> <a href=https://chatgpt.com/share/68d60688-3da0-8009-aa11-c0b600c28f0c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d60688-3da0-8009-aa11-c0b600c28f0c </a><br /><b>제미나이 2.5 프로)</b> <a href=https://g.co/gemini/share/3e2d19564069 target=_blank>https://g.co/gemini/share/3e2d19564069</a><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7일 Saturday AM 11:58:40 이윤찬 Sat, 27 Sep 2025 11:58:4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9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미분류 이윤찬 - 어제 알바 회사 1개 사이트에 새 보안서버 인증서를 설치했는데 이게 www가 붙는 도메인과 www가 붙지 않는 도메인 2개에 다 동작하게 돼 있는데 뉴엣지 브라우저를 제외하고 크로미움 브라우저와 파폭 브라우저 모두에서 https://medione.co.kr/ 를 브라우저 주소창에 붙여넣기 하면 net::ERR_CERT_DATE_INVALID 가 뜨면서 연결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7 알바 회사 1개 사이트에 새 보안서버 인증서를 설치했는데 이게 www가 붙는 도메인과 www가 붙지 않는 도메인 2개에 다 동작하게 돼 있는데 뉴엣지 브라우저를 제외하고 크로미움 브라우저와 파폭 브라우저 모두에서 <a href=https://medione.co.kr/ target=_blank>https://medione.co.kr/</a> 를 브라우저 주소창에 쳐넣으면 net::ERR_CERT_DATE_INVALID 가 뜨면서 "비공개 연결이 아닙니다" 상태가 됩니다. <br /> <br />인증서에 문제가 없고 카페24 외부인증서 설치 통해 정상적으로 호스팅에 어제 적용해 줬는데 위 에러 메시지 보이길래 인증서 정보를 봤더니 어제 만료일자의 인증서 정보가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아래 [그림1]의 새 인증서가 보여야 하는데 말이죠. <br /> <br />현재 MS 뉴엣지 브라우저에서는 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데 크롬/웨일/파폭/오페라 브라우저 모두에서 이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카페24에 문의를 해놓은 상태인데 챗GPT에게 물어봤을 때 클라이언트에서 더이상 해줄 수 있는 조치는 없기 때문에 답변을 기다려야 하는데 오늘이 토요일이라 월요일까지 기다려야 하는 게 좀 불편합니다. <br /> <br />뭔가 새 인증서를 로드해야할 브라우저 동작이 예전 인증서를 로드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 같은데 참 개운치가 못한 게 계속 신경이 쓰입니다. 물론 주소창에 medione.co.kr 나 www.medione.co.kr 을 쳐넣거나 <a href=http://medione.co.kr target=_blank>http://medione.co.kr</a> 나 <a href=https://www.medione.co.kr target=_blank>https://www.medione.co.kr</a> 를 붙여넣기해 엔터키를 치면 정상적으로 <a href=https://www.medione.co.kr target=_blank>https://www.medione.co.kr</a> 로 사이트가 리다이렉션이 되면서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로딩이 됩니다. <br /> <br />아래는 www 폴더의 .htaccess 설정인데 챗GPT가 아래 설정을 보고 보다 심플한 설정을 보완해 주기도 했지만 이 설정 문제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아래 [그림1] 과 같이 챗GPT가 말한 SAN 설정도 2개 도메인로 발급돼 있는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에 인증서 문제도 아닌 것 같았습니다. 브라우저 문제 같기도 한데 오늘 새벽에 이 문제 알아보느라 시간을 꽝 날려먹었네요. 젠~장. <br /> <br />[카페24 www 폴더 .htaccess 설정] <br />RewriteEngine On <br /># ensure www. <br />RewriteCond %{HTTP_HOST} !^www\. [NC] <br />RewriteRule ^ <a href=https://www.%{HTTP_HOST}%{REQUEST_URI} target=_blank>https://www.%{HTTP_HOST}%{REQUEST_URI}</a> [L,R=301] <br /># ensure https <br />RewriteCond %{HTTP:X-Forwarded-Proto} !https <br />RewriteCond %{HTTPS} off <br />RewriteRule ^ <a href=https://%{HTTP_HOST}%{REQUEST_URI} target=_blank>https://%{HTTP_HOST}%{REQUEST_URI}</a> [L,R=301]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인증서_대체_이름_이게_SAN_아냐.png' align='' width='1919' height='120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7일 Saturday AM 06:49:47 이윤찬 Sat, 27 Sep 2025 06:49:47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챗GPT가 국민주권정부 국정 제가 4일마다 매번 물어보는 것 자동화 시켜준다고 해서 그렇게 해달라고 했는데 한 번 자동 답변 해주더니 이후 이렇게 오동작을 하네요 헐~ 외 3건.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6 <b>1.</b> 아래와 같이 4일 마다 요약해주는 기능이 오늘 새벽 4시 30분에 자동 실행이 됐는데 이게 웹 검색 도구 오류가 발생했다면서 다음 [그림1]과 같이 정리 내용이 다 누락이 됐는데 아침부터 다른 일 하다가 챗GPT가 이래서 김이 샜습니다. 이게 해당 4일 주기 내용이 실패했다고 끝에 보이기도 했지만 오른쪽 캔버스를 열었을 때 해당 48일 마다 내보내기를 하라는 마스터 요약 내용도 보시는 것처럼 다 검색 도구 오류로 내용이 누락이 돼서 오늘은 해당 내용을 정리받을 수 없었습니다. <br /> <br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요? 그냥 차라리 수동으로 종전처럼 프롬프트를 날려서 답변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돼버렸는데 아침부터 이것 때문에 재수가 없어서인지 하루 종일 2번 이후와 같은 일도 있었습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챗GPT가_국민주권정부_국정_4일마다_매번_물어보는_것_자동화_시켜준다고_해서_그렇게_해달라고_했더니_한번_해주더니_그후_이렇게_오동작을_하네요_헐.png' align='' width='1920' height='108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 <br /><b>2.</b> 아이폰 사파리에서 브라우저 즐겨찾기 북마크가 전부 날아갔습니다. 이게 일전에 아이폰13 내 애플 계정을 로그아웃 후에 다시 로그인을 하면서 iCloud 백업을 할 건지 물어서 필수 내용만 백업을 받고 아이폰 백업은 PC로 받으려고 껐는데 이게 그것 때문인지 아니면 해킹 때문인지 이렇게 사파리 브라우저의 즐겨찾기가 깨끗하게 날아가 버렸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아시는 분... <br /> <br />[그림2]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9_24_006.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 <br /><b>3.</b> 오늘 신림역 4번 출구에서 마을버스를 타면서 제 체크카드겸 버스교통카드를 찍고 왼쪽 뒷주머니에 교통카드를 넣은 뒤 스마트폰을 하다가 20분 있다가 동네 아파트 308동 정류장에 도착할 즈음 내릴 준비를 하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체크카드겸 교통카드가 보이질 않는 겁니다. 그래서 왼쪽 아이폰6 있는 주머니를 만져봐도 없고 오른쪽 주머니, 가방 안을 뒤져봐도 카드가 안보여 어쩔 수 없이 정류장에 도착해 카드 잃어버렸구나 하고 가방을 들고 태그 없이 그냥 내렸는데 집에 와서 어머니한테 엄마 나 카드 잃어버렸다고 분실신고를 해야겠다고 하는데 엄마 아직 하지 마라고 좀 더 찾아보라고 하시면서 제 가방을 뒤지시는데 내용물을 다 꺼내도 카드는 안보이고 나도 귀신이 곡할 노릇이라 아무래도 부정탄 것 같아서 분실신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어머니 동네방네 또 이 일 가지고 수소문 하러 나가신 사이 저는 신한카드 쪽에 분실 신고를 했고 얼마있다 재발급 신청까지 했는데 어머니 들어오시더니 작은누나한테까지 전화를 하시는 등 부산을 떠셔서 어머니 제가 카드 재발급 신청했으니까 신경쓰지 마시라고 나도 오늘 재수가 없는 날이라고 그러면서 안심을 시켜드리려고 했는데 어머니 마을버스 회사 전화번호를 저보고 알려달라는 걸 아까 제가 버스 회사에 물어봤을 때 직원이 수거된 것 없다고 하지 않았냐고 그만 하시라고 하자 급기야는 아파트 경비아저씨한테 전활 하는 걸 보고 어처구니가 없었는데 그 사이 전 PC를 켜면서 컴을 하다가 아이폰6 충전할 때가 돼서 아이폰6를 들고 충전을 하려고 했을 때 헐~ 젤리 케이스 뒷면에 신한 체크카드겸 교통카드가 비닐수첩에 들은 채 젤리 케이스에 딱 붙어 있는 것이 아닌가? <br /> <br />하도 어이가 없어서 아까 버스에서 내릴 때 분명히 왼쪽 주머니에 있는 아이폰6를 만져봤을 때 분명히 케이스 뒷면에 카드가 붙어있지 않았는데 평소 왼쪽 뒷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걸 왜 왼쪽 바지 주머니 아이폰6 있는 데 카드를 넣어놨을까 하고 신세 한탄을 하면서 오늘 일진이 안좋긴 안좋네 하면서 어머니께 이 사실을 말씀드리자 어머니 왈 신한카드에 전활 해서 카드 찾았다고 말하고 종전 카드는 그대로 살리라는 걸 제가 카드 신청 들어가서 이건 못쓴다고 하자 결국 작은누나한테 다시 전활 해서 물어보는데 누나도 똑같은 얘길 하니까 그제서야 제 말을 인정하는 걸 보고 또 한 번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br /> <br />암튼 오늘 일진이 이렇게 안좋았습니다. <br /> <br /> <br /><b>4.</b> 오늘 어머니 거실에 계시면서 어머니 폴더폰의 벨이 울렸는데 어머니 전활 받으시더니 한참을 누구랑 실랑이 하시더니 전화를 끊고 나서는 PC를 하고 있는 저를 보고 "XXX님 본인이시면 네 아니시면 아니오 라고 말씀해 주세요. XXX님 본인이시면 네 아니시면 아니라고 말씀해 주세요. 다시한번 말씀해 주세요. XXX님 맞으신가요?" 라고 말하는 전화가 왔는데 저보고 도대체 그게 무슨 전화인지 좀 알아보라는 겁니다. 그래서 전화번호를 봤더니 1599-1111 번이라 광고 전화일 거라고 어머니를 안심시키자 전화 내용이 특이해서 자꾸 저보고 다시 알아보라고 재촉을 하셔서 제가 좀 짜증이 났는데 그 후 다시 PC를 하다가 보니 제 아이폰13에도 부재중 음성이 녹음돼 있어서 봤더니 그 전화번호로 음성 녹음이 돼 있었고 "이윤찬님 본인이시면 네 아니시면 아니오 라고 말씀해 주세요. 손님 말씀이 들리지 않습니다. 이윤찬님 본인이시면 네 아니시면 아니라고 말씀해 주세요. 다시한번 말씀해 주세요. 이윤찬님 맞으신가요? 형님 말씀이 들리지 않아 먼저 통화를 종료하겠습니다. 추후에 다시 연락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라는 멘트의 여성 목소리가 녹음이 돼 있더라구요. <br /> <br />헐~ 여러분은 오늘 이런 이상한 전화 가족들한테 오지 않으셨는지... 이게 무슨 전화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어머니가 하도 이상해서 저를 괴롭힌 거였는데 저도 똑같은 전화를 수신받았지만 아이폰13이 중간에서 제 전화번호부에 없는 번호의 전화라 자동 차단을 한 거였는데 뭔가 좀 이상한 건 사실입니다. <br /> <br /> <br />오늘 이렇게 4가지 이상한 일이 한꺼번에 발생해 아까 오후 점심 식사하러 집에 도착할 즈음 발생할랑 말랑 했던 리스페달 약 부작용이 지금에 와서 좀 심해져서 안절부절 정좌불능증이 생길랑 말랑 하다가 지금 이 글을 다 작성하고 날 즈음이 되니 좀 나아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br />^^;<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4일 Wednesday PM 03:10:40 이윤찬 Wed, 24 Sep 2025 15:10:4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지금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해야 하는데 PC에서 농협 카드 보안 플러그인 설치완료 안됩니다. 이렇게 플러그인 다 설치됐지만 자꾸 보안 프로그램 설치하라고 뜹니다. 농협은 예전부터 계속 그랬는데 참으로 한심하네요. 어떻게 이 지경으로 PC 뱅킹을 관리하는지 오늘 새벽 이 문제 때문에 시간을 꽝 다 날려먹었습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3 msconfig로 윈도우즈10 서비스를 제외하고 모든 서비스를 체크해제 한 다음 시작 프로그램까지 모두 사용안함으로 한 뒤 재부팅을 하여 농협카드 플러그인을 설치해도, "전체 설치" 나 "개별적으로 하나씩 다운로드해 설치" 를 모두 해봐도, 심지어는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보안 프로그램을 전부 제거한 다음 재부팅하여 다시 처음부터 농협카드 플러그인 설치를 해봐도 마찬가지로 아래 이미지와 같이 보안 플러그인은 전부 설치돼 있다고 뜨지만 정작 새로고침하여 사이트를 이용하려고 하면 보안 플러그인이 설치돼 있지 않다고 뜨면서 재차 플러그인 설치 페이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이트를 전혀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br /> <br />농협 예전부터 계속 이 문제 있어왔지만 이렇게 윈도우즈10을 새로 설치하거나 충돌되는 보안 플러그인이 현재 램상주 목록에 없는데도 이렇게 이용자들이 사이트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를 계속 방치하고 있습니다. 이것 제대로 보안 플러그인 동작을 확인하고 있지 않거나 제대로 관리가 안되고 있는 것이 분명합니다. <br /> <br />정말 농협 PC 뱅킹 서비스는 불편함을 넘어 이제 이용자들이 인내심의 한계를 느끼는 수준까지 된 것 같습니다. 어떻게 프로그램을 관리했길래 이 모양까지 왔는지 정말 괘씸합니다. 아마도 농협이나 여러 은행들이 인터넷 뱅킹을 모바일에서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것 같은데 PC 뱅킹의 보안 수준이 모든 보안의 기본인데 이걸 이렇게 엉터리로 각 은행이 PC 뱅킹 이용불가 현상을 방치하고 있으니 PC 뱅킹을 이용하는 유저 입장에서 속 터집니다. <br />ㅡ_ㅡ <br /> <br />여러분 PC 뱅킹이 통제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깔려 있을 확률이 모바일보다 높은 건 사실이고 보안 사고도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하여 PC 뱅킹 이용을 이런 식으로 불가능하게 만들어놓는 업체들의 행태가 이해가 가시나요? 게다가 모바일에서도 현재 악성 코드 프로그램 및 피싱 사기가 기승인데 결국 그런 식으로 보안 사고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막는 기술력을 찾기보다 결국 유저들의 불편을 담보로한 채 이렇게 기본기에 충실하지 못하고 땜빵 식으로 위기를 모면해 보려는 은행들의 행태 때문이라는 건 정말 자명한 일입니다. <br /> <br />새 PC에서도 농협 카드 홈페이지 이용이 불가능한 건 결국 일부러 PC 뱅킹을 이렇게 만들어 놓았다는 반증입니다. 이렇게 PC 뱅킹이 안돼서 보안 업체에 전화하면 그 사람들 어떻게 대응하는지 아십니까? 올바르게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제 PC에 설치하는 식으로 클레임을 제기하는 유저들 고객지원을 해줍니다. 결국 되는 프로그램은 자기들이 가지고 있습니다. 여태까지 줄곧 그랬습니다. 이게 말이 되나요? 참 나 어이가 없어서...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241"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791" target="_blank">관련글2</a>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지금_민생회복_소비쿠폰_신청해야_하는데_PC에서_농협_카드_보안_플러그인_설치완료_안됩니다_이렇게_플러그인_다_설치됐지만_자꾸_보안_프로그램_설치하라고_뜹니다.png' align='' width='1644' height='2232'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4일 Wednesday AM 05:52:30 이윤찬 Wed, 24 Sep 2025 05:52:30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3 쓰레기통 > 블록 이윤찬 - 싱가포르 위기의 교훈...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2 오늘 오후에 유튜브 보다가 우연히 시청하게 된 동영상인데 이탈리아 위기 편에 이어 싱가포르 위기 편을 보고 우리나라와 앞으로 전개될 양상이 약간 흡사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네들이 위기를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문제점들은 우리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할 내용이 많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r /> <br />우리네 위정자들이 한번쯤 시청해야할 좋은 동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br /> <br />싱가포르는 생각보다 오랫동안 리더십이 잘 발휘가 되었던 나라라는 생각이 들었고 다만 경제성장에만 올인하다보니 희생될 수밖에 없었던 국민 개개인의 행복은 미제로 남았다 라는 점이 인상이 깊었습니다. <br /> <br />우리나라 상황에 비추어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보여지네요. 이탈리아 위기편에 이어 이것 보느라 산허리 등산이 약 1시간 30분 가량 지연이 됐는데 다 보고 서둘러 등산을 시작해서 1시간 30분 등산을 마치고 집에 왔더니 오후 5시 25분이더라구요. 못 보신 분은 꼭 시청해 보시길... 싱가포르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됩니다. <br /> <br />한국은 앞으로 어떻게 전개가 될지 어렴풋이 떠오르는 뭔가도 있지만 좀 다르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br />^^; <br /> <br />교육 문제도 뭔가 비슷한 면이 많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위기 국가들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되는 이 시기를 잘 넘겼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br />===================================================== <br /> <br />출처 - <a href=https://youtu.be/fTJiGpV0VQM?si=sEz8rKNWOqkZ4OJ5 target=_blank>https://youtu.be/fTJiGpV0VQM?si=sEz8rKNWOqkZ4OJ5 </a><br /> <br /><iframe width="800" height="450" src="https://www.youtube.com/embed/fTJiGpV0VQM?si=icGNSq9agnsg4BqJ"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1일 Sunday PM 06:07:09 이윤찬 Sun, 21 Sep 2025 18:07:0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2 스크랩 > 첨언 이윤찬 - 구글의 "네티즌" 용어에 대한 AI 개요 설명이 거의 날조 수준이네요. ㅋㅋ 이런 게 제미나이의 성능이라면 전 안쓰고 맙니다. 지금 테스트로 한 번 다시 검색해 봤는데 이러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5 <a href="https://www.google.com/search?q=%EB%84%A4%ED%8B%B0%EC%A6%8C&amp;sourceid=chrome&amp;ie=UTF-8" target="_blank">구글에서 "네티즌" 검색어로 조회한 검색 결과</a> <br /> <br />여러분 아래 캡처 이미지를 한 번 보세요?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꼭 한국의 언론에서 주장할 법한 내용이 끝에 그 정체성이 왜곡된 채 언급이 돼 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렇게 "네티즌" 용어에 대한 날조 수준의 검색 결과가 AI 개요 쪽에 표시돼 있다는 게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네요 ㅋㅋ. 구글의 AI 개요 검색 결과라는 게 거의 제가 오늘 주장했던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이 글</a>에서처럼 구글이 유저들에게 어떤 단어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거의 왜곡된 틀에 가두려는 모양새 같아서 씁쓸합니다. 딱 그 각이지 않습니까? ㅋㅋ <br /> <br />AI 답변이 이렇게 특정한 단어에 대한 정체성을 왜곡할 정도의 수준이라면 그 AI 모델은 과연 사용할 가치가 있을까요? 신뢰할 수 없는 모델이란 얘기잖아요. 안그렇습니까? <br />ㅡ_ㅡ <br /> <br />제미나이 최근에 성능이 좋아진 줄 알았더니 이 대목에서 점수가 팍 깎였네요.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구글의_네티즌_용어에_대한_AI_개요가_ㅋㅋ_날조네요_제미나이가_이런_개요를_만들었으면_성능이_정말_엉터리네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1일 Sunday AM 08:56:35 이윤찬 Sun, 21 Sep 2025 08:56:3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구글 검색 이용 중 AI 모드 검색을 사용할 거냐고 물어서 어떤가 보려고 예를 클릭했더니 예전으로 돌아갈 방법을 모르겠네요. 왜냐하면 이런 모드는 제가 원했던 방향이 아니었으니까요. ㅡ_ㅡ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8 <a href="https://www.google.com/search?q=PC%EC%97%90%EC%84%9C+%EA%B5%AC%EA%B8%80+ai+%EB%AA%A8%EB%93%9C+%EA%B2%80%EC%83%89+%EB%81%84%EB%A0%A4%EB%A9%B4&newwindow=1&sca_esv=7984a7feca4b49bc&sxsrf=AE3TifOioaDeHVVl4vURlFpnnY8kWFpb-Q%3A1758398193037&ei=8QbPaPKFAtTH0-kPwdng8Q0&ved=0ahUKEwiywq3dj-iPAxXU4zQHHcEsON4Q4dUDCBA&uact=5&oq=PC%EC%97%90%EC%84%9C+%EA%B5%AC%EA%B8%80+ai+%EB%AA%A8%EB%93%9C+%EA%B2%80%EC%83%89+%EB%81%84%EB%A0%A4%EB%A9%B4&gs_lp=Egxnd3Mtd2l6LXNlcnAiKlBD7JeQ7IScIOq1rOq4gCBhaSDrqqjrk5wg6rKA7IOJIOuBhOugpOuptDIIECEYoAEYwwRIzyVQxRNY7x5wAngBkAEBmAHMAaABoQqqAQUwLjYuMbgBA8gBAPgBAZgCBqAC_QXCAgoQABiwAxjWBBhHmAMAiAYBkAYKkgcDMi40oAfSGLIHAzAuNLgH8AXCBwcwLjMuMi4xyAcV&sclient=gws-wiz-serp" target="_blank">"PC에서 구글 ai 모드 검색 끄려면" 으로 검색해 봤지만 안드로이드에서 끄는 방법만 나와있지 PC 구글에서 이걸 끄는 방법이 나와 있지 않습니다.</a> <br /> <br />이건 또 뭐래요? 구글 사용 중에 AI 모드 검색을 사용해 보겠냐고 묻는 등 이용자들 꼬득이더니 왜 이걸 종전 AI 도우미 검색으로 돌아갈 방법을 안내하고 있지 않은가요? AI 모드 검색은 검색 결과가 AI 답변만 나오는 방식이라 제가 원했던 방향이 아니어서 바로 종전으로 돌아갈 방법을 찾은 거였는데 구글이 이걸 일부러 막고 있네요. 그렇다면 제가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이 글</a>에서 제가 우려했던 부분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얘긴데 구글은 AI 모드 검색에 대해서 그렇게 자신만만한 건가요 아니면 종전 검색을 폐지함으로써 다른 무수한 이견이 존재하는 정보의 출처 없이 이용자들을 자신들만의 틀에 가두려고 하는 것인가요? 검색 결과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건 전 세계에 있는 모드 웹사이트들을 노출시키지 않고 자신들의 틀에 가둔 정보나 기준에 맞는 사이트들만 알려주겠다는 소린데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이 글</a>에서 언급드렸지만 그런 관점에서 너무나 우려스럽네요.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거기</a>서 제가 걱정한 대목을 결국 구글이 이렇게 실행에 옮기려고 하는 것인데 우리가 이걸 절대 용납해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21일 Sunday AM 04:31:42 이윤찬 Sun, 21 Sep 2025 04:31:42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8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아까 회사 알바일 하고 있는데 어머니가 매형이 샘플로 사 온 갈비탕 알아보라고 옆에서 하도 보채셔서 일 끝내고 마다못해 구입을 했는데 싸게 잘 구입한 걸 제가 지나가면서 판매점이 똑같은 상품을 쇼핑몰 마다 가격을 다르게 적어 올려놓는다는 얘기를 하니까 그 얘기 듣더니 어머니 왜 싼 걸 샀냐고 매형한테 전화까지 해가면서 스트레스를 주시는데...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4 제가 갈비탕 주문한 다음에 여담으로 동일 제품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그렇게 가격이 천차만별인 이유를 설명해 주었음에도 또 아까 어머니가 제가 알바일 하면서부터 하도 옆에서 엄마 말을 우습게 안다는 둥 보채길래 일 끝내고 인터넷에서 바로 갈비탕을 주문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공도 무색하게 바로 왜 싼 걸 샀냐고 제품 도로 물리라고 스트레스를 주시는데 아주 환장을 하겠더라구요. <br /> <br />그래봐야 8개 묶음에 최대 1만원 가격 차이이고 심지어는 그런 가격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그렇게 알기쉽게 설명드렸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는 비싼 게 다 좋은 줄 알고 너가 산 걸 물리고 매형한테 물어봐서 비싼 걸 사라는데 같은 공장에서 나온 제품이라 똑같다고 아무리 설명을 해도 마이통풍 먹히질 않아서 급기야는 매형한테 전활 했고 매형 하는 말이 8개 묶음으로 파는 건데 자기는 홈쇼핑에서 2개 더 얹어서 10개 묶음을 5만 9천원에 샀다고까지 얘기해 주는데도 저를 붙잡고 책망을 하시는데 아까 빨리 인터넷에서 알아보라고 알바일 끝내고 쉬고 있는 아들을 극구 보챌 땐 언제고 이렇게 좋은 제품 싸게 구매한 공도 없이 너한테 이제 이런 거 사오라고 시키나 봐라 하시면서 마음에도 없는 허언을 하시는 걸 지켜보고 있자니 정말 정나미가 떨어지더라구요. <br /> <br />그리고는 어머니랑 실랑이 하느라 오후 4시 알람 시간에 예정돼 있던 토마토에다 참깨가루랑 올리브유, 소금 약간 넣어 비벼 먹는 걸 깜빡 잊고 못해서 오후 4시 20분이 되어 여느 때와 같이 토마토 작은거 3개를 잘라서 막 씻어 요리를 하려고 했는데 갑자기 어머니 오셔서는 그 중에 한 개를 강제로 빼앗으시더니 1개는 자기가 생으로 먹겠다고 하셔서 제가 3개 요리해서 어머니 것도 덜어드리겠다고 했는데도 강제로 토마토 1개를 빼앗아가려고 하셔서 또 아들 스트레스를 주는데 결국 어머니를 이길 수 없어서 1개를 빼앗기고 냉장고에서 작은 걸 하나 더 꺼내 요리해서 아버지랑 나눠 먹었습니다. 참 아버지도 이렇게 행동하시는 어머니가 이해가 안가셨는지 아까 막간에 갈비탕 건도 그렇고 토마토 건도 그렇고 아버지 상식에 빗대어 저를 두둔하시는 말을 하셨는데 어머니는 그 말에 아랑곳 하지도 않고 폭풍 책망을 늘어놓으시며 당신이 윤찬이 이런 짓 못하게 해야 되는 거라고 저를 스트레스를 주는데 정말 울화통이 터져서 홧병이 날 정도였습니다. <br /> <br />여러분은 오늘 저희 집에 있었던 일 들으시면서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전 사실 결혼하지 않고 부모님 모시면서 이렇게 먹을 거리며 온갖 집안 일과 어머니 잔심부름을 도맡아서 도와드린 죄밖에 없는데 이렇게 공도 하나 없이 과외로 수시로 어머니한테 이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게 너무나도 억울합니다. 음식 사오고 장만하는 일은 스트레스가 아닌데 어머니의 피해의식에 쩔은 듯한 알 수 없는 행동을 타협해가면서 헤쳐나가기가 너무나 힘이 듭니다. 오늘 있었던 일련의 일들은 정말 너무 황당하고 기가 막혀서 그냥 꾹 참고 넘어갈 수가 없어서 이렇게 챗게시판에 여러분 보시라고 내용을 올려드리는 겁니다. <br />ㅡ_ㅡ <br /> <br />참 좋은 생각을 하고 행복한 담소를 나누어야 할 우리집 상황이, 또 요새 오픈소스 게시판 수정증보판 작업을 또 한차례 완벽하게 보강을 해서 그 마무리 되감을 축하해야될 상황이 이렇게 시끄러운 싸움판으로 변질돼 버렸다는 점이 너무나 안타깝고 이해가 안갑니다. 여러분이 저라고 한다면 이 상황이 이해가 되시겠습니까?<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16일 Tuesday PM 05:05:56 이윤찬 Tue, 16 Sep 2025 17:05:56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팝업 페이지가 보강 재로딩 되면서 세션 변수에 대입되는 값이 재차 갱신돼 대입되는 현상 우회 방법과 원인 규명... 마지막에 챗GPT가 사용한 단어 듣고 그제서야 오해가 풀렸습니다. ㅡ_ㅡ;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run1&no=104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blrun1/챗GPT_5_Thinking이_세션_변수에_값이_두_번_대입되는_현상을_해결책은_제시해_주었지만_쓸데없이_장황한_코드를_곁들였고_그_원인_추궁에_대해서_대충_얼버무리는_문제가_포착됨.rar">챗GPT_5_Thinking이_세션_변수에_값이_두_번_대입되는_현상을_해결책은_제시해_주었지만_쓸데없이_장황한_코드를_곁들였고_그_원인_추궁에_대해서_대충_얼버무리는_문제가_포착됨.rar</a><br /><br /> 첨부한 파일 및 아래는 알바일 하는 前 회사 사이트의 온라인 동영상 재생 팝업을 열수 있는 링크들을 모아 둔 페이지에서 회원들이 링크를 클릭해 팝업을 열어 동영상 재생 후에 "수강완료" 표시되지 않는 문제를 제가 확인해 보면서 오래 전에 있었던 브라우저 이슈가 생각이 나면서 그 문제일 거라는 직감이 들면서 챗GPT-5 Thinking 에게 그 내용으로 도움을 요청했지만 걔가 제 말을 무시하고 자기 방법대로 코드 수정 방법을 알려주었으나 처음에 잘 안돼서 제가 제 관점을 한번 더 확인시켜 주었더니 그제서야 각종 로그 캡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답변해 주었는데 여하튼 첨부 파일을 열어보시면 알겠지만 어제 오늘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갔던 과정이 모두 들어있으니 챗GPT-5 Thinking 성능이 어떤 식으로 발휘되는지 확인해 보실 분들은 꼭 한 번 열어보세요. 물론 PHP 코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지식이 있어야지 됩니다. <br /> <br />챗GPT-5 Thinking) <a href=https://chatgpt.com/share/68bfc4f4-9174-8009-9310-28c6417c31b1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bfc4f4-9174-8009-9310-28c6417c31b1 </a><br /> <br />원래는 이 파일과 카톡 내용을 여기에 공개하지 않고 이 문제 해결을 부탁한 대표님께만 공유하려고 했는데 브라우저의 업데이트된 특성 때문에 얼마나 많은 오해가 발생할 수 있고 이걸 우회해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몇 줄 안되지만 정작 챗GPT의 도움이 없었다면 얼마나 완벽한 해결이 어려울 정도로 단순치 않은지 잘 알 수 있는 대목이라서 한 번 이렇게 [자료게시판]에 마지막에 대표님께 날린 카톡 내용과 함께 해당 챗GPT-5 Thinking의 대화 내용을 캡처한 걸 가져왔습니다. <br /> <br />첨부 파일명은 제가 카톡 내용에서 언급드린 확신을 하기 전 생성한 거라 그닥 큰 의미를 두지 마세요. <br />^^; <br /> <br />소스는 어젯밤 자기 전 완성해서 적용을 끝냈는데 오늘은 하루 종일 제 나름대로 그 원인 규명을 하는데 시간이 다 소모됐던 겁니다. 참고하세요.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556" target="_blank">챗GPT-5 성능 관련 참고글</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040" target="_blank">이전에 똑같은 문제를 사전에 탐색했던 글</a> <br />=================================================================== <br /> <br />[대표님한테 이번 문제 해결 후에 최종적으로 날린 카톡] <br />대표님 원인은 브라우저가 업데이트 되면서 프리워밍(prewarming) 즉 팝업 열 때 사이트가 로딩이 완료되지 않는 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백그라운드에서 페이지를 두번 로드시키는 현상 때문입니다. <br /> <br />전 처음부터 이걸 브라우저의 어떤 악의적인 목적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챗GPT-5 Thinking은 끝까지 브라우저의 버그나 음모가 아니다 라는 논지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여러가지 테스트 방법을 제시했는데 이걸 최종 확인하고 걔가 보강/프리워밍 이라는 단어를 썼을 때 전 단락에서 언급드린 그런 편법적인 이유 때문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r /> <br />참 브라우저 개발이란 게 이렇게 편법을 쓰면서 팝업 페이지를 재로드시키기는 방법을 쓰고 결과적으로 이게 전 세계에 있는 무수한 사이트 운영자들을 이렇게 난처하게 만들고 있었던 겁니다. 물론 저의야 챗GPT는 음모가 아니라고 하지만 양상이 충분히 그런 의심을 살만한 증상을 야기시켰기 때문에 저도 끝까지 그런 의심을 놓지 않았던 거지요.<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9일 Tuesday PM 04:30:47 이윤찬 Tue, 09 Sep 2025 16:30:4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run1&no=104 이윤찬 - 애플 아이폰13 사용 중에 벨소리가 이상하게 안들리고 카톡 알림이 잘 울리지 않는 분들 필독입니다. 애플의 고질적인 새 기능 임의 적용 때문입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7 2년 전인가 3년 전부터 이상하게 카톡 알림이 잘 안울리고 제가 카톡 일정으로 등록해 두었던 각종 알림이 소리가 나지 않고 알림센터에만 보이는 증상이 계속 있어왔는데 그렇다보니 알람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해서 그리고 어제 같으면 큰누나가 전화를 했는데 왜 전화를 받지 않냐고 해서 봤더니 아이폰13 옆에 붙어있는 무음 스위치를 제가 켜놓았기 때문에 그런 거였다는 거고 이렇게 건망증 + 워낙 바쁘게 지내다 보니 그걸 오늘 새벽에 다시 켰는데 그 카톡 알림 안 울리는 문제는 예전부터 계속 있어왔기 때문에 오늘 참다 못해 설정을 살펴보다가 아이폰13 설정에서 "집중 모드" 란 게 있다는 걸 알게 됐고 그걸 아래 [그림1]과 같이 껐더니 정상적으로 새벽에도 카톡 알림이 울리는 것 같더라구요. <br /> <br />이게 애플에서 아이폰의 새 기능을 추가하면서 원래는 이용자의 동의를 얻어 그 기능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렇게 몇 년 전에 "집중 모드" 란 걸 선보이면서 임의대로 그 기능을 적용해서 생긴 결과란 것이고 이것 때문에 제가 2년 넘게 피해를 입은 걸 생각하면 정말 애플의 저의가 심각히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왜 이딴 걸 이용자의 동의 없이 임의대로 적용을 해놓느냐구요. 이용자 입장에선 새 기능이 적용된 걸 모르고 왜 카톡 알림이 안 울릴까 하면서 초보자들 같으면 영문도 모른 채 계속 불편함을 감수했을 것 아닙니까? <br /> <br />이런 대목은 정말 애플이 돌을 맞아도 쌉니다. 안그렇습니까? <br /> <br />문제의 그 "집중 모드" 끄는 방법은 설정 &gt; 아래 필드의 "집중 모드" &gt; "집중 모드 상태" &gt; "집중 모드 상태 공유" 를 끄시면 됩니다. iOS 18.6.2 버전 기준입니다. 정말 애플 이 자식들은 이용자들 골탕먹이는 데 일가견이 있는 놈들이라니까요. 제 말이 그겁니다. <br /> <br />애플은 그 밖에도 방해금지모드 란 것도 만들었는데 이렇듯 불필요하게 잡다한 아이폰 알림을 제한하는 기능을 만들어놓고 유저들이 아이폰의 모든 기능을 제대로 쓰지 못하게 만드는 작태는 정말 유저로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입니다. <br /> <br />한가지 전화번호부에 등록돼 있지 않은 발신자로부터 걸려오는 스팸 음성 전화를 자동 차단하는 기능은 적용돼 사용하면서 편리함을 느꼈습니다. 이게 필요한 전화가 차단이 될 수 있는 상황은 분명히 발생하는데 그 땐 알림센터나 바탕화면에 표시된 "받지 못한 전화" 목록을 보고 추후에 확인해서 전화번호부에 등록해 놓으면 되기 때문에 잘만 이용하면 스팸 전화로부터 해방이 될 수 있는 좋은 기능입니다. 이 기능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걸려왔던 전화가 스팸 전화인지 용무 때문에 온 전화인지 어떻게 아느냐고 반문하시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그 땐 걸려온 전화번호를 구글에서 복사 붙여넣기로 검색해 보시면 스팸전화인지 피싱전화인지를 대충 가늠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br /> <br />하지만 생활 속의 중요한 일정이 등록돼 있는 카톡 앱 이용 중 알림을 특정 상황에서 이렇게 일부러 울리지 않게 만들었던 원흉인 "집중 모드" 를 애플이 사전에 임의로 적용한 건 정말 좆망이었습니다. 최악의 기능 적용입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애플_아이폰_집중_모드_끔.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8일 Monday AM 05:56:17 이윤찬 Mon, 08 Sep 2025 05:56:1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7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챗GTP-5 Thinking, 아이폰13에서 OpenVPN 앱 문제 있는 것 종국에는 켬 스위치 모래시계 보이면서 접속 딜레이 되는 문제 자꾸 이것저것 해보라고 해서 다 해봤지만 없는 설정인데도 끝까지 애플 잘못은 없다는 식으로 말하는데 속 터지네요. ㅡ_ㅡ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6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blog1/[챗GPT_5_Thinking]_애플_아이폰에서_명백히_OpenVPN_앱이_오동작을_하는데_얘는_어디_설정하면_된다고_말해놓고_정작_해보면_해당_설정이_없거나_그건_원래_없는_거라고_말하면서_나가_떨어짐.rar">[챗GPT_5_Thinking]_애플_아이폰에서_명백히_OpenVPN_앱이_오동작을_하는데_얘는_어디_설정하면_된다고_말해놓고_정작_해보면_해당_설정이_없거나_그건_원래_없는_거라고_말하면서_나가_떨어짐.rar</a><br /><br /> 그냥 처음부터 애플 아이폰13 좆망이라고 말했으면 이 고생 안하는데 없는 옵션 해보라고 하면서 끝까지 애플 두둔하는 건 정말 입맛 떨어지네요. 물론 얘가 알려 준 "Seamless Tunnel" 옵션은 알아두면 유용한데 애플이 이 기능을 완벽히 지원하지 못하거나 켤 필요가 없는 옵션을 켜게 자꾸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게 이 대화 세션을 통해 내린 결론입니다. 아직 완벽해지지 않았습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463#3507"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470" target="_blank">관련글2</a> <br />=========================================================================== <br /> <br />출처 -&nbsp;<a href="https://chatgpt.com/share/68bb89b1-102c-8009-a1df-59f2c445b580"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bb89b1-102c-8009-a1df-59f2c445b580</a> <br /> <br /><b>[제가 1주일 전인가 이 대화 세션에서 말한 첫번째 프롬프트입니다]</b> <br />야 내가 아이폰13에서 OpenVPN을 안드로이드-M1 우분투 20.04 버전의 서버에 VPN 서버 구축해서 무료 접속 2개 기기까지 오랫동안 잘 쓰고 있는데 이게 아이폰6 시절과 아이폰13 초기 11버전(?) 대나 12버전대(?) iOS에선 LTE와 집 와이파이, 공공 와이파이 접속이 중간에 설립 상태가 바뀌더라도 내가 집에서 사용하는 192.168.0.1 아이피를 잘 유지했는데 이게 아이폰13 iOS 초기 버전 지나 12버전대인가부터 네트워크 망 접속 유형이 바뀔 때마다 이상하게 VPN이 재접속되면서 자꾸 이동 중 스마트폰이 할당 받은 공인아이피로 사이트가 리로딩이 되다 보니 내 사이트 같으면 접속 아이피를 체크해 192.168.0.1 아이피와 다르면 세션을 클리어 해서 자동 로그아웃이 되도록 만들었는데 너무 불편해진거야. <br /> <br />이게 아마 iOS 13 버전대 까지 그러다가 14버전대인가 잠시동안 그런 현상이 좀 나아지다가 최근 iOS 18.6.2 버전에서 오히려 더 심해져서 아이폰13 처음 샀을 때 처럼 초기에 접속을 잘 유지하는 성능은 거의 발휘하지 못하니까 내가 너무 불편해졌다. 사이트 로그아웃이 이동 중 너무 자주 풀려서 다시 인증번호 다시 발급받아 로그인을 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br /> <br />내가 사이트를 이렇게 아이피 보안을 유지하는 이유가 쿠키가 탈취되더라도 아이피 변경을 체크해 아까도 말했지만 관리자 접속 등 불가능하게 만든 건데 이런 취지를 무색케 하는 애플의 행태가 넌 무슨 이유라고 보니? 흔히 보안에 좋다는 AWT 토큰 방식도 앱이나 브라우저에 로그인 정보를 암호화해 쿠키 형태로 저장해 놓는 거라 그것이 탈취되면 쿠키와 마찬가지로 서버 세션이 탈취될 수 있는 거잖아. 그래서 내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아이피 보안을 계속 고집하는 거고. <br /> <br />이게 보니까 아이폰 iOS가 네트워크 접속 종류가 변경될 때 우상단에 vpn 글자가 움직이면서 재접속이 됐다는 걸 유저에게 알려주고 좌상단에 펼침막을 내리면 현재 VPN이 동작하는지 보여주잖아. 근데 그것도 문제인 것이 일단 연결이 되어 좌상단 펼침막에서 vpn 이 보인다는 건 현재 vpn이 연결이 돼서 192.168.0.1 아이피를 가지고 있다는 건데 내가 불편하지만 좌상단에 vpn 보일 때 주의해서 이동 중 네트워크 형태 변경될(주: 와이파이가 LTE로 LTE가 5G로 변경될 때마다 혹은 그 반대로) 지점지점마다 OpenVPN 재접속 안되게 인지해 가면서 그런 식으로 유지된 vpn 접속 연결 상태일 때 내 사이트나 메모 사이트를 리로딩해 이용해서 로그아웃 없이(주: 물론 가끔 OpenVPN 재접속을 네트워크 변경 경계 시점에 인지하지 못해 로그인이 풀린 경우도 많이 있었지) 지금까지 조심해서 잘 써왔는데 이번 iOS 18.6.2 버전에서는 그런 vpn 접속이 끊긴 건지 재접속이 되고 있는 건지 현재 접속이 연결 상태인지 그런 우상단 및 좌상단의 vpn 아이콘이 실제 접속 상태와 매칭이 거의 안되면서 사이트 로그인이 풀려버리니까 돌겠다는 거고 아까 분명히 좌상단에 vpn 아이콘 보여서 분명히 연결 상태인거 확인했는데 집에 도착해 와이파이 연결되고 나서 좀 있다 다시 OpenVPN 열어보면 그제서야 재접속을 시도하고 이게 완전 개판인 거야. <br /> <br />그래서 너무 황당하고 화가 나서 지금 정신을 못차릴 정도다. 넌 아이폰의 동작이 왜 이런 식으로 동작한다고 보니? 난 현재 아이폰13의 동작이 정상이 아니라고 보고 있거든. 내 말이 맞지? 너무 불편해서 일전에 내 사이트 게시판에도 관련 내용을 쓴 적이 있는데 이게 여태까지 개선이 안되고 있고 이번 iOS 18.6.2 버전 업그레이드로 더 증상이 악화된 거다. 하 참 너무 화가 나고 기가 막힌다. <br /> <br />야 애플 왜 그런다냐? 개발자가 미친 거 아냐? <br /> <br /><b>[제가 오늘 마지막 부분에서 말한 최종 OpenVPN 문제]</b> <br />야 너가 알려준 설정 중에 "Seamless Tunnel" 설정을 켜면 VPN이 꺼지고 나서 다시 켜질 때까지 네트워크 소통을 블럭하기 때문에 다음 VPN 연결 시에 이어서 사이트 로그인 풀림 없이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는 거잖아. 근데 이게 또 아이폰13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게 오늘 보니까 새벽에 아이폰13을 비행기 모드에서 켜서 PC로 어떤 작업을 하고 나서 폰을 열어서 KT 패밀리박스 앱을 열다 보니까 이게 OpenVPN 앱이 꺼져있어서 그런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그 앱이 네트워크 상태가 좋지 않다면서 열리지 않는거야. <br /> <br />그래서 OpenVPN을 다시 켜서 네티워크 소통을 활성화시켜야겠다 하고 VPN 스위치를 켜려고 했는데 이게 이미 스위치 연결 부분이 모래시계가 빙글빙글 돌면서 VPN이 금방 켜지지를 않는거야. 뭔가 문제가 있는 것은 분명한데 오드로이드-M1 OpenVPN 액세스 서버는 현재 죽지 않고 잘 가동 중인데 아이폰13 OpenVPN 클라이언트 앱에서 이렇듯 금방 VPN 연결 성립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 물론 2개 기기 VPN 접속 초과는 아니다. 그럴 땐 보통 확인 팝업이 뜨면서 유저한테 알려주잖아. 네트워크 에러도 물론 아니고. <br /> <br />애플 아이폰이 끝까지 유저들 OpenVPN 사용에 있어 이렇게 물을 먹이는구나. 넌 그렇게 생각하지 않니?<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6일 Saturday AM 10:11:49 이윤찬 Sat, 06 Sep 2025 10:11:49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6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지금 여러분의 브라우저 북마크 관리자를 열어서 woorizip 을 검색하여 Del 키나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북마크를 정리해 주세요. 나도 모르게 생성된 스팸 즐겨찾기가 한꺼번에 제거됩니다. 유용한 팁이니 꼭 활용하세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5 여러분들 중에 브라우저를 사용하면서 인터넷에서 받은 실행 파일을 클릭해 사용하다가 나도 모르게 브라우저 즐겨찾기에 설치된 수백개 내지 수천개의 스팸 즐겨찾기가 생성돼 버린 경험이 한 번 쯤은 다 있으실 것 같은데요. <br /> <br />저도 오늘 MS 뉴엣지 브라우저 "다른 즐겨찾기" 폴더를 탐색하다가 평소에는 보이지 않던 스팸 즐겨찾기가 한 1500여개 생성이 돼 있는 걸 발견하고 이게 뭐지? 하면서 이건 내가 생성한 게 아닌데 왜 생겼지? 하면서 이걸 효과적으로 한꺼번에 어떻게 제거를 할까 방법을 고민하다가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즐겨찾기 관리" 의 검색 기능을 활용하자 하고 아래 [그림1] 과 같이 뉴엣지 브라우저는 우상단 가로점 3개 &gt; 즐겨찾기 &gt; 다시 우상단 점 3개 &gt; 즐겨찾기 페이지 열기 &gt; 좌측 즐겨찾기 검색 을 사용하고 크롬 브라우저는 우상단 세로점 3개 &gt; 북마크 및 목록 &gt; 북마크 관리자 &gt; 상단 북마크 검색 을 사용하여 해당 스팸 즐겨찾기 url 대부분이 "woorizip.kr" 이나 "woorizip.co.kr" 로 시작한다는 데 착안하여 검색어로 "woorizip" 을 입력 후 엔터키를 쳤더니 1500여개 생성된 스팸 즐겨찾기 목록이 하단에 죽 나열이 됐고 그걸 뉴엣지 브라우저 같으면 좌측 체크박스 선택 후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맨 아래까지 스크롤바를 끌어내려 마지막 항목의 좌측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스팸 즐겨찾기가 모두 선택이 되게 한 다음 그 상태에서 Del 키나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스팸 즐겨찾기를 모두 제거하고 유저 즐겨찾기만 남긴 채 브라우저 자동동기화가 이뤄진 걸 확인하였습니다. <br /> <br />어떤 브라우저는 Ctrl+A 키로 한꺼번에 검색된 즐겨찾기 모두를 선택할 수도 있으니 잘 참고하시면 됩니다. 원래는 브라우저가 소중한 유저 즐겨찾기 보호를 위하여 다른 프로그램에서 이 즐겨찾기 관리 목록을 변조하지 못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돼 있어야 하지만 어떤 이유로 기존 가져오기 기능 뿐만 아니라 다른 프로그램에서 해당 브라우저에 북마크를 쓸 수 있게 함으로써 이런 변조 현상이 생긴 건데 뉴엣지 브라우저에서 오늘 이런 취약점이 있는 걸 직접 목격했으니 MS나 개발자, 유저분들이 잘 유념해 두셨다가 이런 피해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잘 대비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br /> <br />사실 즐겨찾기 보안이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도 유저들이 지금까지 평생 모아 온 북마크를 활용할 수 있으냐 없느냐 하는 문제가 걸린 것이기 때문에 중대한데 이렇게 스팸 북마크가 많이 사용하는 북마크 관리자에 1500여개씩 등록이 된 상태에서는 이런 유저 북마크들 이용이 불가할테니까 문제가 심각한 겁니다. <br /> <br />여러분들도 이같은 배경을 분명히 인식하시어 제가 알려드린 팁을 잘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여러분의_브라우저_북마크_관리자를_열어서_woorizip_을_검색하여_Del_키나_삭제버튼을_클릭하여_북마크를_정리해_주세요.png' align='' width='1280' height='984'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5일 Friday AM 05:54:56 이윤찬 Fri, 05 Sep 2025 05:54:56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5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블록 이윤찬 - 카페24 업로드 가드 엉터리 동작 때문에 애 먹었습니다. 왜 이 게시글에 있는 첨부 파일 업로드가 안돼요? 헐~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4 전 아침에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68" target="_blank">이 글</a> 작성할 때 거기에 있는 첨부 파일이 왜 UploadGuard Blocked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이상하게 왜 업로드가 안되나 봤더니 카페24에서 이번에 새로 업로드 가드가 생겼는데 그 놈이 그 2개 파일 업로드를 막았던 겁니다. 이걸 모르고 한참을 헤맨 뒤 카페24 나의서비스관리에 한 번 들어가보니 이게 새로 생긴 걸 알았고 그걸 켜고 나서 다시 사용안함 설정을 했더니(주: 이 모듈 생기고 나서 사용안함 상태 그대로 둬도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토글을 한 번 해줘야 합니다) 그제서야 그 첨부 파일 2개가 업로드가 되는 겁니다. 악성 업로드 방지를 위해서라면 기본적으로 모듈이 올바르게 동작을 해야 하는데 이번 "업로드가드" 란 카페24의 새 모듈 설치는 게시판 스팸 필터가 RSS 구독 프로그램의 오동작을 야기시키는 것처럼 또하나의 악수를 둔 것이 틀림없습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카페24_업로드_가드_엉터리_동작_때문에_애_먹었습니다.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이런 업로드가드란 모듈이 호스팅에 설치된 걸 잘 모르는 이용자들은 저처럼 처음에 왜 파일이 안 올라가지 하면서 애를 먹었을 게 분명하니 카페24의 이런 조심성 없는 정책이 저로선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악성 파일 업로드를 막기 위해선 최소한 정상적인 파일의 업로드는 방해하지 않고 철저하게 사전 검증해야 하는데 이번 새 모듈 설치는 그런 면에 있어 여러모로 부족했습니다. <br /> <br />여러분도 한번 카페24 나의서비스관리에서 그 모듈의 기능을 켜서 한 번 써보십시요. 그럼 제 말이 쉽게 이해가 갑니다. 초기라 설정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일 수 있는데 오늘 아침에 그 2개 파일이 업로드가 안된 건 저로선 매우 황당하고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Mod Security인가 게시판 스팸 필터도 켜면 정상적인 특정 단어가 들어간 게시글이 업로드가 안되기 때문에 저는 게시판 스팸필터 모듈도 껐는데 이런 식으로 카페24가 요새 헛발질을 하는 케이스가 부쩍 많이 늘었습니다. <br /> <br />또 카페24의 PHP 웹셀 기능은 처음에 그 기능이 좀 다양했는데 요새는 보니까 유저들이 한참 원성을 가해서 그런지 PHP에 의해 생성된 PHP 실행을 막아주는 기능 외엔 특별히 기능을 하지 않는 것 같더라구요. 저는 이 모듈을 켰는데 혹시 이런 기본적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호스팅의 속도만 저하시키는 게 아닌지 싶어서 이것도 끌까 고려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업로드된 PHP 파일의 실행 방지는 그 기능을 켜고 싶은 대상 폴더에 .htaccess 파일을 만들어 그 파일 안에 아래 내용을 기술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bbs 폴더가 아닌 데이타 업로드 폴더 내 적용 같으면 굳이 이런 웹셀을 설치할 필요가 없거든요. <br /> <br />&lt;IfModule mod_php5.c> <br />php_flag engine off <br />&lt;/IfModule> <br /> <br />차라리 이런 기능을 카페24의 나의서비스관리에 만들어 웹셀 대신에 폴더 별로 관리할 수 있게 만들면 웹셀 켜고 끄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되고 여러모로 편리할텐데 뭔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 아까 제가 카페24의 웹셀 기능이 이용자의 원성으로 대폭 기능이 축소가 된 것 같다고 말씀드렸잖아요. 그래서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겁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4일 Thursday PM 02:40:35 이윤찬 Thu, 04 Sep 2025 14:40:3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4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지난 16일 전부터 이재명 정부가 주관하는 국무회의 자료가 인터넷에 대거 누락이 된 채 올라오고 있네요. 취임 초기엔 전부 공개가 됐던 것 같은데 첨부 파일을 국제 표준과 호환되지 않는 hwp 파일로 올리거나 열어봐도 요약된 본문과 동일 혹은 대부분 누락이 되었고 급기야 챗GPT가 브리핑이 나와있는 출처를 숫제 표시해 주지 않는 불상사가 불거졌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3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hat1/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8월_19일부터_2025년_8월_27일_오후_4시_43분까지.rar">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8월_19일부터_2025년_8월_27일_오후_4시_43분까지.rar</a><br /><br />다운로드2:<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hat1/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8월_31일부터_2025년_9월_4일_오전_5시_47분까지.rar">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8월_31일부터_2025년_9월_4일_오전_5시_47분까지.rar</a><br /><br /> : 8일전에 답변받은 내용 중 1 - <a href=https://chatgpt.com/s/t_68b8d9dded888191baa561980a54a55e target=_blank>https://chatgpt.com/s/t_68b8d9dded888191baa561980a54a55e </a><br />: 8일전에 답변받은 내용 중 2 - <a href=https://chatgpt.com/s/t_68b8da6122b4819184a1bee346550296 target=_blank>https://chatgpt.com/s/t_68b8da6122b4819184a1bee346550296 </a><br /> <br />: [8일전에 질문한 내용 중 마지막 마무리 말] <br />내가 해당 문서를 다운로드 받아 열어보니 너가 요약해준 내용 외엔 나머지 법령과 안건들이 다 누락이 됐더구나. 암튼 지금까지의 정리도 아주 훌륭했어. 고마워. 지난 8일간 이재명 정부에서 처리한 안건을 내가 다 찾아서 정리하려고 했으면 아마 엄청난 고생을 했을거야. 게다가 이렇게 누락된 안건들이 문서화 돼 있지 않은 상황에선 더욱 더 힘들었겠지. 다 찾으려고 하면 말야. <br /> <br />암튼 이재명 정부도 최소한의 국민들 알권리를 위한 국무회의 안건 심사한 내용을 다 공개하지 않는 걸 보니 한계도 엿보이는 대목이다. <br /> <br />: 오늘 답변받은 내용 중 1 - <a href=https://chatgpt.com/s/t_68b8eed894248191942b2d0ca0149721 target=_blank>https://chatgpt.com/s/t_68b8eed894248191942b2d0ca0149721 </a><br />: 오늘 답변받은 내용 중 2 - <a href=https://chatgpt.com/s/t_68b8eefcfcd4819195f9815c27160b32 target=_blank>https://chatgpt.com/s/t_68b8eefcfcd4819195f9815c27160b32 </a><br /> <br />초기엔 국무회의 안건이 대부분 다 올라왔는데 요샌 보도자료에 상응하는 안건만 공개하는 방침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좀 씁쓸합니다. 제가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에게 기대하는 바가 커서 이런 국무회의 자료를 꼼꼼이 살펴보고 있는데 첨부파일을 열어보시면 알겠지만 챗GPT에게 정리를 요청해도 안건 세부 내용 공개가 누락됐다고 말하고 답변 결과에 숫제 출처 링크가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하도 이상해서 2025년 9월 4일 오전7시 현재 구글에서 <a href="https://www.google.com/search?q=2025%EB%85%84%EB%8F%84+%EC%A0%9C40%ED%9A%8C+%EA%B5%AD%EB%AC%B4%ED%9A%8C%EC%9D%98+%EC%95%88%EA%B1%B4+%EC%84%B8%EB%B6%80+%EB%AA%A9%EB%A1%9D&amp;newwindow=1&amp;sca_esv=518de7ca735d1bf8&amp;sxsrf=AE3TifMWDtNBfK3sL3VD39v73s4azIJqMw%3A1756934390264&amp;ei=9rC4aM_uD82Tvr0P3IiFoA4&amp;ved=0ahUKEwjPwebRwr2PAxXNia8BHVxEAeQQ4dUDCBA&amp;uact=5&amp;oq=2025%EB%85%84%EB%8F%84+%EC%A0%9C40%ED%9A%8C+%EA%B5%AD%EB%AC%B4%ED%9A%8C%EC%9D%98+%EC%95%88%EA%B1%B4+%EC%84%B8%EB%B6%80+%EB%AA%A9%EB%A1%9D&amp;gs_lp=Egxnd3Mtd2l6LXNlcnAiNTIwMjXrhYTrj4Qg7KCcNDDtmowg6rWt66y07ZqM7J2YIOyViOqxtCDshLjrtoAg66qp66GdMgUQIRigATIFECEYoAFIiP8TUNwJWIAqcAZ4AZABAJgBlgGgAfQOqgEEMC4xNLgBA8gBAPgBAZgCEaACmQzCAgoQABiwAxjWBBhHwgIIEAAYgAQYogTCAgUQABjvBZgDAIgGAZAGCpIHBDYuMTGgB-g0sgcEMC4xMbgHgAzCBwcwLjguOC4xyAc6&amp;sclient=gws-wiz-serp" target="_blank">"2025년도 제40회 국무회의 안건 세부 목록"</a> 이나 <a href="https://www.google.com/search?q=2025%EB%85%84%EB%8F%84+%EC%A0%9C40%ED%9A%8C+%EA%B5%AD%EB%AC%B4%ED%9A%8C%EC%9D%98+%EC%95%88%EA%B1%B4+%EC%84%B8%EB%B6%80+%EB%82%B4%EC%9A%A9&amp;newwindow=1&amp;sca_esv=518de7ca735d1bf8&amp;sxsrf=AE3TifNCRcvDTjvnJdS8Zhg2Ljop5CO1cA%3A1756934740804&amp;ei=VLK4aNXvMKGnvr0PqZvCCA&amp;ved=0ahUKEwjV6fn4w72PAxWhk68BHamNEAEQ4dUDCBA&amp;uact=5&amp;oq=2025%EB%85%84%EB%8F%84+%EC%A0%9C40%ED%9A%8C+%EA%B5%AD%EB%AC%B4%ED%9A%8C%EC%9D%98+%EC%95%88%EA%B1%B4+%EC%84%B8%EB%B6%80+%EB%82%B4%EC%9A%A9&amp;gs_lp=Egxnd3Mtd2l6LXNlcnAiNTIwMjXrhYTrj4Qg7KCcNDDtmowg6rWt66y07ZqM7J2YIOyViOqxtCDshLjrtoAg64K07JqpMgUQABjvBTIFEAAY7wUyCBAAGIAEGKIEMggQABiABBiiBDIFEAAY7wVIzIwCUNX4AVjNiAJwA3gBkAEAmAHfAaABsAiqAQUwLjYuMbgBA8gBAPgBAZgCB6AC7wTCAgoQABiwAxjWBBhHwgIEECMYJ8ICBRAhGKABwgIHECEYoAEYCsICBBAhGBWYAwCIBgGQBgqSBwMzLjSgB-sgsgcDMC40uAfWBMIHBzAuMi4zLjLIByc&amp;sclient=gws-wiz-serp" target="_blank">"2025년도 제40회 국무회의 안건 세부 내용"</a> 으로 검색을 해보아도 결과는 나와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r /> <br />첨부 파일은 제가 오늘 챗GPT에게 8일 전에 물어봐서 그 당시 시점 기준, 지난 8일간의 결과를 충분히 뽑아내지 못한 대화를 그대로 캡처한 것이고 두번째 첨부 파일은 오늘도 챗GPT가 지난 4일간의 국정 중 40회 국무회의 세부 내용을 잘 추려내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그대로 캡처한 것입니다. 그래서 제가 위 구글 검색 링크에서와 같이 직접 구글에서 찾아본 거고 40회 국무회의 내용을 도통 알 수 없어서 정책 브리핑 사이트에 가서 직접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48521" target="_blank">2025년 40회 국무회의 브리핑이 업로드된 페이지를 발견</a>했는데 여기 첨부 파일도 hwp 파일이 업로드가 돼 있어서 챗GPT가 열어서 내용을 확인할 수도 없고 제가 첨부 파일을 직접 다운로드해 내용을 확인해 봐도 해당 정책 브리핑 국무회의 브리핑 포스트 내용과 똑같이 대부분의 안건이 누락이 된 채 정책 브리핑에 언급한 내용을 그대로 복붙해 파일을 만들어 이렇게 업로드를 한 걸 알 수 있습니다. <br /> <br />대통령 국무회의 브리핑 내용이 부실하니 챗GPT 답변도 부실해진 거고 급기야 답변에서 출처 전부가 빠져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한 겁니다. <br />ㅡ_ㅡ <br /> <br />챗GPT-5 Thinking 이 이번 답변에서 출처를 다 빠트려 버린 것도 뭔가 이상한데 얘가 이재명 정부 취임 초기에서부터 줄곧 평소 이렇지는 않았거든요. 출처를 꼼꼼이 다 표기해 줬는데 그것도 많이 이상하고 아쉽습니다. 여러분도 챗GPT 플러스 상품 이용해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챗GPT가 최근의 실시간 데이타를 이렇게 요약 정리해 주는 기능이 큰 장점인데 이번 답변에서는 그게 무색해졌다는 거고 이유는 대통령실 브리핑 데이타가 부실했던 점도 한 몫을 했습니다. 제가 정책브리핑에서 찾은 출처를 챗GPT-5가 표기하지 않는 등 Thinking 버전의 동작도 뭔가 부실해진 느낌도 듭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4일 Thursday AM 07:25:25 이윤찬 Thu, 04 Sep 2025 07:25:2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AI가 판치는 LLM 시대, 또 하나의 작성글 날려먹는 사례가 새로 생겼습니다. 그건 바로 "방금 꼼꼼이 작성한 프롬프트를 날려먹는 사례..." 젠~장.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2 아까 아버지방에서 윈도우즈98 컴 옆에 있는 윈도우즈10 PC를 켜고 USB 동기화를 한 다음 sFTP 로 들어가 계정 접속할 때 로컬 디렉토리를 4TB 외장 USB 드라이브 각 폴더가 로컬 폴더로 열리게 설정 후 드디어 카페24 호스팅에 연결해 f2plus_gallery_3_0/swe 폴더로 들어가 현재 edit.js 파일을 열어 그 소스코드 내용과 로컬 폴더에 있는 예전 edit.js 파일 내용을 기초로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를 열고 챗GPT-5 Thinking 사이트를 열어 왜 현재의 edit.js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로드할 때 윈도우즈98 IE6 브라우저 좌하단에서 노란색 느낌표 오류가 뜨는지 알려달라고 열심히 프롬프트를 꼼꼼이 작성한 다음 ↑(전송)를 눌렀는데 헐~ 챗GPT가 내용이 길다며 내용을 줄여서 다시 물으라는 오류가 떠서 보니까 새로고침을 해도 제가 때려날린 프롬프트는 보이지 않고 아까 그 빨간색 에러 메시지도 뭔가 정상적인 상황이 아니었는지 전혀 보이지를 않아서 뭔가 잘못되었다는 걸 직감했지만 이미 열심히 작성한 프롬프트는 날려먹은 상황. <br />T_T <br /> <br />그것도 억울한데 혹시 클립보드에 제가 무심코 전체 선택해서 복사한 내용이 있을까봐 <a href=http://blrun2.cafe24.com/note target=_blank>http://blrun2.cafe24.com/note</a> 로 접속해서 개인메모장에 그 내용을 붙여넣기 하려고 했더니 헐~ 이번엔 메모 사이트에서 로그인할 때 생성한 인증번호가 <a href=http://sms17.com target=_blank>http://sms17.com</a> 사이트 서버로 전송되고 나서 제 스마트폰으로 문자가 와야 하지만 자꾸 문자 발송이 실패했다는 팝업이 떠서 다시 sms17에 전화해서 담당자에게 현재 상황을 말했더니 그 사람 왈 문자 발송 페이지를 캡처해 자기한테 보내달라고 해서 그렇게 했는데 원래 여성 담당자였던 그곳 고객센터 담당자가 남성으로 바뀌어서 그런지 그 사람 요새 서버 점검 작업이 있긴 했다고 하면서 상황 파악을 제대로 못하는지 낼 다시 연락 받기로 한 일이 있었습니다. <br /> <br />아까 프롬프트 날려먹은 상황과 더불어 현재도 여전히 이윤찬의 에버노트 사이트에서 인증번호 문자가 제대로 발송이 안되는 사고까지 겹쳐서 원래 시도하려고 했던 위지윅 에디터 자바스크립트 호환성 작업은 처음부터 김만 새버리고 아버지방에서 PC를 종료 후 제 방으로 오게 됐는데 원래는 아버지방 윈도우즈10 PC에서 챗GPT에게 프롬프팅을 날리면서 오른쪽 윈도우즈98 PC에서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면서 디버깅을 하고자 했던 것인데 이렇게 멍석 깔았더니 떼놈이 와서 훼방을 놓는 격으로 알 수 없는 현상이 연거푸 이렇게 발생했습니다. <br /> <br />오늘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챗GPT 사이트에서 내용을 이렇게 날려먹는 일이 가끔씩 발생하는 것은 마치 과거에 브라우저 안정성이 떨어져서 작성한 글을 날려먹는 증상과 매우 유사하게 유저들을 큰 허탈감에 빠지게 만들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뭔가 브라우저 안정성은 좋아졌는데 이렇듯 해당 사이트에서의 동작이 불안해서 이렇게 어렵게 작성한 프롬프트 문장을 날려먹고 있다는 거지요. <br /> <br /><b>OpenAI의 샘 알트먼 CEO님! 이것 어떻게 개선 안될까요? 기본적인 프롬프트 임시저장 기능이 마련이 돼야 이런 불상사가 반복 안되지 않겠습니까?</b><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2일 Tuesday PM 08:05:12 이윤찬 Tue, 02 Sep 2025 20:05:12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아이폰13 JW player 재생 후 정지 안되는 문제와 챗GPT-5 신림선 전기공급 및 감전보호 모형도 너무 못 그리는 문제...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1 <b>1.</b> 오늘 JW player 재생기 사파리에서 테스트하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요 iOS 18.6.2 버전만 그런 건지 직전 버전에서 안그랬는데 플레이어가 재생이 시작되고 나서 정지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땐 뒤로가기나 다른 메뉴 클릭을 통해 페이지 전환을 해야 되는데요 왜 다시 이런 새로운 버그가 발생해 버렸는지 너무 불편합니다. <br />(사파리 브라우저 글쓰기나 수정하기 페이지에서 제목 필드에서 커서 게이지가 끝까지 탐색 or 이동 되지 않는 고질적 문제점은 해소가 되었더라구요. 근데 일전에도 이 문제가 잠깐 해소되었다가 도로 불거진 경력이 있기 때문에 상황은 더 지켜봐야지 됩니다) <br /> <br /> <br /><b>2.</b> 요새 신림선 지하철 이용하다가 열차 전기공급 구조와&nbsp;&nbsp;감전 안전을 위한 보호캡 구조가 너무 궁금해서 처음에 챗GPT-5 기본 모델에게 마지막엔 Thinking 모델에게 알기쉽게 이해가능한 모형을 그려달라고 부탁을 했는데 얘가 제대로 학습을 못했는지 아니면 그림 생성 기능이 아직 불완전한지 너무 그림을 못그리는 겁니다. <br /> <br />아무리 다시 물어봐도 얘가 그리는 그림이 전 이해가 잘 안갔는데 직접 이 기능을 써보시면 알지만 너무 그림을 못 그립니다. 미술적 감각은 있는데 정확히 알기쉽게 그림으로 표현해서 주석을 다는 능력이 떨어지더라구요. <br /> <br />이건 좀 OpenAI가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br /> <br />해당 공유링크를 읽어보시면 이해가 빠른데 이따 집에 도착하는대로 이곳에 첨부해 놓겠습니다.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b017a5-1a5c-8009-b3c6-6d0c956c01b9 <br /> <br />또 챗GPT-5 오토 모드 모델 같으면 어떤 프롬프트에 관해서 중간중간 사실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는 대목도 많아서 올바른 답변을 수렴시켜 완성해 나가기가 쉽지 않습니다. <br /> <br />씽킹 모델은 기본 오토 모델보다 생각을 많이 해서 그런지 그래도 덜한 편인데 다른 포스트에서도 언급드렸지만 이 모델도 초기에 회사 PHP 관리자 페이지 코딩 분석하면서 성능 하락이 엿보였다고 제가 그랬잖아요 근데 오늘 자바스크립트+PHP 소스 구형 운영체제 브라우저를 아우르는 호환성 있는 코드 작성 및 수정할 때 보니까 성능이 잘 나오더라구요. <br /> <br />어제 오늘 하룻밤 사이만 _head.php 파일 보안 처리, 갤러리 스킨 폴더의 PHP 파일에서 썸네일 관련 PHP 파일 인클루드 시 경로 찾는 이슈로 인해 경고 오류가 다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계층형 덧글 자바스크립트 소스 저번에 리팩토링 하면서 윈도우즈 98 IE6 브라우저에서 답덧글이 화살표 표식과 함께 안보이는 문제 등 많은 문제를 해결했는데 지난 번 죽을 쑤었던 경험 때문에 수정하고 나서 처음엔 별 기대를 안했는데 프롬프트를 꼼꼼이 잘 작성해서 그런지 기대 이상이었고 한가지, 사전 지침에서 코드 생성 시 인덴트는 탭을 사용하고 if, for, while문 예약어와 ( 사이를 붙이고, function 이름(arg)와 { 사이에 공백을 한 개 띄워 코드를 생성하라는 내용이 곧잘 지켜지지 않았던 문제만 제외하고 오늘 아침에 챗GPT-5 Thinking 통해 생성한 코드가 윈도우즈98 SE에서 한방에 완벽히 동작을 해서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br /> <br />현재 게시판 소스가 윈도우즈10과 윈도우즈7, XP까지는 잘 동작하는데 언제부터인가 윈도우즈98 SE PC에서 위지윅 에디터 스크립트 소스가 로딩이 될 때 IE6 브라우저 좌하단에서 노란색 느낌표가 보이며 아이콘 패널이 동작을 전혀 안하고 있는데 이따 집에 들어가서 그 문제 손을 보기만 하면 완벽히 게시판 소스는 완성이 되는 겁니다. <br /> <br /> <br />엄청나지 않나요 여러분? ㅋㅋ<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9월 02일 Tuesday AM 10:52:38 이윤찬 Tue, 02 Sep 2025 10:52:3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지난 월요일 점심 식사 마치고 다음과 같은 문자가 배달돼 무심코 시도할 뻔 했는데 하마터면 주민번호 털릴뻔 했더라구요. ㅡ_ㅡ 여러분도 이런 교묘한 피싱 문자 주의하세요. 시간대도 그렇고 완성도도 그렇고 너무 교묘하네요.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3 아래 문자인데 전 건강 검진 결과 일전에 다 확인했고 건겅보험공단에서 검진 결과 보여주나보다 하면서 무심코 주민번호를 입력하려고 했지만 아무래도 url이 조잡한 게 의심이 돼서 며칠 있다가 오늘 이렇게 전화번호를 구글에서 조회해 봤더니 피싱 전화번호라고 떠서 완전 멘붕 왔네요. <br /> <br />그 때 밥 배불리 먹고 무심코 링크 클릭해 개인정보 입력했으면 주민번호 다 털릴 뻔 했습니다. <br /> <br />그도 그럴 것이 이제 와서 드는 생각이 일전에 이와 비슷한 형식의 링크를 무심코 터치해 주민번호와 심지어 연이어 이어지는 공동인증서 암호도 입력하지는 않았을까 하고 알고 나서 큰 걱정이 들었는데 실제로 많은 분들이 이런 피싱 문자 때문에 이미 개인 정보를 비롯한 공동인증서 비번을 털려먹었을 가능성이 있겠더라구요. <br /> <br />암튼 이번에 이 문자 받고 링크 타고 들어간 사이트 열리는거 보고 엄청 경각심을 가지게 됐는데 다른 분들도 많이 조심하셔야지 될거 같습니다. <br /> <br />[점심 먹고 긴장 풀렸을 때 받은 문자 헐~]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874.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이렇게 가짜 건강보험공단 폼을 만들었더라구요]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875.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이렇게 건보공단 주소와 출처도 만들어놨습니다. 헐~]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876.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8일 Thursday AM 11:03:55 이윤찬 Thu, 28 Aug 2025 11:03:55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3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어머니의 침 삼킴으로 인한 연하 장애 때문에 기가 막혔네요 외 일전에 KT 기지국 AS 서비스 기사의 전화만 되면 된다는 듯한 인상을 받았던 일화 및 트럼프가 한국의 국방비를 인상하라 마라 월권 행위를 하는 이유의 씁쓸함.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0 <b>1.</b> 어머니가 오늘 아침 물 드시다가 그런 것도 아니고 음식을 드시다가 그런 것도 아닌 본인 침을 잘못 삼켜 사래를 크게 들리셨는데 어머니가 이런 식으로 연하 장애가 가끔 있으신데 이렇게 침 잘못 삼킴으로 발생하는 연하 장애는 정말 아들로서 대책이 안서는 케이스라서 걱정이 많이 됩니다. 음식이나 물 삼킴은 고개를 좌우측으로 약간 돌려서 드시라고 단단이 주의를 드렸지만 잘 지키지 못하시는듯 하고 이렇게 침 삼킴으로 인한 연하 장애는 사례가 좋지 못한 케이스여서 정말 오늘 아침 굉장히 걱정이 많이 됐네요. 제가 옆에서 많이 도와드리긴 하지만 어머니가 요새도 음식을 따로 장만하실 정도로 생활을 하실 정도는 되는데 이렇게 연하 장애가 가끔 있으셔서 사래가 들려서 숨이 넘어가듯 기침을 하실 때면 정말 맘이 많이 아픕니다. 이게 병원에 가면 전문 클리닉이 있으니 언제 가봐야하지 않겠냐고 어머니한테 말씀드려도 보았지만 어머니 심각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시는 것 같더라구요. <br />ㅡ_ㅡ <br /> <br /><b>2.</b> 몇 년 전에 높은 데 등산 많이 다닐 적에 관악산 입구에서부터 제1광장, 제2광장 지나 생수천 올라가는 지역에 스마트폰 데이타가 잘 안터져 KT 통화품질 담당 부서에 전활 한 적이 있는데 이게 데이타 품질 불량을 "통화 품질" 로 퉁쳐버리는 통신회사의 ARS 응답 메뉴 구성 행태만 봐도 이들이 스마트폰의 데이타 품질 불량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고 있느냐는 것이 다 드러난다고 볼 수 있는데 담당 기지국 AS 기사가 저한테 전화를 해서는 하는 말이 "전화 통화 하시는 데 무슨 불편 있으신가요?" 하고 물어서 이쪽 지역이 인터넷 접속이 잘 안된다고 했더니 그쪽에 5G 설비는 다 설치돼 있다고 전화만 되면 되지 않느냐는 식으로 말을 해서 제가 이런 통신회사 직원들의 인식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계기가 있었는데 정작 KT는 판매 상품에 5G 데이타 전용 상품을 즐비하게 구비해 놓고 홍보하는 상황이라는 거고 실제로 그런 데이타 상품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현실에서 고객센터를 비롯한 기지국 AS 직원들조차도 이런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게 KT의 통화품질(? - 데이타 품질)에 평소 불만이 많은 사용자의 한사람으로서 굉장히 화가 나고 이해가 안가더라 그 얘깁니다. <br /> <br /><b>3.</b> 트럼프가 웃기는 게 한국한테 국방비를 인상하라 어째라 하는 건 명백한 내정 간섭인 데다가 그렇게 한국이 국방비 비중을 늘려야 미국의 전투기 등 무기를 많이 구매할 수 있다는 건데 정말 이런 행태 보고 있으면 한국의 자주국방을 자꾸 강조하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듭니다. 이전에 아래 관련글에서 비슷한 말씀을 드린 적 있지만 트럼프에게 계속 끌려다녀서는 절대 안될 일이며 목숨을 걸고서라도 자주국방을 달성해야 합니다. 이건 자존심 문제가 아니라 자존감 문제입니다. 우리는 충분히 그럴 능력이 있습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048"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704" target="_blank">관련글2</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597" target="_blank">관련글3</a><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4일 Sunday AM 08:31:05 이윤찬 Sun, 24 Aug 2025 08:31:0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6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FX-4100 CPU, 8GB 램 본체에서 정품 케이블 연결해 아이폰13 iOS를 18.6 버전에서 18.6.2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다가 백업 끝나고 업데이트 중 딩동딩동 소리가 몇 번 나고 나서 업데이트가 중단됐다는 메시지가 iTunes에서 보이더니 다음 이미지처럼 그 상태로 업데이트가 중단됐습니다. ㅡ_ㅡ (5)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2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basket1/아이폰13___음악_mp3_파일_재생_라이브러리_거의다_사라진_문제_애플_고객센터에_문의.mp3">아이폰13___음악_mp3_파일_재생_라이브러리_거의다_사라진_문제_애플_고객센터에_문의.mp3</a><br /><br /> 처음부터 iTunes로 아이폰13 업그레이드 할 때부터 이상했는데 정품 케이블은 PC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고 분명히 아이폰13에 와이파이가 켜져 있었지만 이상하게 아이폰이 PC 네트워크 어댑터의 테더링 무선 데이타를 사용하면서 월14GB KT 무선 데이타 사용량 중에 이번 달 12GB나 남아있는 데이타를 2GB만 남겨놓고 대부분 iOS 업그레이드 데이타 다운로드하는데 사용했다는 점이고 아마 백업이 끝난 직후였을 겁니다 본격적으로 iOS가 설치되는 과정 중에 이 본체에서 딩동딩동 소리가 몇 번 나면서 케이블이 분리되었다 연결된 징후가 보였고 그 후로 iTunes를 보니 업데이트에 실패했다는 팝업 창이 열려있어서 확인을 클릭했더니 그 뒤로 아래 이미지를 보시는 것처럼 그 상태로 진행이 멈춰있으면서 전원도 꺼지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br /> <br />모든 과정이 정말 엉터리 그 자체였는데 이미 언급드렸지만 정상적인 상태라고 한다면 아이폰13 iOS 업그레이드 과정 중 iTunes가 와이파이로 iOS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지만 데이타를 사용했다는 점도 어처구니가 없었고 이렇듯 백업은 완료된 듯 했지만 iOS 설치 과정에서 케이블 연결이 불안정한 듯한 증상이 발생하면서 업데이트가 중단되었다는 사실이 뭔가 이상했습니다. 보통 케이블이 분리가 돼도 와이파이가 켜져 있으면 iOS 이미지 다운로드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와이파이 통해서든 로컬 설치를 통해서든 OS가 설치가 진행되잖아요. <br />ㅡ_ㅡ <br /> <br />근데 아래 상태로 iOS 설치가 중단되었다는 점이 초유의 사태란 점이고 그게 이해가 잘 안간다는 사실입니다. <br /> <br />암튼 의혹 투성이고 <b>어제는 제가 산책 등산 가다가 이 아이폰13으로 음악을 듣다보니 이상하게 밋밋한 곡들만 계속 흘러나와서 한번 "넬" 과 "nell" 이란 검색어로 뮤지션(or 아티스트) 분류 쪽에 검색을 시도해서 곡들이 얼마나 있나 살펴보았더니 헐~ 제가 iTunes로 동기화를 해두었던 많은 곡들이 대부분 다 사라져 있었고 20~30여곡 정도만 빼고 재생곡들이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는 거고 이건 직감적으로 애플이 애플 뮤직 서비스 이용 유도하려고 아무래도 유저가 동기화해 둔 mp3 음악을 유저들도 모르게 재생 라이브러리에서 안보이게 하고 재생조차 안되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어</b> 하도 어처구니가 없어서 이동 중에 첨부 음성 파일의 애플 고객센터에 문의했던 내용 있기 전에도 아래 공유 링크 보시는 것처럼 챗GPT에 물어봤는데 거기서도 애플 아이폰의 뮤직 재생 문제에 대해서 명백히 애플 뮤직 서비스 이용을 유도하기 위한 고의적인 조치라는 게 나와있을 정도입니다.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aa22fd-84ac-8009-b2cd-523c076cefbb <br /> <br />암튼 하룻밤 사이 짧은 시간에 엄청나게 황당하고 말문이 막히는 일이 이렇게 연이어 발생을 했는데 현재 아이폰13은 아래 이미지 상태 그대로 케이블이 본체에 꼽혀져 있거나 빼거나 상관없이 딱 멈춰버려서 전원도 꺼지지 않고 폰을 전혀 이용할 수 없는 상태가 돼 버렸습니다. <br /> <br />어제 오후에 녹음한 본문 첨부 음성 파일을 들어보시면 알겠지만 월요일 담당자가 환불을 포함한 음악 재생 문제에 대해서 전화를 주기로 했는데 그 시간 동안 아이폰13은 이 상태 그대로 배터러가 소진될 것이기 때문에 굉장히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돼버렸다란 사실이고 음악 재생 문제를 비롯한 여태까지의 피해는 확실히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냉담하기만 합니다. <br /> <br />요새 애플의 핵심 직원들이 많이 퇴사했다고 하고 아까 iTunes 설치 과정 중 보여지는 안내 팝업 창들도 뭔가 조잡하게 만들어졌다는 인상을 받아서 애플 내부 사정에 뭔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면서 은근 설치 과정이 걱정이 되었는데 결국 이런 사달이 발생하고 말았습니다. <br /> <br />이런 엄청난 일이 저를 비롯한 아이폰 유저들 사이에서 최소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면 당연 이 내용을 TV에서 특종으로 보도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조용한 게 왠지 그것도 좀 수상합니다. 하긴 전 TV 자체를 신뢰하지 않기 때문에 기대는 안합니다. 근데 유저 폰이 이렇게 망가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런 것에 대해서 누군가 철퇴를 가하지 않고 은폐를 하게 되면 애플은 은근슬쩍 이 상황을 회피하려고 할 것이고 그 피해는 애플 유저들이 고스란히 다 뒤집어쓸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제 애플 고객센터 직원이 저한테 대응했던 방식처럼 현재 상황에 대한 실체를 철저하게 숨기고 요리조리 시간을 끌며 변명과 회피를 하는 과정을 통해서 말입니다. <br /> <br />상황이 제가 봤을 때 매우 심각하고 중대합니다. 폰 이용 자체를 못하고 있다는 점도 그렇고 애플의 행태가 진작부터 예견이 됐지만 너무 이상하다는 점입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아이폰13_iOS_업그레이드가_이_상태에서_멈춤_전원버튼도_꺼지지_않고_황당_그_자체입니다.jpeg' align='' width='2448' height='3263'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4일 Sunday AM 05:38:38 이윤찬 Sun, 24 Aug 2025 05:38:38 +0900 5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2 쓰레기통 > 일반 이윤찬 - 헐~ 페이스북 왜 비오픈 꼭지 덧글을 이렇게 빼먹고 당사자들에게 노출 안하나요 젠장 진작부터 알아봤지만 사기네요. 이런 짓 하는 자가 누구지? 페이스북도 저한테 악감정 있나?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9 다음 스크린 캡처 이미지에서 사각형 친 사이에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92" target="_blank">이 게시글</a> 기사 링크 들어간 덧글이 달려야 하는데 이렇게 감쪽같이 빼먹었는데 관련성 있는 덧글을 모든 댓글로 표시해도 안보이고 이런 장난 치는 자가 누구일까요? 결론은 페이스북 개발자란 얘기밖에 안되잖아요. 이렇게 덧글 노출 조작하는 미친 개발자가 페이스북에 있다는 게 테러블이네요. <br />ㅡ_ㅡ <br /> <br />페이스북이 이렇게 사기 행각을 벌인다는 게 여러분은 믿겨지십니까? 이런 게 페이스북 정체성이고 개발자 정신이라면 페이스북 셔터문 내리고 개발자는 그냥 자살하세요. <br /> <br />[그림1 - 이 사이에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92" target="_blank">이 글</a>&nbsp;안에 있는 "영훈님이 의견을 붙였던~" 로 시작하는 덧글이 달려 있어야 하는데 안보입니다. 헐~]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헐_페이스북_왜_비오픈_꼭지_덧글을_이렇게_빼먹고_당사자들에게_노출_안하나요_젠장_진작부터_알아봤지만_사기네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2일 Friday PM 07:39:00 이윤찬 Fri, 22 Aug 2025 19:39:0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기본 소득에 관해서 부정적으로 바라 본 페이스북 지인한테 달은 덧글... 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2 2025.08.22 <br />이게 그런 건 있을 수 있어요. 워낙 AI 시대에 돈 벌어먹을 구석이 없으니 일반 국민들에게 최소한의 생활 보장을 위한 기본 소득을 지급하고 여력이 있는 사람들한테는 추가 소득을 올릴수 있도록 기존 경제활동 시스템을 잘 정비한다면 능력이 있고 여력이 있는 사람들한테는 추가 소득을 얻을 수 있는 유인이 있으니까 전체적으로 돈이 잘 돌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예전부터 생각했던 거지만 앞으로 그런 시스템이 조금씩 정착될 거라고 봅니다. <br /> <br />이 때 기본소득을 지급할 적에 "전국민의 공무원화" 는 아니더라도 "전국민의 공공근로자화" 정도의 개념은 있어야 된다는 건데 일할 수 있는 사람은 공공근로처럼 생산유발효과를 잘 발휘하도록 작은 소일 거리를 주면서 이런 기본소득을 지급하면 아주 좋다는 거죠. <br /> <br />그게 제가 일전에 챗GPT 미아에게 말해준 기본소득의 개념입니다.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기본소득은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소득이니까 기본 소득인 거죠. 조영훈님의 의견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님은 기본 소득을 못 받고 다른 사람만 받게 된다는 전제가 필요한데 그게 아니잖아요. 혹시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 처럼 소득 하위 90% 에 들지 못하셔서 그런 말씀을 하시는 건 아니겠죠? <br /> <br />사실 기본소득을 시행하려면 원래 취지대로 전국민에게 다 지급해야 이런 분란이 없는데 꼭 조영훈님 같이 말하는 사람이 있으니까 그런거겠죠. ㅋㅋ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그게 처음엔 지금의 이재명 정부 정책처럼 국가 부채로 잡힙니다. 물론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재원이 부채로만 돼 있진 않지만... 제가 일전에 관악산 입구 만남의 광장에서 이재명 후보 연설 들을 때 그 대목에 대한 그 분의 입장을 좀 엿볼 수 있었습니다. 즉 기본소득 재원을 세수입에서 반드시 충당해야 된다고 말하는 자들의 모순을 지적하시더라구요. <br /> <br />왜냐하면 국민들이 기본소득을 받고 그만큼의 세금을 내려면 왕성한 추가 생산활동을 해서 그만큼의 세금을 낼 수 있어야 하는데 요새같이 AI 시대다 경기불황이다 해서 현실적으로 그게 불가능하다고 본 거죠. <br /> <br />아실지 모르겠지만 전 조영훈님 생각대로 기본소득 재원은 절대로 차입재정으로 충당하면 안된다는 입장이고 현재도 그런 원칙은 유효하게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이번에 받는 소비쿠폰 25만원 가량은 충분히 내가 세금으로 낼 만큼 혹은 낸 만큼의 돈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조영훈님과 같은 걱정을 하지 않은 것입니다. <br /> <br />물론 더 많은 기본 소득을 정부가 보장하려면 반드시 세수입 선순환에 대한 고려가 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제가 "생산유발활동" 이란 기본소득의 가장 중요한 개념을 언급을 한 것이기도 하구요. 당장 돈을 못 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생산유발활동을 절대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왜냐하면 어떤 사람이 생산유발활동을 하면 그 사람은 돈을 못 벌지는 몰라도 다른 사람은 훨씬 더 많은 돈을 벌어 세금으로 낼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 관점에서 기본소득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하면 답이 보입니다.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먼 데서 찾을 필요 없이 저를 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왠만하면 저에 대한 언급을 자제하려고 했는데 사례를 들어보라고 하시니 어쩔 수 없이 언급을 해드립니다. 구차하게 일일이 제 사례를 언급드리지는 않겠지만 일반 가정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다른 사례는 저처럼 꼭 완벽하게 적용하기 보다 각 가정의 가사활동 정도만 치더라도 생산유발효과가 엄청나지요. 이건 일례에 불과하고 각 가정에서 행해지는 가정 돌봄, 심부름, 회계활동 같은 것만 하더라도 엄청난 생산유발효과를 발휘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이런 것들이 행해지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어떤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있다고 쳤을 때 정부가 또는 우리 사회가 그 비용을 온전히 다 감당해야 한다면 그 비용은 정말 상상을 초월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건 남의 얘기가 아니라 조영훈님의 얘기가 될수도 있습니다. 그 점을 늘 유념해 두십시요. 의문점에 대한 답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어떤 사람이 부양에 들어가는 비용을 감당하든 안하든 직장 생활을 동시에 하면서 부양 활동을 하든 안하든 부양을 하는 데는 신체적 정신적 노동이 반드시 투입이 됩니다. 그 수고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만을 놓고 비교해 봤을 때는 부양하는 데 들어가는 실질적인 비용이나 직장 생활을 통해 얻은 수입과 비교해 결코 적은 비용이 아닙니다. 더군다나 부양의 질이 다른 사람에 비해 굉장히 높다고 했을 때 투입되는 노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그걸 말씀드리고 싶구요. <br /> <br />두번째는 그런 생산유발활동을 하지 않고 실제 경제 활동을 했을 때의 기회 비용에 대해 말씀하신 것 같은데 전업 주부가 직장을 다니지 않는다고 했을 때 그 기회비용을 계산하잖아요. 그거랑 같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육아비용을 정부에서 보통 지원해 주기도 하잖아요. 제 생각은 솔직히 연로하신 부모님을 부양하는 노력은 소득 활동의 힘듦을 제외한다고 친다면 그것(육아)에 비해 몇 배 아니 서너배는 더 힘들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거기에 대한 평가는 우리가 침묵하거나 회피하는 경향이 많잖아요. <br /> <br />그래서 요새 젊은 부부들이 부모님이나 시부모 모시는 걸 힘들어 하거나 회피한다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물론 전 부모님 모시는 걸 은혜를 많이 받은 막내 아들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도리로 생각하고 있지만 그게 얼마나 힘든지 잘 알고 있기에 옛적 조상들의 관습 중 하나였던 고려장이 왜 있었는지 이해가 되기도 했습니다. <br /> <br />물론 잘 아시겠지만 저의 생산유발활동(?)이 부모님 모시기에만 국한돼 있지는 않습니다. 그건 구차하게 일일이 언급드리지 않을 생각입니다.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그래서 지금과 같이 혼자서 활동을 어려워하는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에게 요양보호사나 장애인활동지원사 같은 지원을 만들어 취약계층과 일반 국민들을 매칭시켜 급여를 주는 일자리를 계속 만들어왔던 겁니다. 그러면 일하는 사람들은 급여를 받아서 좋고 이용자 입장에선 적은 비용으로 생계 활동에 도움을 얻을 수 있으니 나라 전체로 봤을 땐 시스템이 돌아갈 수 있는 겁니다. <br /> <br />근데 이 대목에서 조영훈님의 평소 가치관을 놓고 봤을 때 왜 아무 생산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들이나 장애인들에게 활동 지원을 해야 하느냐 하는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거기에 대한 답을 하자면 노인들은 젋어서 일평생 나라와 우리 사회 경제를 위해 희생하셨던 분들이고 장애인들 같으면 저만 같아도 장애는 있지만 우리 사회에 빠져서는 안될 일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런 관점과 개념은 충분히 존재하고 있구요 설사 그들이 현재 필요가 없어졌다고 하더라도 인도적 차원에서 그런 지원은 계속 되어야만 하는 겁니다. <br /> <br />또 기본소득이 생겨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일자리가 없어질 것이란 걱정을 하셨는데요 현재로선 가장 위협적인 요인이 젊은층의 인구 감소 문제입니다. 만약 인구가 많다면 기본소득이 생겨도 그런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정부가 아까도 말했지만 기본소득 조로 취약계층 활동 지원에 관한 일자리를 많이 만들 것이란 말이죠. <br /> <br />문제는 대한민국이 먼 미래에 극단적인 고령화가 진행되고 젊은층의 인구가 감소했을 때의 이런 자비 일부 부담으로나마 활동 지원을 제 때 받을 수 있느냐의 문제인데 이건 건강 정보를 최대한 다른 사람들과 공유를 해서 국민들의 건강권을 확보해서 절벽 현상을 해소해 나가고 어떻게든 외국인들을 국내에 유입시켜서라도 활동 지원 인력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해질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건 날림으로 처리되게 하지 않기 위해 장기적인 플랜을 착실히 세워야 합니다. <br /> <br />이건 과소 평가하거나 우습게 생각할 일이 아닙니다. 나이들어 제 때 활동지원을 받지 못하면 그건 큰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고 국가 시스템 자체가 붕괴하느냐 내가 사는 대한민국이 지옥이 되느냐의 절대 절명의 문제이기 때문에 심각한 겁니다. 혹시 노인들이 국가 시스템에 어떤 영향을 미차겠냐며 우습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대통령만 해도 노인들이 하는 거잖아요. ㅋㅋ 그래서 중요한 겁니다. 저도 나이가 들면 백발의 노인이 될 거구요. 제가 아파서 컴퓨터 앞에 앉지 못한다고 상상해 보십시요? 어떤 일이 벌어지겠습니까? 제가 아니더라도 조영훈님이 나이가 들어 움직이기가 힘든 상황이고 현재 은행에 현금이 있는데 그걸 찾아가지고 올 사람이 없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br /> <br />그리고 그런 활동 지원 일자리 뿐만 아니라 제가 처음에 언급했던 다양한 생산유발효과를 발휘하게 하면서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것은 나라 경제 전체에 있어 하나의 톱니바퀴에 맞물려 돌아가는 다른 톱니바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그 사람이 건설 현장에서 일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는다고 해서 생산을 하지 않는 게 아니란 얘깁니다. 그건 근로자가 가정에서 어떤 수혜를 받고 사회 시스템을 어떻게 이용하는지만 봐도 분명한 답이 나오는 일입니다. <br /> <br />또 그렇게 기본소득을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통상 조영훈님이 말하는 그런 분야의 일자리는 인구 감소가 심각해지지만 않는다면 사람을 구하기는 어렵지 않습니다. 인구 감소에 대한 해법은 이미 제가 언급드렸구요. 또 한가지 결정적인 이유가 될 수 있는 건 사실 저희 집이 제가 일을 하지 않아도 될만큼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제가 지금 이 나이에도 올해 12월 말까지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게 단적인 사례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ㅋㅋ <br /> <br />마지막에 부자한테 적선을 강요하는 상황에서 누가 적선을 하고 싶겠냐고 하셨는데 그 말은 상식적인 선에서도 크게 공감을 합니다. 근데 내공이 쎈 사람이라면 그런 상황에서 겐세이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가 옳다고 믿는 행위를 할 것으로 사료되네요. <br />^^;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영훈님이 의견을 붙였던 <a href=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223374&amp;plink=POST&amp;cooper=FACEBOOK target=_blank>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223374&amp;plink=POST&amp;cooper=FACEBOOK</a> 이 기사 방금 봤는데요 그건 제가 보기에 아무 조건 없이 기본소득을 줬을 때의 현상이고 제가 강조했던 부분은 실험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전 활동지원이든 정부 프로젝트든 뭐든 공공근로급에 준하는 생산유발효과를 유도하면 충분히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면서도 거기서 기대되는 정신건강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거라고 보는 겁니다. <br /> <br />또하나 중요한 건 제가 이전 덧글에서도 언급했지만 대중들끼리 건강 정보를 활발히 공유함으로써 나이들어서도 건강하게 사회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공고이 마련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그게 돼야 일이든 공공근로든 취미생활이든 생산유발효과의 활동을 발휘할 수 있는 거잖아요. 심지어는 저와 같이 나이 들어 일을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 일을 하도록 유인하는 게 바로 그 건강 요소니까요. 물론 일을 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도 기본소득에 준하는 수입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하구요. 그래야 모두가 인간다운 삶이 가능해집니다. <br /> <br />전 그런 점들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br /> <br />한가지 추가로 언급드리자면 세금은 부자들로부터 나오는게 아니라 세수입의 정규분포 아시겠지만 대부분이 중간 계층의 중산층의 세수입에서 나옵니다. 부자들의 비싼 세수입은 합쳐도 얼마 안됩니다. 또 일반 서민들의 소비에서 나오는 부가가치세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굳이 더 강조 안드려도 잘 아실 겁니다. <br /> <br />2025.08.22 <br /><b>To조영훈)</b> 문제는 그런 일자리조차 지금의 상황에서 민간기업으로부터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니까요. 그게 본질입니다. <br />========================================================================= <br /> <br /><iframe src="https://www.facebook.com/plugins/post.php?href=https%3A%2F%2Fwww.facebook.com%2Fyeonghun.jo.7%2Fposts%2Fpfbid02wj3WnmT6AQP4pHHCZKZanwyQhMYCqsMu8gC5qG7avr51uFCttym9jcksY2mXUYsfl&amp;show_text=true&amp;width=500" width="500" height="202" style="border:none;overflow:hidden" scrolling="n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true" allow="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picture-in-picture; web-share"></iframe><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2일 Friday AM 05:37:17 이윤찬 Fri, 22 Aug 2025 05:37:1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2 네티즌칼럼 > 댓글 이윤찬 - 챗GPT-5 Thinking 이 보니까 div 태그로 텍스트 실어서 이미지에 픽셀 단위로 레이아웃 잡는 걸 정말 못하더군요.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8 이번에 회사 알바일 하면서 아래 첨부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모바일과 안드로이드 태블릿(MPGIO 레전드 뉴 8 WiFi 16GB)에서 이미지 위에 실은 수수료 표시 문구가 이상하게 약간 좌측 안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게 "PC에서 보기" 와 달리 호환성 있게 잘 교정이 되지않아 챗GPT-5 Thinking 에게 고쳐달라고 부탁했다가 레이아웃이 모바일과 태블릿에서 훨씬 더 많이 깨져버리는 소스코드를 받는 바람에 크게 실망해서 원래 처음에 제가 작성했던 HTML 코드로 원복 후 적용해 마무리지었던 일화가 최근에 있었습니다. 이게 챗GPT한테 받은 코드를 적용해 보니까 일단 PC 기준으로 픽셀을 조정해 레이아웃을 잡고 나면 모바일과 태블릿에서 너무 많이 레이아웃이 깨지기 때문에 도저히 그 div 코드를 쓸 수가 없었다는 건데 그나마 제가 원복해서 사용한 div 태그 코드가 가장 최선이라는 걸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br /> <br />레이아웃 조정이라는 게 적용 페이지를 직접 확인하면서 픽셀 단위로 조정하는 작업이라서 그 코드 조합이 엄청나게 많다보니 LLM 엔진들이 패턴을 학습하는 게 거의 불가능해서 그랬던 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br /> <br />암튼 이런 특성 때문에 다른 LLM도 마찬가지이지 않을까 싶은데 이런 픽셀 단위 레이아웃 잡는 걸 챗GPT를 비롯한 다른 LLM 엔진들이 가장 못한다는 걸 이번에 처절하게 깨달았습니다. ㅋㅋ <br /> <br />여러분들도 잘 참고를 하십시요. <br /> <br />&lt;추신&gt; <br />아래 이미지들은 모바일과 태블릿에서 캡처한 것이고 PC 브라우저에선 수수료 표시 부분이 정상적으로 정렬이 되어 표시됩니다. <br /> <br />[그림1 - 아이폰에서 보여지는 모습]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8_20_004.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2 - 안드로이드 태블릿 크롬 브라우저에서 테스트]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8_20_008.JPG' align='' width='2448' height='3264'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3 - 안드로이드 태블릿 파폭 브라우저에서 테스트]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8_20_009.JPG' align='' width='2448' height='3264'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2일 Friday AM 05:01:19 이윤찬 Fri, 22 Aug 2025 05:01:1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제가 부모님한테 요새 애플의 아이폰 오동작 행태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니까 어머니가 하시는 말이 똥통간은 다 구린거야 하시는 말이 어떻게나 귀에 와닿던지...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7 오랜동안 아이폰13에서 위지윅 에디터 아이콘 패널이 아이폰6보다 더 동작을 안해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고 textarea 및 위지윅 에디터 편집이 너무 불편한 문제, 전화번호부 메모 필드 기입을 하려고 하면 화면이 블러되는 증상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아서 부모님께 그 얘기를 했더니 어머니 왈 똥통간은 다 구린거다 라고 하시는 말씀이 어떻게나 가슴에 와 닿는지... <br /> <br />최근엔 아이폰13이 사진 가져오기가 잘 안돼 라이트닝 케이블을 여러번 뺐다 꼽아야지 한참 있다 비로소 되는 증상까지 새로 계속 발생해서 일전에 동네 다른 아파트 세대로 출장 컴AS 갔다가 손님 삼성 갤럭시 22인가 23에서도 USB-C 타입의 케이블을 연결했을 때 딩동딩동 거리면서 제대로 스마트폰 데이타 연결 성립이 안돼서 그 때 저도 어머니와 같은 생각을 했는데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일부러 그랬는지 가장 기본적인 이런 사진 가져오기 기능을 하나같이 이렇게 엉터리로 구현해 놓았다는 것에서 어머니가 말한 똥통간은 다 냄새가 구리다는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는 거지요. <br /> <br />뭔가 제조사 차원 내지 폰을 개발하는 개발자가 유저들 폰의 사진 가져오기를 스트레스 받게 만들어 놓아 폰에 사진을 잔뜩 저장하게 만들어 용량 부족을 만들고 그렇게 해서 폰을 새로 구입하게 만들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 싶은 생각이 들었는데 어머니의 그 은유말을 듣고 동감을 하면서도 많이 씁쓸했네요.<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21일 Thursday AM 06:22:52 이윤찬 Thu, 21 Aug 2025 06:22:52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애플의 기업가 정신은 이겁니다. 두 말할 필요없이 클릭해 보세요.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6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asket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21#290 target=_blank>https://www.blrun.net/bbs/view.php?id=basket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21#290 </a><br /> <br />애플은 이 걸로 끝입니다. 사파리를 대놓고 난도질 했습니다. 그밖에 아이폰 문제가 너무나 많습니다. 그냥 맨날 iOS 업그레이드해서 점점 느려진 앱 만들어내다가 나중에 아이폰6처럼 벽돌 터치 만들어놓고 도망가는 식으로 앱 개발자들은 그냥 자기들이 깔아놓은 개발 환경에서 앱만 돈 상납해 가면서 많이 만들어내라 그 노력은 제 사이트 동작 후려치는 것처럼 iOS 업그레이드 하면서 얄짤없이 후려치겠다~ 애플은 점점 의미도 없는 iOS 계속 업그레이드 해서 난장판 깔겠다 하는 꼴입니다. <br /> <br />앱도 일부 문제는 예나지금이나 변함없습니다. 아이폰을 인터넷 뱅킹 용도 말고 쓰는 분 계세요? 아이폰6는 벽돌 터치 만들어놓고 되는 앱이 정말 하나도 없습니다. 그건 mp3 플레이어가 돼 버린지 오래입니다. <br /> <br />아이폰에서 사파리는 이렇게 만들어 놓고 항의하는 저에게 그럼, 팀쿡은 이렇게 말하겠죠? 아이폰13에서의 인터넷 뱅킹, 그게 얼마나 큰 용도인데 찌그러져 있어. 안봐도 비디오입니다. 애플의 기업가 정신이 이것밖에 안된다에 제가 전 재산 다 겁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8일 Monday PM 07:49:52 이윤찬 Mon, 18 Aug 2025 19:49:52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SNS 이윤찬 - 애플 사파리, 커서 위치 정하고 블럭 지정해서 카피하고 붙여넣기 정상입니까? 근데 앱에선 왜 잘돼요? 헐~ 그리고 왜 제 사이트 링크 열면 페이지가 확 쫄아들어요? ㅋㅋ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5 사파리 내 textarea 에서 커서 위치 정하고 블럭 지정해 카피해서 붙여넣기가 너무 불편합니다. 써보셨던 분들은 아실겁니다. 아주 애플이 발악을 합니다. 누가 이기나 봅시다. 개악된 게 한두가지가 아닙니다. 앱은 또 괜찮아요. 지랄~<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8일 Monday PM 07:13:25 이윤찬 Mon, 18 Aug 2025 19:13:2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SNS 이윤찬 - 윈도우즈10 지원 종료 다 되가니까 맛이 가버렸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4 윈도우즈10이 몇 번 최대절전모드를 쓰고 나면 버벅거리며 아주 느려지고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이 현재 계속 발생합니다. 그래서 현재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래서 파일 열어서 쓰기가 아주 지랄이 됐습니다. 아주 끝까지 유저들 괴롭히고 있는 MS네요. 진합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8일 Monday PM 07:12:51 이윤찬 Mon, 18 Aug 2025 19:12:51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SNS 이윤찬 - 오래 전에 누군가 제 오픈소스 게시판을 다운받았는데 자기가 운영하는 기존 게시판을 보여주면서 이걸 업그레이드 하고 싶다고 부탁을 하며 접근했던 사람이 있었습니다.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3 그 사람이 쓰고 있는 게시판이 제로보드4 였는데 딱 보아하니 제 게시판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좋은 것은 당연지사여서 업그레이드 하면 된다고 말해줬더니 저한테 돈을 줄테니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해서 수락을 해서 FTP 정보를 받아 접속해서 PHP 소스를 설치해 줬는데 헐~ 하루인가 있다가 회원들이 사이트에 로그인이 안된다고 지금 난리라는 겁니다. 보아하니 그 사람이 기존에 사용하는 게시판이 PHP 4.x MySQL 예전 호스팅 환경에서 새로 업그레이드를 했는지 password() 함수가 MySQL 5.x 기준으로 테스트 된 제 소스가 로그인 부분이 동작하지를 않는 문제였는데 전 아차 했고 그 사람 저한테 격하게 화를 내면서 곤경에 빠트리려는 모습을 보고 잘못 걸렸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지만 저는 그렇게 로그인이 동작하지 않는 원인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전날 저녁 아는 개발자 목사님한테 그 얘기를 했더니 목사님도 겪었던 문제라며 PHP 파일 몇군데를 고치면 된다는 말을 하셔서 과연 그러네 하면서 전화를 끊고 바로 회원 가입, 수정, 로그인, 관리자 회원정보 수정 등 몇 군데를 old_password() 함수를 사용해서 로그인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해주고 나니까 그 사람이 안심을 했고 제가 그렇게 도와주고 났더니 다음 날 하는 말이 왜 관리자 페이지를 열면 로그인이 전부 풀리냐고 그것가지고도 또 불만을 토로하면서 이 소스 안쓰겠다고 하면서 원래 게시판으로 돌아가야겠다고 말했던 일이 생각이 납니다. <br /> <br />제가 이렇게 그 사람한테 돈 한 푼 못 받고 모함을 받을 뻔 하다가 빠르게 수습을 해주고 잘 마무리가 됐던 오래된 일화인데 가만히 이제와서 생각해보니 그 때 상황이 좀 작의적이며 악의적이었다는 생각도 들었는데 그 사람의 태도가 우리 집에 찾아오겠다는 둥 말투도 거칠어서 보통 사람 같으면 꼼짝없이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이었지만 전 차분히 대응하여 정상적으로 수습을 하여 곤경을 비교적 가볍게 넘긴 적이 있었습니다. ㅋㅋ <br /> <br />오늘 챗GPT로 DB에 따옴표 addslashes() 처리하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자연스레 약간 원리가 다른 그 때 일이 떠올라 이렇게 오늘 기회가 돼서 그 때 일을 적어 봤습니다. <br />^^; <br /> <br />세상사 요지경이라더니 정말 이런 일을 두고 하는 얘기 아니겠습니까? ㅋㅋ 여러분은 이런 다소 엉뚱하고 씁쓸한 일 없으셨는지.. <br /> <br />&lt;추신&gt; <br />지금 생각해보니 제 잘못은 하나도 없고 그 사람이 호스팅 환경을 업그레이드 한 게 잘못인데 제가 그 문제점을 해결해 주고 나서 돈도 못 받은 셈이나 다름없는 거였네요. 웃깁니다. 더하여 당시를 생각해 보면 제가 처음에 이용했던 윅스 호스팅인가 카페24도 이런 식으로 운영자 동의 없이 MySQL을 업그레이드 해놓아서 기존 회원들은 왜 로그인이 안되지 하면서 새로 회원가입을 뒤늦게 다시 하여 게시판을 이용해야 했던 상황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이게 그 때 전국의 모든 회원들이 한번씩 자신들이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들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한 번씩 모두가 분실했던 사건의 전말입니다. 그런 소스 코드 조치를 해주지 않으면 꼼짝없이 이런 로그인 실패로 인한 회원 가입을 다시 해줘야 되는 겁니다. ㅋㅋㅋㅋ<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7일 Sunday PM 07:37:55 이윤찬 Sun, 17 Aug 2025 19:37:55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평생교육이용권 35만원을 받았는데 관악구+서초구+동작구에 저한테 맞는 교육기관, 즉 사용처가 없네요. 이거 큰일이네요. 12월 말일까지 써야 하는데 반납해야할 판이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2 아래와 같이 관악구엔 제가 관심을 갖고 다닐만한 교육 기관이 거의 없었습니다. 한군데 드론 교육과정이 있었는데 자격증 이론반인데다가 전 드론이 없기 때문에 관심도도 그만큼 떨어집니다. 아이참 35만원 평생교육이용권 받은 거 사용하고 싶은데 고민이 깊네요. <br /> <br />온라인 교육 과정은 교양 과정이 아주 잘 마련되어 있어서 무료 교육 과정을 30차시 가까이 수강을 했는데 이건 여러분도 해보시면 알겠지만 만족도가 높습니다. 아래에 평생교육이용권을 사용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교육기관 검색 사이트 링크를 실었으니 관심있는 분들은 보세요. 이런 것들이 좀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눈높이에 맞는 평생 교육 과정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서초구 지역도 현찮은 것 보면 제대로 이 제도가 이용권 소진을 위한 관련 교육 기관 구비가 제대로 셋팅이 안된 것 같습니다. <br /> <br />https://www.lllcard.kr/reg/seoul/guide/useVcOrgan.do <br /> <br />과목들이 하나같이 비슷한 종목들로 편중되어 있어서 저같이 IT 기기에 관심이 많은 중년이 배울 수 있는 과정은 거의 없는 듯 했습니다. 방금 찾아보니 동작구도 마찬가지네요. 헐~ <br />ㅡ_ㅡ <br /> <br />여러분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온라인 교육 과정은 교양 과정 등 실했는데 정작 35만원짜리 받은 평생교육이용권 바우처를 쓸만한 데가 없네요. <br /> <br />전 12월까지는 오전에 다른 데 근무를 해서 오후에 시간을 내어 배워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배울 수 있는 곳이 더 한정적이 되지 않겠습니까? <br /> <br />&lt;추신&gt; <br />인공지능 API 프로그래밍 과정 같은 거 있으면 좋겠지만 워낙 최첨단 분야라 강사 구하기도 쉽지 않을 듯 하여 구비가 아직까지 힘든 게 아닌가 싶습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평생교육이용권_35만원_이용처_근데_관악구_서초구에_저한테_맞는_교육기관이_없어요1.png' align='' width='1699' height='2843'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2]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평생교육이용권_35만원_이용처_근데_관악구_서초구에_저한테_맞는_교육기관이_없어요2.png' align='' width='1699' height='1694'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6일 Saturday PM 07:56:25 이윤찬 Sat, 16 Aug 2025 19:56:2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챗GPT-5 Thinking 을 좀 사용해봤는데요 이게 기본적인 성능은 나와주었지만 이상하게 목표 이슈에 다가가 수렴되는 만족스런 성능이 딱 나와주질 못하니까 이용 경험이 너무 황폐화되는 것 같습니다. ㅡ_ㅡ;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1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hat1/챗GPT_5_Thinking이_장문의_내용에_대한_기본적인_분석_능력이_전작보다_크게_하락했다는_걸_알_수_있는_단적인_예시.rar">챗GPT_5_Thinking이_장문의_내용에_대한_기본적인_분석_능력이_전작보다_크게_하락했다는_걸_알_수_있는_단적인_예시.rar</a><br /><br /> 챗GPT-5 씽킹 보니까 호언장담 허풍이 많이 늘었더라구요. 자신감 표현은 좋은데 계속적인 헛스윙을 하고나서 그런 장담이 계속되면 왠지 신뢰가 안가고 양치기 소년 인상이 굳어질 수 있습니다. <br /> <br />이번에 오픈소스 게시판 수정증보판 동작에 있어 원래부터 잘 안되는 "euckr 서버에서 복잡하고 큰 글 임시저장 시 빈 글이 DB 임시저장 테이블에 저장이 되는 문제" 가 PHP 엔진이 왜 이렇게 동작할까 하면서 평소 의문을 가졌는데 챗GPT-5 Thinking이 해결이 가능하다며 넌지시 비춰준 용법(주: iconv('UTF-8','CP949//IGNORE',$memo);)을 전해 듣고 제가 바로 시도했다가 잘 안돼서 심력만 낭비하고 이 챗GPT 버전의 결점만 두루 확인하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br /> <br />물론 걔 말대로 여러 번 대화를 반복하면서 3개 복잡한 테스트용 태그 글을 임시저장에 성공한 건 장한 일인데 이게 상당히 긴 장문의 글에서 임시저장 속도가 느리고 30초 단일 명령어 실행 시간을 자꾸 초과해서 보완을 요구하자 계속 헤매이는 걸 옆에서 계속 지켜보면서 든 생각이 챗GPT가 뭔가 결정적 한방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r /> <br />그 뒤로 5 Thinking이 이리저리 시도해 볼 수 있는 꺼리를 저한테 제공하는데 이걸 코드의 어느 부분에다 적용하라는 얘긴지 뭔가 지침의 전개가 두리뭉실하다는 느낌이 드는 대목이 있다는 사실이고 소스 코드에서 실제 적용 대상을 이용자가 모르겠는 상황이 계속 발생하는 게 뭔가 성능 상의 부족함이 좀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br /> <br />제가 PHP 5.5 euckr DB 에서 임시저장이 안되는 글이 자주 발생하는 이번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 챗GPT가 핵심 코드를 산출한 다음에 제가 어느 정도 까지는 되고 그 이후부터는 동일한 에러가 발생하고 있다고 걔한테 말해줬을 때 그 흐름을 잘 인지하면서 빨리 핀트를 돌리고 소스 코드를 원복하는 제안을 통해 새로 산출되는 코드를 최적화해서 안내해줘야 하는데 성능이 하락해서인지 코드를 계속 누더기화 시키는 식으로 코드를 패치하는 방법을 연이어 알려주다가 에러메시지가 변함이 없다고 하자 동작 양상이 종국에는 관련 함수 코드가 턱없이 많이 늘어나고 뭔가 코드 작성 기술문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한다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br /> <br />하지만 논리적으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코드라 하더라도 에러는 발생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한 정보인데도 가능성이 없어보이는 한가지 핀트에 계속 몰입하는 논리적인 취약점도 엿보였습니다. <br /> <br />제가 집에 도착했기 때문에 이번에 시도했던 PHP 5.5 / MySQL 5.x 환경에서 복잡한 태그나 유니코드 문자가 들어가 있는 매우 긴 게시판 글이 임시저장될 때 자꾸 빈 글로 저장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담긴 챗GPT-5 공유링크를 여기에 실어드리겠습니다.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3e16da-9418-8009-9f59-300c4ca745c2 (euckr 글이 임시저장될 때 빈 글 되는 문제 해결 과정) <br />https://chatgpt.com/share/68a018e6-b6a0-8009-888b-fa8de40d2440 (euckr 임시저장 관련, 대량 치환 함수 최적화하는 과정) <br /> <br />과정을 보시면 몇 가지 목표 작업의 난이도를 짐작하실 수가 있고 그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챗GPT-5의 장점과 여러가지 문제점을 어느 정도 캐치하실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물론 전문 PHP 개발자라고 하더라도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 않지만 풀어나가는 과정이 뭐가 반복이 되고 뭐가 성능 상 결함인지 등은 충분히 캐치하실 수 있을 거라고 봅니다. <br /> <br />거기 과정을 봐도 아실 수 있지만 챗GPT가 제시한 코드를 제가 호스팅에 적용하기 전, 혹은 적용 후 에러 메시지 확인하고 나서 긴 소스를 연결해 붙여 일일이 단일 글로 재차 프롬프팅 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데 문제는 얘가 현재 해당 인용, 몇 번째 행에서 에러가 뜨는지조차도 잘 몰라서 그 주변 10개 행을 알려달라고 말하는 대목은 얘가 이런 것도 모르나? 싶은 성능 의심이 들었다는 거고 걔가 보완한 코드가 여러 부분 조각이 있다고 했을 때 단박에 정리가 안돼 어쩔 수 없이 걔한테 제가 완성한 코드를 보여주는 식이 돼 버렸다는 점도 특기할만한 사안입니다. <br /> <br />이번 시도는 사실 난해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작업 같기도 해서 챗GPT가 많이 헤맸지만 오픈소스 게시판 수정증보판에서 남아있는 버그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앞으로 버전업된 챗GPT의 성능을 시험, 확인해 볼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br /> <br />환언하여 최근의 시도 중 아이폰13 위지윅 에디터 상에서 상단 아이콘 패널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는 제가 보기에 사파리 앱 엔진 단에서 고의적으로 발생시키는 동작으로 보였는데 간헐적으로 되다가 먹통이 되는 증상이 그걸 잘 말해주고 있다는 것이며 챗GPT도 계속 시도를 해보지만 동일 증상이 시간차를 두고 계속 발생하였고 제가 이 문제는 애플이 유료 앱 등록을 활성화시키려고 사파리 웹 이용을 불편하게 만들어버린 것이다 라고 결론을 내리자 일전엔 애플을 두둔하기에 바빴던 챗GPT가 종국에는 노코멘트를 유지하더라구요. ㅋㅋ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910827-0eb4-8009-b299-58425cb3739d (초반 6분의 1 지점부터 아이폰13 사파리 위지윅 아이콘 패널 문제를 다룬 대화가 나옵니다) <br /> <br />하지만 이 버그 수정하면서 PC 브라우저에서 아이콘 패널 동작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걸 챗GPT 통해 보다 완벽히 동작하도록 손을 볼 수 있었는데 표그리기 시 직전에 그린 가로 세로 셀 크기가 담 번 표그리기 시 잔상으로 남는 문제를 비롯해 폰트 색상이나 배경색 색상 팔레트에 마우스를 오버했을 때는 팔레트 레이어가 유지가 되고 영역을 벗어났을 때도 정해진 초 시간 후에 팔레트가 닫히도록 기존의 불편 사항을 모두 해소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다는 점도 아울러 말씀드립니다.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910827-0eb4-8009-b299-58425cb3739d (3분의 2 지점부터 그 문제를 다뤘습니다) <br /> <br />또 최신 시사 이슈 정리에 관한 컷오프 지침이나 소스 코드 인덴트 적용에 관한 사전 지침은 전작보다 더 잘 따르는 것 같았고 출력이 나오는 속도는 늦지만 복잡한 소스 코드를 때려 넣어도 오류 발생 빈도는 많이 줄어든 느낌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앞 2개 공유 링크 중간부터 보시면 알겠지만 제가 이전 대화에서 언급한 내용의 말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도 나오고 2번째 공유링크에서 보듯이 제가 작성한 코드가 맞는지 물어봤을 때 코드를 리뷰해 주는 게 아니라 또 다른 시도를 위한 코드를 생성해 주는 경향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대화 흐름 내내 보여지는 이용자의 의도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는 등 말길을 잘 못 알아듣는 것이 챗GPT-5의 성능이 하락했다는 핵심적인 증거가 아닐까 생각되어집니다. <br /> <br />물론 이전 답변을 확인해서 피드백으로 좋아요 싫어요를 바로바로 취해주면 다음 답변이 나아지는 느낌도 좀 받았습니다. <br /> <br />암튼 이런 점들을 여러분이나 OpenAI가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br /> <br />또 전작보다 코드를 이해해 가면서 원하는 형태를 만들어가는 게 쉽지 않습니다. 이처럼 GPT-5 Thinking 모델 같으면 보완 요청에 대한 다양한 코딩 예시를 제시해주지만 원하는 형태가 꼭 나오는 게 아니라 자꾸 질문을 더하다 보면 백화점 식으로 패치된 장황하게 긴 코드가 생성되기도 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간략한 코드를 만드려면 한 두 가지 제시된 예문을 보고 추가 프롬프트를 자제하면서 자신 스스로 적절히 그 코드를 이해하면서 최적화하는 작업이 좀 필요합니다. <br /> <br />현재는 그렇습니다. <br /> <br />불행하게도 챗GPT-5 Thinking은 일관성이 눈에 띄게 결여돼 이전 질문에서 제가 제시한 원래의 소스코드나 챗GPT가 보완한 코드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일관성을 유지하는 노력이 매우 어려워져서 이것이 플래그십 모델이 아닌 GPT-5 Thinking 모델만 그런건 아닌 것 같았습니다. Thinking 모델은 대화 흐름에서 벗어난 엉성한 답변을 하기도 하지만 보완을 요구했을 때 꼼꼼한 답변을 해주는데, 즉 다시 말해 소스를 대거 보완해 주기 때문에 에러 메시지가 안뜨면서도 코드가 길어질 수 있고 점점 더 코드가 다변화되기 쉬워서 제가 지속적으로 이전 질문에서 최소한의 수정으로 보완을 요청하였는데도 계속 대화해 나가다보면 말길을 못 알아듣고 도중에 물고기 지능을 가진 것처럼 자꾸 까먹으면서 다소 엉뚱한 듯 다양한 코드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br /> <br />이 점은 장점이기라보다는 전작에는 없는 매우 불편한 특성입니다. <br /> <br />서두에 나열한 2개 공유 링크를 읽어보셨던 분들은 이해하시겠지만 현재 제가 euckr 호스팅에서의 임시저장 기능을 단일 명령어 30초 타임아웃이 발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불완전하게 완성하긴 했는데 챗GPT의 도움으로 불편함이 상당 부분 해소가 되었습니다. 그 후로 아래에 첨부한 공유링크는 버그로 남아 있던 것 중에 "임시저장중..." 일 때 작성완료 버튼을 누르면 "임시저장 완료 후 전송합니다..." 가 보이고 나서 임시저장이 완료되거나 임시저장 실패가 뜨고 난 뒤 자동으로 write_ok.php 로 처리가 넘어갈 때 textarea의 내용이 클립보드로 복사가 안되는 문제를 풀어나간 과정입니다.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a0220c-c4a8-8009-8c72-c245a9674c53 <br /> <br />이건 해결을 완벽히 보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으로 챗GPT-5 Thinking의 성능하락을 확신할 수 있었던 대목은 본문에 첨부한 HTML 문서에 나타나 있습니다. 기본적인 성능을 의심할 수 있는 결정적인 대목이 거기에 나오는데 이런 건 빨리 보완이 돼서 이용자들이 향후 전작 o1이나 o3보다 좋은 성능의 챗GPT를 하루빨리 맛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br /> <br />이렇게 긴 문장들을 프롬프팅 했을 때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은 불안정한 제미나이나 프롬프트 글의 길이에 제한을 가하는 클로드에 비하면 OpenAI가 독보적으로 앞서고 있는 부분이라는 점도 아울러 언급드립니다. <br /> <br />여기까지가 제가 최근 챗GPT-5 Thinking 버전을 정말 먼지나게 식음을 전폐하듯 사용하면서 겪고 느낀 점들입니다. 독자분들이나 LLM 개발회사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6일 Saturday PM 03:55:44 이윤찬 Sat, 16 Aug 2025 15:55:44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불편+이해 이윤찬 - 헐~ 왜 롯데 꼬깔콘 군옥수수맛 과자가 이렇게 짜졌어요? 옥수수콘은 고소한 게 매력인데... 너무 개념 탑재가 안돼 있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0 헐~ 꼬깔콘 군옥수수맛 과자 왜 이렇게 짜졌어요? 어머니가 옆에서 같이 드셔보시더니 과자가 왜 이렇게 짜냐고 짠 거 많이 먹지 말라고 좀 먹다가 어머니가 뺏으셔서 봉지에 묶어 담아두셨네요. 누구한테 시식을 시켜 염분 조정을 했길래~ 뭔가 요새 어린 학생들 입맛 위주로 염분을 조정한 것 같아 씁쓸합니다. 짠지 싱거운지도 모르는 제조사가 이해가 안가는 게 이런 옥수수 과자는 고소한 맛으로 먹는 건데 너무 짜면 이런 맛이 반감되기 때문인데 얘네들이 그걸 잘 모르네요. <br />ㅡ_ㅡ <br /> <br />중학교 때 롯데 재단이 설립했다는 미림 학원 저 다닐 때 가끔 학생들한테 과자를 시식 접시에 나눠주면서 맛을 설문지로 받아가곤 한 적이 있는데 그 때의 방법을 요새도 사용하나 보네요. 고소한 맛이 생명인 옥수수콘 과자가 이렇게 짠 맛으로 조정이 이뤄졌다는 게 좀 어이가 없네요. 여러분도 함 드셔보세요 지난 화요일에 GS25에서 구입한 롯데 꼬깔콘 군옥수수맛 과자가 너무 짭니다. 그래서 고소한 맛이 느껴질 겨를이 없습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5일 Friday PM 12:07:52 이윤찬 Fri, 15 Aug 2025 12:07:52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5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SNS 이윤찬 - 어머니 민생회복 소비쿠폰 키프트카드 신한카드 홈페이지로 가서 잔액조회를 하려고 했더니 앞숫자 9가 입력이 되지 않네요 헐~ 뭔가 수상합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9 오늘 GS25 갔다가 우유, 과자 사고 영수증을 끊었더니 잔액이 표시되지 않아서 이상하다 하고 집에 도착해 신한카드 홈페이지로 가서 우상단 석삼 전체 메뉴 &gt; 카드 &gt; 기프트카드 &gt; 잔액내역/내역 으로 들어가 카드번호랑 유효기간, CVD 번호 치고 확인하려고 했더니 헐~ 이게 카드번호 입력단계부터 맨 앞자리 9 숫자가 입력이 되지 않는 거였습니다. <br /> <br />소비쿠폰 제도 운용에 있어 뭔가 매끄럽지 못하고 의심을 받을만한 요소가 이렇게 도사려 있네요. 안그렇습니까? 영수증에 잔액도 표기 안되고 사이트에선 잔액조회도 안되고 그럼 뭘 어쩌라는 건지... 너무 엉터리네요. <br />ㅡ_ㅡ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어머니_민생회복_소비쿠폰_키프트카드_신한카드_홈페이지로_가서_잔액조회를_하려고_했더니_앞숫자_9가_입력이_되지_않네요_헐.png' align='' width='1280' height='984'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2일 Tuesday PM 07:05:18 이윤찬 Tue, 12 Aug 2025 19:05:18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애플 이 자식들 결국 iOS 18.6 에서 이 문제 새로 만들어내 유저들 메모 기본 앱이나 챗GPT 앱 이용 못하게 만들어 놓네요. 골로 가기로 아주 작정한거 같습니다. ㅡ_ㅡ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2 헐~ 아이폰13 사파리의 제 이윤찬의 에버노트 사이트에서 작성한 아래 내용을 저도 모르게 전환된 “개인정보 보호 강화” 모드에서 수정완료 버튼을 누르려고 했더니 지랄이게도 이게 일정 시간이 지나 자동으로 로그인이 풀려 뒤로가기 후 전체 내용을 복사 후 아이폰 기본 메모 앱에다 붙여넣기 한 다음 개인 에버노트 메모 사이트에 다시 로그인 한 뒤 붙여넣기해 저장을 하려고 했는데 이게 [그림1]을 보시는 것처럼 아이폰 메모 기본 앱에 붙여넣기한 내용이 보이지 않고 커서만 깜빡거리는 겁니다. <br /> <br />그래서 전 또 이런 식으로 애플로부터 iOS 업그레이드로 인해 뒤통수 가격 피해를 입었구나 하고 어쩔 수 없이 Simplenote 앱에 붙여넣기 후 사파리 이윤찬 에버노트 메모로 다시 이동해 저장에 성공했는데 그 이후에 다시 이윤찬 에버노트 메모에 있는 내용을 요새 계속 보완중인 "PHP 5.5 상 임시저장 안되는 특정 포스트 이슈" 관련 챗GPT 대화 세션 추가 프롬프트 창에 붙여넣기 하고 났더니 아까 기본 메모 앱처럼 아래 [그림2] 보시는 것처럼 역시 내용이 보이지 않고 커서만 보이는 겁니다. <br /> <br />이 증상이 터져서 결국 오늘 외부 장소에서 이윤찬 에버노트 메모로 작성한 프롬프트 질문을 아이폰13 챗GPT 앱으로 때려넣지 못하는 불상사에 직면해야만 했습니다. <br />ㅡ_ㅡ <br /> <br />애플과 어떻게든 좋은 관계를 유지해 보려고 했는데 이런 식으로 종국에는 악연으로 귀결되는 모양새이고 더군다나 iOS 18.6 으로 업그레이드 후에 게시판 위지윅 에디터에서 이렇게 커서 위치에 문자 터치되는 속도도 느려져서 제가 아주 멘탈붕괴 직전까지 갔습니다. <br />ㅡ_ㅡ <br /> <br />해당 챗GPT 대화의 공유링크는 기회가 되면 조만간 대화 세션 전체 내용을 볼 수 있도록 업데이트해서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현재 소스 개선 작업이 완료가 안돼서요.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823.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그림2]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824.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 <br /> <br /><b>나의 말:</b> <br />헐~ 마찬가지 아래 에러가 뜬다. 이게 “임시저장중...” 이 계속 20초 이상 보이면서 타임아웃이 걸리는 증상은 동일하다. <br /> <br />소스는 원복하는 게 나을 것 같다. <br /> <br />아래 인용된 원복 소스 상태에서 왜 이 문제가 발생하는지 원리를 좀 설명해 주라. 내가 보기엔 이번엔 진짜로 누락되는 글자가 생기면서 그걸 mb_substr() 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이 명령어의 실행 시간이 30초를 초과하는거 같은데 이거 내가 호스팅 업체에 명령어 실행 타임아웃 시간 늘려달라고 요청하는 건 좋은 방법이 아니겠지? <br /> <br />너가 혹 euckr_safe() 를 다시 건드려야 하는 건 아닌지 궁금하고 이걸 고치는 데 있어 무엇이 문제인지도 말해주라. <br /> <br />증상이 똑같아지기 시작한 직전의 아래 첫 인용 2개의 원복 파일 소스코드를 보고 해결책을 제시해 줘. 그래야 최소한의 수정을 할 것 아냐. <br /> <br />너가 아침에 마지막까지 수정해 알려줘서 내가 동일 에러 메시지라고 말한 가장 최근의 소스 코드도 편집기에서 새 파일 열어서 붙여넣기 해놓았으니까 필요하면 그 코드 기준으로 다시 말해줘도 된다. 원복 파일 기준이면 원복 파일 기준이라고 말해주고. <br /> <br />지금까지 너가 알려 준 소스 중 타임아웃 관련 동일 에러 메시지 발생 직전의 다른 에러메시지 까지 바로잡은 종전 원복한 파일 코드 적용한 상태에서 다시한번 테스트를 해보니까 아까 테스트 한 3개 textarea의 글은 잘 임시저장이 되는데 아래 마지막에 인용해 붙여넣은 글은 “임시저장중...” 이 20초를 훨씬 초과하면서 "임시저장 실패!" 가 떠버린다는 거지. 아래 에러가 뜨면서 말야. <br /> <br />[12-Aug-2025 07:47:04] PHP Fatal error:&nbsp;&nbsp;Maximum execution time of 30 seconds exceeded in /blrun/www/bbs/lib_ajax.php on line 639 <br />============================== <br /> <br />&lt;? <br />/****************************************************************************** <br />&nbsp;* Zeroboard library (임시저장 관련) <br />&nbsp;* <br />&nbsp;* 마지막 수정일자 : 2025. 8. 12 <br />&nbsp;* 이 파일내의 모든 함수는 원하시는대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br />&nbsp;* <br />&nbsp;* by zero (zero@nzeo.com) <br />&nbsp;* <br />&nbsp;******************************************************************************/ <br />// 한글 인코딩 및 W3C P3P 규약설정 <br />@header("Content-Type: text/html; charset=euc-kr"); <br />@header('P3P: CP="NOI CURa ADMa DEVa TAIa OUR DELa BUS IND PHY ONL UNI COM NAV INT DEM PRE"'); <br /> <br />// 현재 버젼 <br />$zb_version = "4.1 pl8"; <br /> <br />/******************************************************************************* <br />&nbsp;* 에러 리포팅 설정과 register_globals_off일때 변수 재 정의 <br />&nbsp;******************************************************************************/ <br />@error_reporting(E_ALL ^ E_NOTICE); <br />foreach($_GET as $key=&gt;$val) $$key = del_html($val); <br />@extract($_POST); <br />@extract($_SERVER); <br />@extract($_ENV); <br /> <br />$page = (int)$page; <br /> <br />// lib_ajax.php 파일의 위치를 구함;; <br />$temp_filename=realpath(__FILE__); <br />if($temp_filename) $config_dir=preg_replace("#lib_ajax.php#i","",$temp_filename); <br />else $config_dir=""; <br /> <br />/******************************************************************************* <br />&nbsp;* 기본 변수 초기화. (php의 오류같지 않은 오류 때문에;; ㅡㅡ+) <br />&nbsp;******************************************************************************/ <br />unset($member); <br />unset($group); <br />unset($setup); <br />unset($s_que); <br />$safe_sa=array('headnum','subject','name','hit','vote','reg_date','download1','download2'); <br />if(!in_array($select_arrange,$safe_sa)) unset($select_arrange); <br />if(!in_array($desc,array('desc','asc'))) unset($desc); <br /> <br />/******************************************************************************* <br />&nbsp;* include 되었는지를 검사 <br />&nbsp;******************************************************************************/ <br />if(defined("_zb_lib_included")) return; <br />define("_zb_lib_included",true); <br /> <br />$_startTime=getmicrotime(); <br /> <br />/******************************************************************************* <br />&nbsp;* 기본 설정 파일을 읽음 <br />&nbsp;******************************************************************************/ <br />include_once "include/get_url.php"; <br />$_zbDefaultSetup = getDefaultSetup(); <br />$_zb_url = zbUrl(); <br />$_zb_path = $config_dir; <br />$ssl_url = sslUrl(); <br />if(preg_match("#^\/\/#",$_zb_url)) $_zb_url = isHttpsRequest() ? "https:".$_zb_url : "http:".$_zb_url; <br />if(preg_match("#^\/\/#",$ssl_url)) $ssl_url = isHttpsRequest() ? "https:".$ssl_url : "http:".$ssl_url; <br /> <br />// 관리자 테이블과 회원관리 테이블의 이름을 미리 변수로 정의 <br />$member_table = "zetyx_member_table";&nbsp;&nbsp;// 회원들의 데이타가 들어 있는 직접적인 테이블 <br />$group_table = "zetyx_group_table";&nbsp;&nbsp; // 그룹테이블 <br />$admin_table="zetyx_admin_table";&nbsp;&nbsp;&nbsp;&nbsp; // 게시판의 관리자 테이블 <br />$board_imsi_table="zetyx_board_imsi"; // 게시판 임시저장 테이블 <br />$comment_imsi_table="zetyx_board_comment_imsi"; // 코멘트 임시저장 테이블 <br /> <br />$send_memo_table ="zetyx_send_memo"; <br />$get_memo_table ="zetyx_get_memo"; <br /> <br />$t_division="zetyx_division"; // Division 테이블 <br />$t_board = "zetyx_board"; // 메인 테이블 <br />$t_comment ="zetyx_board_comment"; // 코멘트테이블 <br />$t_category ="zetyx_board_category"; // 카테고리 테이블 <br /> <br />/******************************************************************************* <br />&nbsp;* install 페이지가 아닌 경우 <br />&nbsp;******************************************************************************/ <br />if(!preg_match("/bbs\/install/i",$PHP_SELF)&&file_exists($_zb_path."myZrCnf2019.php"))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세션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 후 777권한 부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_dir($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kdir($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 0777,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hmod($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 0777);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Data, Icon, 세션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없다면 에러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_writable($_zb_path."data")) error("Data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lt;br&gt;제로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ata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_writable($_zb_path."icon")) error("icon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lt;br&gt;제로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con 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_writable($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 error("세션 디렉토리(".$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의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lt;br&gt;제로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션디렉토리의 쓰기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Start = get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ssion_save_path($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ssion_cache_limiter('nocache, must_revalidat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ssion_set_cookie_params(0,"/");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세션 변수의 등록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ssion_start();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조회수가 512byte를, 투표 세션변수가 256byte를 넘을시 리셋 (개인서버를 이용시에는 조금 더 늘려도 됨)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strlen($_SESSION['zb_hit'])&gt;$_zbDefaultSetup[session_view_siz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hi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strlen($_SESSION['zb_vote'])&gt;$_zbDefaultSetup[session_vote_siz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vot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자동 로그인일때 제대로 된 자동 로그인인지 체크하는 부분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nset($autoLoginData);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autoLoginData = getZBSession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autoLoginData[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DB 연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onnect) $connect=dbCon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멤버 정보 구해오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bTimeStart = get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email from `$member_table` where no ='".$autoLoginData[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bTime += getmicrotime()-$_dbTimeStar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mail IP 표식 불러와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0-9.]{1,})$#",$m[email],$c_match))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kenID = $c_match[1]; // lib_ajax.php 에선 사용되지 않음.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자동로그인 세션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ogged_no']=$autoLoginData[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ogged_ip']=$REMOTE_ADD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ogged_time']=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_token']=$_COOKIE['toke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세션 값을 체크하여 로그인을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if($_SESSION['zb_logged_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DB 연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onnect) $connect=dbCon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멤버 정보 구해오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bTimeStart = get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email from `$member_table` where no ='".$_SESSION['zb_logged_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bTime += getmicrotime()-$_dbTimeStar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mail IP 표식 불러와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0-9.]{1,})$#",$m[email],$c_match))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kenID = $c_match[1]; // lib_ajax.php 에선 사용되지 않음.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자동로그인이 아닐 때 세션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유효할 경우 세션값을 리프레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ogged_no']=$_SESSION['zb_logged_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ogged_time']=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_token']=$_COOKIE['toke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End = getmicrotim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현재 접속자의 데이타를 체크하여 파일로 저장 (회원, 비회원으로 구분해서 저장)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nowConnectStart = get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zbDefaultSetup[nowconnect_enable]=="true" && !defined('ZB_SKIP_NOWCONNECT'))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zb_now_check_intervalTime = time()-$_SESSION['zb_last_connect_check'];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ESSION['zb_last_connect_check']||$_zb_now_check_intervalTime&gt;$_zbDefaultSetup[nowconnect_refresh_time])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5.3 이상용 세션 처리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ESSION['zb_last_connect_check'] = tim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ESSION['zb_logged_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member_connect = $total_connect = getNowConnector($_zb_path."data/now_member_connect.php",$_SESSION['zb_logged_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guest_connect = getNowConnector_num($_zb_path."data/now_connect.php",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member_connect = $total_connect = getNowConnector_num($_zb_path."data/now_member_connect.php",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guest_connect = getNowConnector($_zb_path."data/now_connect.php",$_SERVER['REMOTE_ADD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member_connect = $total_connect = getNowConnector_num($_zb_path."data/now_member_connect.php",FALS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tal_guest_connect = getNowConnector_num($_zb_path."data/now_connect.php",FALS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br />$_nowConnectEnd = getmicrotime(); <br /> <br />// 모바일일 때와 PC일 때 처리 <br />$browser=$HTTP_USER_AGENT; //echo $browser; <br />if(preg_match("/(iPhone|iPod|IEMobile|Mobile|lgtelecom|PPC)/i",$browser)) $browser="0"; else $browser="1"; <br />//echo $browser; <br /> <br />// DB가 설정이 되었는지를 검사 <br />if(!file_exists($config_dir."myZrCnf2019.php")&&!preg_match("/install/i",$PHP_SELF))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cho "&lt;meta http-equiv=\"refresh\" content=\"0; url=install.php\"&g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xit; <br />} <br /> <br />// 마이크로 타임 구함 <br />function getmicroti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icrotimestmp = preg_split("/ /",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microtimestmp[0]+$microtimestmp[1]; <br />} <br /> <br />// 마이크로세컨드타임스탬프 구함 <br />function getMicrosecond()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icrotimestmp = preg_split("/ /",microti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microtimestmp[1].substr($microtimestmp[0], 2, 6); <br />} <br /> <br />/****************************************************************************** <br />* Division 관련 함수 <br />*****************************************************************************/ <br />// 전체 division 구함 <br />function total_division()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t_division, $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max(division) from `$t_division"."_$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temp[0]; <br />} <br /> <br />// 답글일때 해당 division의 num 값 증가 <br />function plus_division($division)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t_division, $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t_division"."_$id` set num=num+1 where division='$division'") or error(mysql_error()); <br />} <br /> <br />// 삭제하거나 공지글을 일반글로 옮기는 등의 division num값 변화시 해당 division의 num값 감소시킴 <br />function minus_division($division)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t_division, $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t_division"."_$id` set num=num-1 where division='$division'") or error(mysql_error()); <br />} <br /> <br />// 신규글쓰기일때 최근 division의 num 값 증가 <br />function add_division($board_na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t_division, $id, $t_boa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board_name) $board_id=$board_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lse $board_id=$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num from `$t_division"."_$board_id` order by division desc limit 1"));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현재 division의 num값이 기준값일때는 division +1 해줌;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emp[0]&gt;=5000)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max(division) from `$t_division"."_$board_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ax_division=$temp[0]+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max(division) from `$t_division"."_$board_id` where num&gt;0 and division!='$max_divisio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emp[0]) $second_division=0; else $second_division=$temp[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count(*) from `$t_board"."_$board_id` where (division='$max_division' or division='$second_division') and headnum&lt;=-200000000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emp[0]&gt;0)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t_board"."_$board_id` set division='$max_division' where (division='$max_division' or division='$second_division') and&nbsp;&nbsp;headnum&lt;='-2000000000'") or error(mysql_err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t_division"."_$board_id` set num=num-'$temp[0]' where division='$max_division'-1") or error(mysql_err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um=$temp[0]+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insert into `$t_division"."_$board_id` (division,num) values ('$max_division','$num')");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max_divisio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현재 division이 기준값개보다 작을때~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max(division) from `$t_division"."_$board_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ivision=$temp[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t_division"."_$board_id` set num=num+1 where division='$divisio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divisio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br />* 로그인이 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로그인되어있으면 해당 회원의 정보를 저장 <br />*****************************************************************************/ <br />function member_info()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member_table, $member, $connect;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ined("_member_info_included")&&$member[no]) return $membe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efine("_member_info_included", tru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member[no]) return $membe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ESSION['zb_logged_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ember=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 from `$member_table` where no ='".$_SESSION['zb_logged_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member[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nset($membe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ember[level] = 1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member[level] = 10;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member; <br />} <br /> <br />function group_info($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group_tabl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 from `$group_table` where no='$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temp; <br />} <br /> <br />/****************************************************************************** <br />* 제로보드 전용 함수 <br />*****************************************************************************/ <br />// MySQL 데이타 베이스에 접근 <br />function dbconn()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config_dir, $_dbconn_is_included;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dbconn_is_included) return;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bconn_is_included = tru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file($config_dir."myZrCnf2019.php") or Error("myZrCnf2019.php파일이 없습니다.&lt;br&gt;DB설정을 먼저 하십시요","install.ph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1;$i&lt;=4;$i++) $f[$i]=trim(str_replace("\n","",$f[$i]));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onnec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nnect = @mysql_connect($f[1],$f[2],$f[3]);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set names euckr",$connec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SET CHARACTER SET euckr",$connec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onnect) Error("DB 접속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select_db($f[4], $connect) or Error("DB Select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connect; <br />} <br /> <br />// 게시판 관리자인지 체크하는 부분 <br />function check_board_master($member, $board_num)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 = preg_split("/,/",$member[board_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i&lt;count($temp);$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 = trim($temp[$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t&&$t==$board_num) return 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0; <br />} <br /> <br />// 게시판 설정을 읽어옴 <br />function get_table_attrib($id)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nect, $admin_tabl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_string($id)) return fals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d=mysql_real_escape_string($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mysql_fetch_assoc(mysql_query("select * from `$admin_table` where `name`='$id' limit 1;",$connect));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ata[table_width]&lt;=100) $data[table_width]=$data[table_width]."%";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원래는 IP를 보여주는 기능인데, DB 변경을 피하기 위해서 이미지 박스 사용 권한으로 변경하여 사용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ata[use_showip]) $data[use_showip] =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grant_imagebox] = $data[use_showi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data; <br />} <br /> <br />// 게시판의 생성유무 검사 <br />function istable($str, $dbna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config_di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bna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file($config_dir."myZrCnf2019.php") or Error("myZrCnf2019.php파일이 없습니다.&lt;br&gt;DB설정을 먼저 하십시요","install.ph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1;$i&lt;=4;$i++) $f[$i]=str_replace("\n","",$f[$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bname=$f[4];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sult = mysql_query("show tables from `$dbname`") or error(mysql_erro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0;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while ($i &lt; mysql_num_rows($result))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str==mysql_tablename ($result, $i)) return 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0; <br />} <br /> <br />// 현재 아이피와 주어진 아이피 리스트를 비교하여 아이피 블럭 대상자인지 검사 <br />function check_blockip()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avoid_ip=explode(",",$setup[avoid_i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unt = count($avoid_i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i&lt;$count;$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avoid_ip[$i]=trim($avoid_ip[$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blank($avoid_ip[$i])&&preg_match("#".$avoid_ip[$i]."#i",$_SERVER['REMOTE_ADDR'])) Error("차단당한 IP 주소입니다.");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접속자수 체크 <br />function getNowConnector($filename,$div)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Default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trim(zReadFile($file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um =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str_replace("&lt;?php die('Access Denied');/*","",$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str_replace("*/?&gt;","",$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connector = explode(":",$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izeConnector = count($_connect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nowtime = date("YmdH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nset($_realNowConnect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izeConnecto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i&lt;$_sizeConnector;$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time = substr($_connector[$i],0,1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iv = substr($_connector[$i],1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time+$_zbDefaultSetup[nowconnect_time]&gt;=$_nowtime&&$_div!=$div)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realNowConnector.=$_time.$_div.":";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um++;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realNowConnector.=$_nowtime.$div;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WriteFile($filename, "&lt;?php die('Access Denied');/*".$_realNowConnector."*/?&g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num; <br />} <br /> <br />// 접속자수 구하기 <br />function getNowConnector_num($filename, $FLAG=FA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Default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trim(zReadFile($file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um =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str_replace("&lt;?php die('Access Denied');/*","",$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tr = str_replace("*/?&gt;","",$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connector = explode(":",$_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sizeConnector = count($_connect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nowtime = date("YmdH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nset($_realNowConnecto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sizeConnecto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i&lt;$_sizeConnector;$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time = substr($_connector[$i],0,1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div = substr($_connector[$i],1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time+$_zbDefaultSetup[nowconnect_time]&gt;=$_nowti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realNowConnector.=$_time.$_div.":";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um++;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FLAG)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WriteFile($filename, "&lt;?php die('Access Denied');/*".$_realNowConnector."*/?&g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num; <br />} <br /> <br />// 제로보드 자동 로그인 세션값이 있는지 판단해서 있으면 해당 값을 리턴 <br />function getZBSessionI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_path, $_zbDefaultSetu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bSessionID = $_COOKIE['ZBSESSIONID'];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zb_path || !$_zbDefaultSetup || !$zbSessionID || !preg_match('/^[0-9a-f]+$/', $zbSessionI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array();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tr = zReadFile($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zbSessionID_'.$zbSessionID.'.ph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SESSIONID',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_AUTOLOGIN_TOKEN',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array();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tr = explode("\n",$st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 = array();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no'] = trim($str[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token'] = trim($str[2]);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_COOKIE['ZB_AUTOLOGIN_TOKEN'] || $_COOKIE['ZB_AUTOLOGIN_TOKEN'] != $data['token'])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SESSIONID',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_AUTOLOGIN_TOKEN',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array();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estroyZBSessionID($data['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akeZBSessionID($data['no']);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data; <br />} <br /> <br />// 제로보드 자동 로그인 세션값을 만드는 함수 <br />function makeZBSessionID($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_path, $_zbDefault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o = (int)$no;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bSessionID = hash('sha512', (string)microtime(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oken = uniqid('', tru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ewStr = "&lt;?php /*\n$no\n$token\n*/ ?&gt;";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WriteFile($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zbSessionID_'.$zbSessionID.'.php', $newSt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SESSIONID', $zbSessionID,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_AUTOLOGIN_TOKEN', $token, time()+60*60*24*365, '/'); <br />} <br /> <br />// 제로보드 자동 로그인 세션값 파기시키는 함수 <br />function destroyZBSessionID($no, $zbSessionID='', $reset_cookie=tru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_path, $_zbDefault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zbSessionI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bSessionID = $_COOKIE['ZBSESSION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0-9a-f]+$/', $zbSessionI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z_unlink($_zb_path.$_zbDefaultSetup['session_path'].'/zbSessionID_'.$zbSessionID.'.ph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reset_cooki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SESSIONID',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etcookie('ZB_AUTOLOGIN_TOKEN', '', time()+60*60*24*365,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제로보드의 기본 설정 파일을 읽어오는 함수 <br />function getDefaultSetup()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_zb_pat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 = zReadFile($_zb_path."setup.ph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 = str_replace("&lt;?php /*","",$data);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 = str_replace("*/ ?&gt;","",$data);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ata = explode("\n",$data);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_c = count($data);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nset($defaultSetu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i&lt;$_c;$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data[$i])&&strlen(trim($data[$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mpStr = explode("=",$data[$i]);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ame = trim($tmpStr[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value = trim($tmpStr[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efaultSetup[$name]=$val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url]) $defaultSetup[url] = $HTTP_HOS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sitename]) $defaultSetup[sitename] = $HTTP_HOS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session_path]) $defaultSetup[session_path] = "data/__zbSessionT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session_view_size]) $defaultSetup[session_view_size] = 51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session_vote_size]) $defaultSetup[session_vote_size] = 256;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login_time]) $defaultSetup[login_time] = 60*3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nowconnect_enable]) $defaultSetup[nowconnect_enable] =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nowconnect_refresh_time]) $defaultSetup[nowconnect_refresh_time] = 60*3;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nowconnect_time]) $defaultSetup[nowconnect_time] = 60*5;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enable_hangul_id]) $defaultSetup[enable_hangul_id] = "fals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check_email]) $defaultSetup[check_email] =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defaultSetup[memo_limit_time]) $defaultSetup[memo_limit_time] = 7;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defaultSetup[memo_limit_time] = 60 * 60 * 24 * $defaultSetup[memo_limit_time];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defaultSetup; <br />} <br /> <br />/****************************************************************************** <br />&nbsp;* 일반 함수 <br />&nbsp;*****************************************************************************/ <br />// 빈문자열 경우 1을 리턴 <br />function isblank($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str_replace(" ","",$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str_replace("\n","",$te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strip_tags($te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str_replace("&nbsp;","",$te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str_replace(" ","",$te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preg_replace("/�*A0;?|�*160;?|�*180E;?|�*6158;?|�*2000;?|�*8192;?|�*2001;?|�*8193;?|�*2002;?|�*8194;?| |�*2003;?|�*8195;?| |�*2004;?|�*8196;?|�*2005;?|�*8197;?|�*2006;?|�*8198;?|�*2007;?|�*8199;?|�*2008;?|�*8200;?|�*2009;?|�*8201;?| |�*200A;?|�*8202;?|�*200B;?|�*8203;?|�*202F;?|�*8239;?|�*205F;?|�*8287;?|�*3000;?|�*12288;?|�*FEFF;?|�*65279;?|�*20;?|�*32;?|�*9;?|�*9;?|�*D;?|�*13;?| |�*200F;?|�*8207;?|‏/i","",$tem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space:]]/i",$temp)) return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1; <br />} <br /> <br />// 숫자일 경우 1을 리턴 <br />function isnum($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0-9]/i",$str)) return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1; <br />} <br /> <br />// 숫자, 영문자 일경우 1을 리턴 <br />function isalNum($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preg_match("/[^0-9a-zA-Z\_]/i",$str)) return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1; <br />} <br /> <br />// HTML Tag를 제거하는 함수 <br />function del_html($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tr = str_replace("&gt;","&gt;",$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tr = str_replace("&lt;","&lt;",$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str; <br />} <br /> <br />// 지정된 파일의 내용을 읽어옴 <br />function zReadFile($filena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file_exists($filename)) return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 = fopen($filename,"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tr = @fread($f, filesize($file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close($f);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str; <br />} <br /> <br />// 지정된 파일에 주어진 데이타를 씀 <br />function zWriteFile($filename, $st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 = fopen($filename,"w");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lock=flock($f,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lock)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write($f,$str);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lock($f,3);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close($f); <br />} <br /> <br />// 지정된 파일이 Locking중인지 검사 <br />function check_fileislocked($filenam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fopen($filename,"w");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unt = 0;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break =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while(!@flock($f,2))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oun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ount&gt;10)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break = fals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break;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break!=false) @flock($f,3);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close($f); <br />} <br /> <br />if(!function_exists('euckr_safe')) { <br />function euckr_safe($s)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s === null) return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0) 입력 인코딩 정규화 (UTF-8로)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mb_check_encoding($s,'UTF-8'))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nc = mb_detect_encoding($s, array('UTF-8','CP949','EUC-KR','ISO-8859-1'), tr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enc && $enc !== 'UTF-8') $s = mb_convert_encoding($s, 'UTF-8', $enc);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1) 보이지 않는 제로폭/변형선택자 제거 + NBSP→space + 제어문자 제거 + 이모지 제거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x{00A0}/u',' ',$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x00-\x08\x0B\x0C\x0E-\x1F\x7F]/u','',$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x{200B}-\x{200D}\x{FE0E}\x{FE0F}]/u','',$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 = preg_replace('/[\x{1F000}-\x{1FAFF}\x{2600}-\x{26FF}\x{2700}-\x{27BF}]/u','',$s);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2) 1차 대량 변환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bulk = @iconv('UTF-8','EUC-KR//IGNORE',$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bulk !== false && $bulk !== '') return $bulk;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3) 코드포인트 빌더(ANSI 안전)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 = function($hex){ return json_decode('"\\u'.$hex.'"'); };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4) 의미 보존용 폴백 맵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ap = array(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4') =&gt; '--',&nbsp;&nbsp;// ? em das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3') =&gt; '-',&nbsp;&nbsp; // ? en das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26') =&gt; '...', // … ellipsis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C') =&gt; '"',&nbsp;&nbsp;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D') =&gt; '"',&nbsp;&nbsp;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8') =&gt; "'",&nbsp;&nbsp;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19') =&gt; "'",&nbsp;&nbsp;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022') =&gt; '*',&nbsp;&nbsp; // ? bulle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2713') =&gt; 'v',&nbsp;&nbsp; // ? check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00B7') =&gt; '·',&nbsp;&nbsp; // · middle do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5) 문자별 폴백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out =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len = mb_strlen($s,'UTF-8');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for($i=0; $i&lt;$len; $i++)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h = mb_substr($s,$i,1,'UTF-8');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nbsp;&nbsp;= @iconv('UTF-8','EUC-KR//IGNORE',$c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 !== '' && $c !== false) { $out .= $c; continu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isset($map[$ch]))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 = @iconv('UTF-8','EUC-KR//IGNORE',$map[$ch]);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c !== '' && $c !== false) { $out .= $c; continu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마지막으로도 안 되면 드롭(이모지 등)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out; <br />}} <br />?&gt; <br />============================== <br /> <br />&lt;?php <br />include "lib_ajax.php"; <br />header('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br />mb_internal_encoding('UTF-8'); <br />// DB 연결 <br />if(!$connect) $connect=dbConn(); <br /> <br />// 회원 데이타 읽어 오기 <br />$member = member_info(); <br /> <br />function esc($s){ global $connect; return mysql_real_escape_string($s,$connect); } <br /> <br />// 각종 변수 검사;; <br />if($member[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password = $member[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ame=$member[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mail=$member[email];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omepage=$member[homepag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smember=$member[no]; <br />}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get_magic_quotes_gpc())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password = esc($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ame=euckr_safe($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mail=euckr_safe($email);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omepage=euckr_safe($homepag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get_magic_quotes_gpc())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각종 변수의 addslashes 시킴;;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ame= esc($nam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email = esc($email);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homepage = esc($homepag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smember='0'; <br />} <br /> <br />// 패스워드를 암호화 <br />if($passwor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password('$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password=$temp[0]; <br />} <br /> <br />$subject=euckr_safe($subject); <br />$memo=euckr_safe($memo); <br />$sitelink1=euckr_safe($sitelink1); <br />$sitelink2=euckr_safe($sitelink2); <br /> <br />// 자동 저장 잘림 방지 <br />$memo=str_replace(" "," ",$memo); <br /> <br />if(!get_magic_quotes_gpc())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각종 변수의 addslashes 시킴;;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ubject = esc($subjec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emo = esc($mem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itelink1 = esc($sitelink1);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sitelink2 = esc($sitelink2);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o = esc($no);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d = esc($i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use_html = esc($use_html);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ply_mail = esc($reply_mail);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otice = esc($notic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s_secret = esc($is_secre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ategory = esc($category); <br />} <br /> <br />$reg_date=time(); <br /> <br />function board_imsi_info($id,$no,$ismember,$name,$password)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global $board_imsi_tabl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 from `$board_imsi_table` where bname='$id' and bno='$no' and ismember='$ismember' and name='$name' and password='$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turn $temp; <br />} <br /> <br />if(!$category)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ate_temp=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min(no) from `$t_category"."_$id`",$connect));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category=$cate_temp[0]; <br />} <br /> <br />if($mode!="modify")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name&&$password&&(($subject&&!preg_match("#Guest#",$subject))||$mem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count(*) from `$board_imsi_table` where bname='$id' and bno='0' and ismember='$ismember' and name='$name' and password='$password'"));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re[0]&gt;0)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글쓰기 임시포스트 업데이트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board_imsi_table` set name='$name',subject='$subject',email='$email',homepage='$homepage',memo='$memo',sitelink1='$sitelink1',sitelink2='$sitelink2',use_html='$use_html',reply_mail='$reply_mail',notice='$notice',is_secret='$is_secret',category='$category',reg_date='$reg_date' where bname='$id' and bno='0' and ismember='$ismember' and name='$name' and password='$password'") or error(mysql_erro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jsontable=board_imsi_info($id,0,$ismember,$name,$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글쓰기 입력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insert into `$board_imsi_table` (bname,ismember,memo,password,name,homepage,email,subject,use_html,reply_mail,notice,category,is_secret,sitelink1,sitelink2,reg_date) values ('$id','$ismember','$memo','$password','$name','$homepage','$email','$subject','$use_html','$reply_mail','$notice','$category','$is_secret','$sitelink1','$sitelink2','$reg_date')") or error(mysql_erro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jsontable=board_imsi_info($id,0,$ismember,$name,$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수정글일때 <br />**************************************************************************/ <br />} elseif($mode=="modify"&&$no)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re=mysql_fetch_array(mysql_query("select count(*) from `$board_imsi_table` where bname='$id' and bno='$no' and ismember='$ismember' and name='$name' and password='$password'"));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if($re[0]&gt;0)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수정하기 업데이트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update `$board_imsi_table` set name='$name',subject='$subject',email='$email',homepage='$homepage',memo='$memo',sitelink1='$sitelink1',sitelink2='$sitelink2',use_html='$use_html',reply_mail='$reply_mail',notice='$notice',is_secret='$is_secret',category='$category',reg_date='$reg_date' where bname='$id' and bno='$no' and ismember='$ismember' and name='$name' and password='$password'") or error(mysql_erro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jsontable=board_imsi_info($id,$no,$ismember,$name,$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else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수정하기 입력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mysql_query("insert into `$board_imsi_table` (bname,bno,ismember,memo,password,name,homepage,email,subject,use_html,reply_mail,notice,category,is_secret,sitelink1,sitelink2,reg_date) values ('$id','$no','$ismember','$memo','$password','$name','$homepage','$email','$subject','$use_html','$reply_mail','$notice','$category','$is_secret','$sitelink1','$sitelink2','$reg_date')") or error(mysql_error()); <br />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jsontable=board_imsi_info($id,$no,$ismember,$name,$password);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 <br /> <br />} <br /> <br />if(empty($jsontable)) $jsontable=array(); // 변수 Null일 경우 <br /> <br />foreach($jsontable as $key=&gt;$value) <br />&nbsp;&nbsp;&nbsp;&nbsp;&nbsp;&nbsp;&nbsp;&nbsp;$jsontable[$key]=@iconv('EUC-KR','UTF-8//IGNORE',$value); <br /> <br />print json_encode($jsontable); <br />?&gt; <br />============================== <br /> <br />&lt;div class="lQHVJNBL"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margin: 0 0 var(--article-gutter-y-var) 0; color: rgb(33, 37, 41); font-family: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Noto Sans CJK KR", NanumGothic, Roboto, "Segoe UI",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 font-size: 15px;"&gt;&lt;div class="uCfnuOs2"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 1 1 0%; flex-direction: column;"&gt;&lt;h1 class="bAni76Dd z-h0Fi3N" data-v-1709e336=""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size: 2.25rem; line-height: 1; margin: 0px; word-break: break-all; flex: 1 1 0%;"&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TzJZwIj2" data-v-1709e33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네티즌&lt;/a&gt;&lt;/h1&gt;&lt;div class="ADzh76si"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var(--text-secondary-color); font-size: 0.9rem; margin-top: 0.5rem;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최근 수정 시각:&nbsp;&lt;time datetime="2024-02-06T02:29:45.000Z"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gt;2024-02-06 11:29:45&lt;/time&gt;&lt;/div&gt;&lt;/div&gt;&lt;div class="BhS9AY-l" data-v-ae0f1444=""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align-items: flex-start; display: flex;"&gt;&lt;div class="tlE9n7dA" data-v-ae0f1444=""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gt;&lt;a data-v-883c741e="" data-v-22e8ffa1="" data-v-40872426="" data-v-ae0f1444=""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 class="CeY7z8Ih JCEhnLQ- ElogXxVU"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background-color 0.05s ease-in 0s; align-items: center; background-color: var(--button-background-color); border: var(--button-border-width-var) solid var(--button-border-color); border-top-right-radius: 0px; border-bottom-right-radius: 0px;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margin: 0px; padding: var(--button-gutter-y-var) var(--button-gutter-x-var); height: 2.25rem;"&gt;&lt;svg data-v-22e8ffa1="" xmlns="http://www.w3.org/2000/svg" height="16" width="16" viewBox="0 0 512 512" class="T1wK3xrD"&gt;&lt;path d="M441 58.9L453.1 71c9.4 9.4 9.4 24.6 0 33.9L424 134.1 377.9 88 407 58.9c9.4-9.4 24.6-9.4 33.9 0zM209.8 256.2L344 121.9 390.1 168 255.8 302.2c-2.9 2.9-6.5 5-10.4 6.1l-58.5 16.7 16.7-58.5c1.1-3.9 3.2-7.5 6.1-10.4zM373.1 25L175.8 222.2c-8.7 8.7-15 19.4-18.3 31.1l-28.6 100c-2.4 8.4-.1 17.4 6.1 23.6s15.2 8.5 23.6 6.1l100-28.6c11.8-3.4 22.5-9.7 31.1-18.3L487 138.9c28.1-28.1 28.1-73.7 0-101.8L474.9 25C446.8-3.1 401.2-3.1 373.1 25zM88 64C39.4 64 0 103.4 0 152V424c0 48.6 39.4 88 88 88H360c48.6 0 88-39.4 88-88V312c0-13.3-10.7-24-24-24s-24 10.7-24 24V424c0 22.1-17.9 40-40 40H88c-22.1 0-40-17.9-40-40V152c0-22.1 17.9-40 40-40H200c13.3 0 24-10.7 24-24s-10.7-24-24-24H88z"&gt;&lt;/path&gt;&lt;/svg&gt;&lt;span data-v-40872426="" style="box-sizing: border-box;"&gt;편집&lt;/span&gt;&lt;/a&gt;&lt;a href="https://namu.wiki/discuss/%EB%84%A4%ED%8B%B0%EC%A6%8C" class="CeY7z8Ih JCEhnLQ-" data-v-883c741e="" data-v-22e8ffa1="" data-v-ae0f1444=""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background-color 0.05s ease-in 0s; align-items: center; background-color: var(--button-background-color); border-left-width: 0px; border-radius: 0px;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margin: 0px; padding: var(--button-gutter-y-var) var(--button-gutter-x-var); height: 2.25rem;"&gt;&lt;svg xmlns="http://www.w3.org/2000/svg" height="16" width="20" viewBox="0 0 640 512" class="T1wK3xrD" data-v-22e8ffa1=""&gt;&lt;path d="M88.2 309.1c9.8-18.3 6.8-40.8-7.5-55.8C59.4 230.9 48 204 48 176c0-63.5 63.8-128 160-128s160 64.5 160 128s-63.8 128-160 128c-13.1 0-25.8-1.3-37.8-3.6c-10.4-2-21.2-.6-30.7 4.2c-4.1 2.1-8.3 4.1-12.6 6c-16 7.2-32.9 13.5-49.9 18c2.8-4.6 5.4-9.1 7.9-13.6c1.1-1.9 2.2-3.9 3.2-5.9zM0 176c0 41.8 17.2 80.1 45.9 110.3c-.9 1.7-1.9 3.5-2.8 5.1c-10.3 18.4-22.3 36.5-36.6 52.1c-6.6 7-8.3 17.2-4.6 25.9C5.8 378.3 14.4 384 24 384c43 0 86.5-13.3 122.7-29.7c4.8-2.2 9.6-4.5 14.2-6.8c15.1 3 30.9 4.5 47.1 4.5c114.9 0 208-78.8 208-176S322.9 0 208 0S0 78.8 0 176zM432 480c16.2 0 31.9-1.6 47.1-4.5c4.6 2.3 9.4 4.6 14.2 6.8C529.5 498.7 573 512 616 512c9.6 0 18.2-5.7 22-14.5c3.8-8.8 2-19-4.6-25.9c-14.2-15.6-26.2-33.7-36.6-52.1c-.9-1.7-1.9-3.4-2.8-5.1C622.8 384.1 640 345.8 640 304c0-94.4-87.9-171.5-198.2-175.8c4.1 15.2 6.2 31.2 6.2 47.8l0 .6c87.2 6.7 144 67.5 144 127.4c0 28-11.4 54.9-32.7 77.2c-14.3 15-17.3 37.6-7.5 55.8c1.1 2 2.2 4 3.2 5.9c2.5 4.5 5.2 9 7.9 13.6c-17-4.5-33.9-10.7-49.9-18c-4.3-1.9-8.5-3.9-12.6-6c-9.5-4.8-20.3-6.2-30.7-4.2c-12.1 2.4-24.7 3.6-37.8 3.6c-61.7 0-110-26.5-136.8-62.3c-16 5.4-32.8 9.4-50 11.8C279 439.8 350 480 432 480z"&gt;&lt;/path&gt;&lt;/svg&gt;토론&lt;/a&gt;&lt;a href="https://namu.wiki/history/%EB%84%A4%ED%8B%B0%EC%A6%8C" class="CeY7z8Ih JCEhnLQ-" data-v-883c741e="" data-v-22e8ffa1="" data-v-ae0f1444=""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background-color 0.05s ease-in 0s; align-items: center; background-color: var(--button-background-color); border-left-width: 0px; border-top-left-radius: 0px; border-bottom-left-radius: 0px;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margin: 0px; padding: var(--button-gutter-y-var) var(--button-gutter-x-var); height: 2.25rem;"&gt;&lt;svg xmlns="http://www.w3.org/2000/svg" height="1em" viewBox="0 0 448 512" class="T1wK3xrD" data-v-22e8ffa1=""&gt;&lt;path d="M96 0C43 0 0 43 0 96V416c0 53 43 96 96 96H384h32c17.7 0 32-14.3 32-32s-14.3-32-32-32V384c17.7 0 32-14.3 32-32V32c0-17.7-14.3-32-32-32H384 96zm0 384H352v64H96c-17.7 0-32-14.3-32-32s14.3-32 32-32zm32-240c0-8.8 7.2-16 16-16H336c8.8 0 16 7.2 16 16s-7.2 16-16 16H144c-8.8 0-16-7.2-16-16zm16 48H336c8.8 0 16 7.2 16 16s-7.2 16-16 16H144c-8.8 0-16-7.2-16-16s7.2-16 16-16z"&gt;&lt;/path&gt;&lt;/svg&gt;역사&lt;/a&gt;&lt;/div&gt;&lt;div class="_7Wrl+lOm" data-v-07156719="" data-v-ae0f1444="" style="box-sizing: border-box; position: relative; word-break: keep-all;"&gt;&lt;button title="더 보기" class="CeY7z8Ih JCEhnLQ- tJPk8J71" data-v-883c741e="" data-v-ae0f1444="" data-v-07156719="" style="font-family: inherit; font-size: 15px; line-height: 1.15; margin: 0px 0px 0px 0.5rem; appearance: button; align-items: center; border: var(--button-border-width-var) solid var(--button-border-color); border-radius: var(--button-border-radius-var);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padding: var(--button-gutter-y-var) var(--button-gutter-x-var); transition: background-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 position: relative; width: 2.25rem; height: 2.25rem;"&gt;&lt;svg xmlns="http://www.w3.org/2000/svg" height="1em" viewBox="0 0 128 512" data-v-ae0f1444="" data-v-883c741e=""&gt;&lt;path d="M64 360a56 56 0 1 0 0 112 56 56 0 1 0 0-112zm0-160a56 56 0 1 0 0 112 56 56 0 1 0 0-112zM120 96A56 56 0 1 0 8 96a56 56 0 1 0 112 0z"&gt;&lt;/path&gt;&lt;/svg&gt;&lt;/button&gt;&lt;/div&gt;&lt;/div&gt;&lt;/div&gt;&lt;div class="Vf-3K8e4 AaBKKytg _4InW7B9e" data-v-514ce2ac=""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align-items: center;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margin-bottom: var(--article-gutter-y-var); color: rgb(33, 37, 41); font-family: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Noto Sans CJK KR", NanumGothic, Roboto, "Segoe UI",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 font-size: 15px;"&gt;&lt;div id="TGBsawaM7" class="_7TpqxFlh" data-v-514ce2ac="" data-google-query-id="CIXZy_PolYQDFVTDFgUd2DcE3g" style="box-sizing: border-box; min-height: 90px; text-align: center; width: 728px;"&gt;&lt;div id="google_ads_iframe_/21952009853/namuwiki/top_0__container__"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0pt none; display: inline-block; width: 728px; height: 90px;"&gt;&lt;iframe frameborder="0" src="https://2492c5ac14b4a87b2cb80e29d276dd6f.safeframe.googlesyndication.com/safeframe/1-0-40/html/container.html" id="google_ads_iframe_/21952009853/namuwiki/top_0" title="3rd party ad content" name="" scrolling="no" marginwidth="0" marginheight="0" width="728" height="90" data-is-safeframe="true" sandbox="allow-forms allow-popups allow-popups-to-escape-sandbox allow-same-origin allow-scripts allow-top-navigation-by-user-activation" allow="attribution-reporting" aria-label="Advertisement" tabindex="0" data-google-container-id="1" data-load-complete="true"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width: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bottom;"&gt;&lt;/iframe&gt;&lt;/div&gt;&lt;/div&gt;&lt;/div&gt;&lt;div class="I2pM8CPA"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gb(33, 37, 41); font-family: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Noto Sans CJK KR", NanumGothic, Roboto, "Segoe UI",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 font-size: 15px;"&gt;&lt;div data-v-b2101568=""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H9Dm3urE vjAURgMD" data-v-21808e40="" data-v-b2101568=""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04, 204, 204); border-radius: 4px; font-size: 0.9rem; margin: 0px 0px 1em; padding: 0.2rem 0.5rem; position: relative; -webkit-box-orient: vertical; -webkit-line-clamp: 1; display: -webkit-box; overflow: hidden;"&gt;&lt;span class="MmcbaNcK" data-v-21808e40=""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0.1rem 0px 0px;"&gt;분류&lt;/span&gt;&nbsp;&lt;ul class="_1QqV--C2" data-v-21808e40=""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display: inline;"&gt;&lt;li class="-b3JZItp" data-v-21808e40=""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gt;&lt;a href="https://namu.wiki/w/%EB%B6%84%EB%A5%98:%EC%9D%B8%ED%84%B0%EB%84%B7%20%EC%9A%A9%EC%96%B4" data-v-21808e40=""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인터넷 용어&lt;/a&gt;&lt;/li&gt;&lt;/ul&gt;&lt;/div&gt;&lt;div data-v-b2101568=""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data-v-464e8322="" data-v-b2101568="" class=""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qjb3qG3q"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 overflow: hidden;"&gt;&lt;div data-v-7b85ba46="" class="r7tJe+yJ"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div class="_7tPlXDsx"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 1px solid rgb(204, 204, 204); display: inline-block; margin-left: 5px; padding: 12px 20px 18px 0px;"&gt;&lt;div class="rkScp4e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left: 20px; margin-top: 12px;"&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lt;/a&gt;. 뜻과 어원&lt;/span&gt;&lt;div class="rkScp4e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left: 20px;"&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1&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9%B8%EA%B5%AD" title="외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해외&lt;/a&gt;에서의 의미&lt;/span&gt;&lt;/div&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2&lt;/a&gt;. 순화어 '누리꾼'&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lt;/a&gt;. 특성&lt;/span&gt;&lt;div class="rkScp4e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left: 20px;"&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lt;/a&gt;. 분명한 정체성&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2&lt;/a&gt;. 호전성&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3&lt;/a&gt;.&nbsp;&lt;a class="F3tpSOu3 hyBZl7GY" href="https://namu.wiki/w/%EB%9A%9D%EB%B0%B0%EA%B8%B0%EA%B7%BC%EC%84%B1" title="뚝배기근성"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ed;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뚝배기근성&lt;/a&gt;&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4&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3%84%EB%B9%84%EA%B7%BC%EC%84%B1" title="냄비근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냄비근성&lt;/a&gt;&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5&lt;/a&gt;. 집단지성&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6&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B0%EC%A4%91%EC%8B%AC%EB%A6%AC" title="군중심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군중심리&lt;/a&gt;&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7&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동조와 복종&lt;/a&gt;&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8&lt;/a&gt;. 일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5%ED%94%8C%EB%9F%AC" title="악플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악플러&lt;/a&gt;의 선동&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9&lt;/a&gt;. 공사구분 없는 악의적 뒷담&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0&lt;/a&gt;. 가난에 대한 비틀린 인식&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1&lt;/a&gt;. 서민 및 중산층 이하의 동족혐오 만연&lt;/span&gt;&lt;div class="rkScp4e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left: 20px;"&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1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1.1&lt;/a&gt;. 원인&lt;/span&gt;&lt;/div&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3.1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2&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C%A0%ED%96%89%EC%96%B4" title="유행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유행어&lt;/a&gt;&lt;/span&gt;&lt;/div&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4&lt;/a&gt;. 각 국가의 네티즌 인구&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5&lt;/a&gt;. 문제점&lt;/span&gt;&lt;span class="_9cJl1TE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s-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6&lt;/a&gt;. 관련 문서&lt;/span&gt;&lt;/div&gt;&lt;/div&gt;&lt;/div&gt;&lt;h2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1"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lt;/a&gt;&nbsp;&lt;span id="뜻과 어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뜻과 어원&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Netizen&lt;/span&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network(네트워크) + citizen(시민)의 합성어. 한마디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8%ED%84%B0%EB%84%B7" title="인터넷"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인터넷&lt;/a&gt;을 이용하는 유저를&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인터넷 시민&lt;/span&gt;이라는 뜻으로 칭하는 신조어이다. PC 통신 시절에 나온 말이지만 인터넷 시대가 된 지금도 그대로 의미하고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미국에서 1993년경에 생겨난 말로 보이나, 영어권에서는 사용빈도가 아주 낮은 단어인 반면에, 한국에서는 거의 일반명사급으로 매우 흔하게 쓰는 말로 정착되었다. 영문 인터넷 은어 사전인 Urban Dictionary에서는 아예 "한국인들만 쓰는 단어"라고 표현할 정도이다. 네티즌이란 말은 지금은 '인터넷에서 활동하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5%9C%EA%B5%AD%EC%9D%B8" title="한국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한국 사람&lt;/a&gt;'이라는 한정된 의미의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lt;/a&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여러 영어사전에서 Cybercitizen을 유사 단어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 단어 역시 영어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단어이다. 보통 영어권에서는 네티즌을 그냥&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인터넷 사용자(Internet user)&lt;/span&gt;라고 부르며 모든 네티즌들을 일컬어 인터넷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Come on, 'internet'! We can do it(힘내요, 네티즌 분들! 우린 할 수 있어요)."라든지.&nbsp;&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2]&lt;/a&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한국에서는 1994년 무렵부터 PC통신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스스로를 지칭하는 칭호로 사용되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신문기사에서 최초로 사용된 것 또한 1994년이다.(&lt;a class="eLaQGXlY" h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93000239131007&amp;editNo=1&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09-30&amp;officeId=00023&amp;pageNo=31&amp;printNo=22816&amp;publishType=00010"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093000239131007&amp;editNo=1&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09-30&amp;officeId=00023&amp;pageNo=31&amp;printNo=22816&amp;publishType=000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기사1&lt;/a&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122000209133001&amp;editNo=45&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12-20&amp;officeId=00020&amp;pageNo=33&amp;printNo=22717&amp;publishType=00010"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122000209133001&amp;editNo=45&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12-20&amp;officeId=00020&amp;pageNo=33&amp;printNo=22717&amp;publishType=000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기사2&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015B" title="015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015B&lt;/a&gt;의 노래 중&nbsp;&lt;a class="eLaQGXlY" href="https://youtu.be/gcD6UEOeIYk"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youtu.be/gcD6UEOeIYk"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동명의 노래&lt;/a&gt;가 있으며 이 노래가 발표된 것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1994%EB%85%84" title="1994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1994년&lt;/a&gt;&nbsp;12월이다.&lt;a class="eLaQGXlY" h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121500239116001&amp;editNo=1&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12-15&amp;officeId=00023&amp;pageNo=16&amp;printNo=22887&amp;publishType=00010"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4121500239116001&amp;editNo=1&amp;printCount=1&amp;publishDate=1994-12-15&amp;officeId=00023&amp;pageNo=16&amp;printNo=22887&amp;publishType=000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기사&lt;/a&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1.1"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1.&lt;/a&gt;&nbsp;&lt;span id="해외에서의 의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9%B8%EA%B5%AD" title="외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해외&lt;/a&gt;에서의 의미&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2"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이렇다 보니 오히려 '네티즌'이라는 단어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9%B8%EA%B5%AD" title="외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해외&lt;/a&gt;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K-POP" title="K-POP"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K-POP&lt;/a&gt;&nbsp;관련 영문 기사들을 통해 알려지면서 영미권에 역수출 되고있는 상황 때문에 해외의 K-POP 팬들 사이에서는 은근히 꽤 알려져 있는 단어이며 한국의 K-POP 팬들이나 팬덤을 뜻하는 의미로도 쓰이고 있다. 다만 '네티즌'이 알려진 계기가 주로 아래도 서술되어 있듯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NCSI" title="NCS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NCSI&lt;/a&gt;의 연예인 개인 정보 유포나 네티즌들 특유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B0%EC%A4%91%EC%8B%AC%EB%A6%AC" title="군중심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군중심리&lt;/a&gt;로 연예인들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7%88%EB%85%80%EC%82%AC%EB%83%A5" title="마녀사냥"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마녀사냥&lt;/a&gt;하는 소식을 다룬 기사들이다 보니 부수적인 의미로는 "잘 알아보지도 않고 특정 연예인을 흠잡아 마녀사냥하거나 그 흠을 잡기 위해 연예인의 개인 정보를 파내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B%8C%EB%A6%AC%EA%B1%B4" title="훌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과격한 한국인 팬들 혹은 팬덤&lt;/a&gt;"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를 담게 되었다.&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8%A4%ED%83%80%EC%BF%A0" title="오타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오타쿠&lt;/a&gt;라는 단어가 시간이 흐르며 부정적인 느낌을 띄게 된 사례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뒤집어보면 '네티즌이란 단어를 쓰는 사람은 한국인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 되어 일본에서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8%90%ED%95%9C%EC%B4%88%EB%94%A9" title="혐한초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혐한초딩&lt;/a&gt;들이 'ネチズン'이라 할 때는 거의 한국 네티즌을 가리키는 고유명사나 다름없이 쓰이고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네티즌'이라는 단어와 매우 유사한 단어들을 쓰는 나라가 있는데 바로 중국이다. 중국에서는 네티즌과 비슷한 '왕민'(网民:넷시민)이라는 단어가 있으며 '왕유'(网友: 넷친구)라는 단어도 쓴다. 그래서인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9%98%EA%B5%AC%EC%8B%9C%EB%B3%B4" title="환구시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환구시보&lt;/a&gt;&nbsp;영어판의 경우 'netizen'이라는 용어를 실제 쓰기도 한다.&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3]&lt;/a&gt;&lt;/div&gt;&lt;/div&gt;&lt;h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2"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2.&lt;/a&gt;&nbsp;&lt;span id="순화어 '누리꾼'"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순화어 '누리꾼'&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3"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누리(세계) + ~꾼&lt;/span&gt;. 2004년 참여정부 초기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AD%EB%A6%BD%EA%B5%AD%EC%96%B4%EC%9B%90" title="국립국어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국립국어원&lt;/a&gt;이 '네티즌'이란 말을 우리말로 순화하겠다며 몇 개로 선정한 단어 중에서 1주일 동안 투표를 통해 탄생한 말이다.&lt;a class="eLaQGXlY" href="https://www.mk.co.kr/news/home/view/2004/09/319163/"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www.mk.co.kr/news/home/view/2004/09/31916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기사&lt;/a&gt;&nbsp;'인터넷'의 순화 표현으로 제안된 '누리그물'에서 따온 '누리'에 '어떤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또는 '어떤 일을 잘하는 사람'의 뜻을 가진 접미사 '~꾼'을 붙인 것.&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네티즌'이란 용어가 중간에 방송을 통해 국립국어원의 '누리꾼'이란 말로 변용, 사용되는 과정에서 일부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꾼'이란 어미가 붙은 단어의 상징성으로 인해 '네티즌'이란 용어의 어감 폄하가 발생했고 그 과정에서 네티즌들간의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며 그 논란의 근원은 과연 사이버 상의 '민주시민'이라 볼 수 있는 cybercitizen 을 '꾼'이란 어미로 얕잡아 불러도 되는지에 대한 상징성 문제였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즉, 이 단어는 2004년경에 공식 채택되어 쓰이기 시작했으나, 약 10년이 지난 현재도 방송과 언론, 교과서를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다.(유독 한겨레 신문은 누리집, 누리꾼을 열심히 사용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반대로 방송과 언론에서는 인터넷 사용자, 네티즌이란 단어를&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절대&lt;/span&gt;&nbsp;쓰지 않고 무조건 누리꾼이라고 하는데 뉴스를 보면 '~이에 누리꾼들은 이렇게 반응했다'는 식. 일반 대중 사이에선 '언어순화라는 의도'나 네트워크/인터넷의 번역어로 '누리'가 타당한지에 대한 의구심,&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꾼&lt;/span&gt;이라는 접미사가 직업적, 상습적이라는 의미를 줘서 네티즌의 본래 의미를 변질시켰다는 등의 이유로 반감을 갖는 경우가 많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꾼이 부정적 어감을 주는 어미라서 좋지 않고, 심지어 이것이 네티즌에 대해 부정적 이미지를 덧씌우기 위한 모종의 음모라는 주장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꾼이 해당 행위를 직업적, 습관적, 상습적으로 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예컨대 사기꾼, 정치꾼, 장사꾼, 난봉꾼, 거간꾼 등과 같이) 인터넷 시대의 국민을 함부로 ~꾼이란 말로 언론에 의해 어감 폄하를 유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예컨대 나무꾼, 파수꾼, 일꾼 등) ~꾼이 붙은 말이 긍정적인 어감을 발생하는 것은 그 앞에 붙은 어간 자체가 부정적으로 사용될 여지를 주지 않기 때문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언론매체에서 지속적으로 꾸준히 사용되면서 어느 정도 쓰임새를 확보했다. 같이 등장했다가 거의 버림받은 누리집&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4]&lt;/a&gt;이나 그 외에 누리가 들어가는 누리소통망&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5]&lt;/a&gt;, 누리사랑방&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6]&lt;/a&gt;&nbsp;등에 비해서는 사용빈도가 제법 있는 편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리플'에 대응하는 '&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93%EA%B8%80" title="댓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댓글&lt;/a&gt;'과 함께 그나마 성공적인 언어순화로 손꼽힌다. 다만 댓글은 대중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말이지만 '누리꾼'은 언론매체, 예능 프로그램,&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7]&lt;/a&gt;&nbsp;공공기관 등에서 언어순화의 차원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결국엔 누리꾼이라 지칭 되는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을 누리꾼이라 직접 칭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lt;/div&gt;&lt;/div&gt;&lt;h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lt;/a&gt;&nbsp;&lt;span id="특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특성&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4"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1"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lt;/a&gt;&nbsp;&lt;span id="분명한 정체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분명한 정체성&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5"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네티즌의 신분은 자칫 비전문가와 전문가 사이에 위치하여 전문가로 도달할 수 없다라고 평가할지도 모르지만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네티즌은 대통령 부터 개발자, 유튜버, 전문가, 아마츄어, 비전문가, 일반 국민 등 누구나 인터넷에서 활동하는 사람이라면 해당되기 때문에 우리가 네티즌의 정체성을 확실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는 네티즌 다수가 공감하는 것이다. 익명성을 얻은 대신 전문성을 증명할 방법을 찾지 못하기 때문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2%A4%EB%B3%B4%EB%93%9C%20%EB%B0%B0%ED%8B%80" title="키보드 배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키보드 배틀&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B8%EC%A7%91%20%EB%B6%84%EC%9F%81" title="편집 분쟁"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편집 분쟁&lt;/a&gt;을 자주 일으킨다. 참과 거짓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마저 익명성으로 숨기기 마련이라 공감을 받을 순 있어도 존경을 잘 받지 못한다. 다만 익명성은 우리 사회, 우리 스스로가 조장한 측면이 많다. 헌법 재판소 부터가 인터넷에서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1%9C%ED%98%84%EC%9D%98%20%EC%9E%90%EC%9C%A0" title="표현의 자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표현의 자유&lt;/a&gt;에 있어 익명성을 보장하는 판례를 내린 바 있다. 전문가들이 익명으로 활동하는 사례가 많아서 무의식적으로 '전문가도 아닌 것이 어딜 감히?'라고 상대의 충고를 거부하는 경우도 잦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하지만 시간이 많이 남는 네티즌들 중엔 분명히 실명을 걸고 정말 수십년 동안 방대한 담론과 정론직필을 구축한 입지전적인 케이스도 찾아보면 있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각종 잘못된 시스템과 제도, 발상들을 고쳐나가려는 방향과 시도는 매우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인터넷에서 네티즌이 사용하는 영역은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이 뒤섞인 채 잘 구분되지 않지만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과 가공되지 않은 진실한 정보들을 제공해 준다.&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2"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2.&lt;/a&gt;&nbsp;&lt;span id="호전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호전성&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6"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인지 상당히 호전적인 사람이 많으며, 상대를 비방하는 일을 아르바이트로 하기도 한다&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9%B4%EB%8D%94%EB%9D%BC" title="카더라"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카더라&lt;/a&gt;. 또한 익명성 때문인지 비현실적인 반말&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8]&lt;/a&gt;이 일상화되어 훈육에 좋지 않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C%A4%91%EB%AC%B8%ED%99%94" title="대중문화"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중문화&lt;/a&gt;&nbsp;컨텐츠가 양산되고 도를 넘은 특정인에 대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8%EC%8B%A0%EA%B3%B5%EA%B2%A9" title="인신공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인신공격&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9%84%EB%B0%A9" title="비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비방&lt;/a&gt;을 서슴치 않고 하여 법적으로 구속된 사례도 많다. 대표적으로 최진실 사건으로 인하여 최진실법을 제정해 모욕죄에 관한 대폭적인 처벌 향상이 계획되었으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1%9C%ED%98%84%EC%9D%98%20%EC%9E%90%EC%9C%A0" title="표현의 자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표현의 자유&lt;/a&gt;를 침해한다는 결정적인 한계가 있어, 대폭적인 향상까지는 미치지 못했다. 이후에도 여야 상관없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AD%EC%A0%95%EC%9B%90%20%EB%B6%88%EB%B2%95%20%EC%82%AC%EC%B0%B0%20%EC%82%AC%EA%B1%B4" title="국정원 불법 사찰 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국정원 불법 사찰 사건&lt;/a&gt;&nbsp;등의 개인정보를 침해하는 사고를 저지른 적이 있으므로 역풍을 맞을 것을 감수하고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할 정치 세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lt;/div&gt;&lt;ul class="rPW37j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0.4em 1.5em; padding-left: 0.5rem;"&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e.g.&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2%A4%EB%B3%B4%EB%93%9C%EC%9B%8C%EB%A6%AC%EC%96%B4" title="키보드워리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키보드워리어&lt;/a&gt;&lt;/div&gt;&lt;/li&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e.g.&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5%9C%EC%A7%84%EC%8B%A4" title="최진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최진실&lt;/a&gt;&nbsp;항목 참고&lt;/div&gt;&lt;/li&gt;&lt;/ul&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이러한 호전성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3%B5%EB%A3%A1%ED%99%94" title="공룡화"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공룡화&lt;/a&gt;라고 비판 받는 공론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3%A0%EB%A1%9C%EC%8B%9C" title="고로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고로시&lt;/a&gt;, 위키에서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B8%EC%A7%91%20%EB%B6%84%EC%9F%81" title="편집 분쟁"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편집 분쟁&lt;/a&gt;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로 나타났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3"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3.&lt;/a&gt;&nbsp;&lt;span id="뚝배기근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yBZl7GY" href="https://namu.wiki/w/%EB%9A%9D%EB%B0%B0%EA%B8%B0%EA%B7%BC%EC%84%B1" title="뚝배기근성"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ed;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뚝배기근성&lt;/a&gt;&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7"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7b85ba46="" class="lJ5usNcG" data-v-464e8322=""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혹자는 네티즌의 여론이&nbsp;&lt;a class="F3tpSOu3 hyBZl7GY" href="https://namu.wiki/w/%EB%9A%9D%EB%B0%B0%EA%B8%B0%EA%B7%BC%EC%84%B1" title="뚝배기근성"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red;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뚝배기근성&lt;/a&gt;이 있다고 말한다. 어떤 네티즌은 특정 주제에 관하여 이슈가 터질 때마다 집요하게 독자들에게 해당 주제에 관한 핵심 내용들을 다시금&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상기&lt;/span&gt;시켜 주기 때문에 그 지속 시간이 상당히 길다.&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4"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4.&lt;/a&gt;&nbsp;&lt;span id="냄비근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3%84%EB%B9%84%EA%B7%BC%EC%84%B1" title="냄비근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냄비근성&lt;/a&gt;&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8"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온라인의 특성상 여론 형성은 빠르지만 시간이&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조금&lt;/span&gt;&nbsp;지나고 관련 사건이 잠잠해지면 그 여론이 빨리 식어버리기 때문에 이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3%84%EB%B9%84" title="냄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냄비&lt;/a&gt;에 비유한다. 또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85%EC%84%A4%EA%B0%80" title="독설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여론이 빨리 식지 않는 사람은 여러 의미로 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lt;/a&gt;&nbsp;냄비근성이 주류가 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5"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5.&lt;/a&gt;&nbsp;&lt;span id="집단지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집단지성&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9"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인터넷의 특성상 정말로 많은 사람들이 한 곳에 모일 수 있어서, 물량 진리를 보여준다. 브레인스토밍은 기본이요, 많은 인력을 동원한 조사도 가능한데다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A%A5%EB%A0%A5%EC%9E%90" title="능력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능력자&lt;/a&gt;가 존재할 확률도 증가한다! 물론 이들의 조사능력이 아주 정확하다고는 볼 수 없다.&lt;/div&gt;&lt;ul class="rPW37j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0.4em 1.5em; padding-left: 0.5rem;"&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e.g.&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NCSI" title="NCS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NCSI&lt;/a&gt;&lt;/div&gt;&lt;/li&gt;&lt;/ul&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6"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6.&lt;/a&gt;&nbsp;&lt;span id="군중심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B0%EC%A4%91%EC%8B%AC%EB%A6%AC" title="군중심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군중심리&lt;/a&gt;&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0"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위에 언급된 익명성과 냄비근성이 합쳐져 어떤 사건이 터지면 해당 용의자를 우루루 까다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7%88%EB%85%80%EC%82%AC%EB%83%A5" title="마녀사냥"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마녀사냥&lt;/a&gt;으로 드러나거나 상황이 반전되면 아무런 자성없이 언제 그랬냐는듯&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2%84%EB%A1%9C%EC%9A%B0" title="버로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버로우&lt;/a&gt;타거나 반대로 동조하는 식의&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사실이든 아니든 일단 신나게 까고 보자 아니면 말고&lt;/span&gt;&nbsp;식의 무책임한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특히 평소에는 인터넷&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8%B0%EC%9E%90" title="기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기자&lt;/a&gt;들을 기레기라고 부르며 매우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자기가 믿고싶은 기사에는 그대로 기사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여 낚이고, 또 아니라고 밝혀지면 모든 발단을 기자탓으로 돌리며 발빼는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자기들에게 유리한 내용이면 상대방을 까다가 자기들에게 불리해지면 사과하기보다 다른 주제로 쉬쉬하기도 한다.&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7"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7.&lt;/a&gt;&nbsp;&lt;span id="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동조와 복종&lt;/a&gt;&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1"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리다이렉트된 동조와 복종 항목에서 정리되었듯 동조는 집단의 압력이 실제로 혹은 상상의 차원에서 발생함으로 인해 자의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또는 태도의 변화며, 비슷한 예시로 응종&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9]&lt;/a&gt;과 복종과 수용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응종은 공적인 신호로 암시된 요청에 동의하지 않지만 어쩔 수 없이 일치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 복종은 응종 중 직접적 지시에 의한 것, 수용은 사회적 압력이나 직접적 명령이 존재할 때 그것이 개인이 보기에도 옳다고 생각되어서 태도와 행동을 기꺼이 일치시키는 것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심리학계에선 1955년부터 동조와 복종을 연구하면서 일반적으로 다수에 의해 동조하게 되는 원인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2%BD%ED%97%98%EC%A3%BC%EC%9D%98" title="경험주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경험적으로&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B%A4%EC%88%98%EA%B2%B0" title="다수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다수가 옳았기 때문이며&lt;/a&gt;&nbsp;집단으로부터 배척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심리학자 애쉬(S. Asc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lt;/div&gt;&lt;blockquote class="a+CQsP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 rgb(238, 238, 238); border-width: 2px 2px 2px 5px; border-style: dashed dashed dashed solid; border-color: rgb(204, 204, 204) rgb(204, 204, 204) rgb(204, 204, 204) rgb(113, 188, 109); border-image: initial; display: table; margin: 1em 0px; padding: 1em;"&gt;&lt;div class="_8TzkSRT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left: 0p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D%95%99%EC%83%9D" title="대학생"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충분한 지적 능력과 판단 능력을 갖춘 젊은이&lt;/a&gt;들조차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7%80%EB%A1%9D%EC%9C%84%EB%A7%88" title="지록위마"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기꺼이 흰 것을 검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lt;/a&gt;이 드러났다. 이는 우리의 교육 방식과 우리의 행위를 이끄는 가치관에 대해 의심을 갖게 할 수밖에 없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 That we have found the tendency to conformity in our society so strong that reasonably intelligent and well-meaning young people are willing to call white black is a matter of concern. It rises questions about our ways of education and about the values that guide our conduc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 Solomon E.Asch,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1955).&lt;/div&gt;&lt;/div&gt;&lt;/blockquote&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이후 애쉬의 실험에서 대두된 문제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0%80%EA%B7%B8%EB%9E%A8%EC%9D%98%20%EB%B3%B5%EC%A2%85%20%EC%8B%A4%ED%97%98" title="밀그램의 복종 실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밀그램의 복종 실험&lt;/a&gt;에서 대두되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심지어 간호사가 의사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4%91%EC%9D%B4%EC%97%BC" title="중이염"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중이염&lt;/a&gt;&nbsp;처방 중 오른쪽 귀를 항문으로 잘못 들었는데도 확인하지 않고 약물을 투약한 사례도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blockquote class="a+CQsP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 rgb(238, 238, 238); border-width: 2px 2px 2px 5px; border-style: dashed dashed dashed solid; border-color: rgb(204, 204, 204) rgb(204, 204, 204) rgb(204, 204, 204) rgb(113, 188, 109); border-image: initial; display: table; margin: 1em 0px; padding: 1em;"&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이비인후과의 한 의사가 오른쪽 귀에 중이염이 있는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처방을 내리도록 간호사에게 지시하였다. 의사의 처방전에는 "오른쪽 귀에 투약할 것"이라는 의미로, "R ear 투약" 이라고만 적혀 있었다. 그러나 이 처방전을 읽은 간호사는 "항문(Rear)에 투약" 이라고 잘못 이해하고는, 아무런 이상하다는 생각 없이 환자의 항문에 약물을 투여했다.&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0]&lt;/a&gt;&lt;/div&gt;&lt;/blockquote&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width: 5px 1px 1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gray; border-image: initial; padding: 7p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1%AC%EB%A6%AC%EC%97%90%EC%9D%B4%ED%8B%B0%EB%B8%8C%20%EC%BB%A4%EB%A8%BC%EC%A6%88%20%EB%9D%BC%EC%9D%B4%EC%84%A0%EC%8A%A4" title="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lt;span class="GRSkuDjg"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0px; max-width: 100%; vertical-align: middle; width: 22px;"&gt;&lt;span class="JhQA44l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overflow: hidden; position: relative; width: 22px;"&gt;&lt;img class="eR7fb74U" width="100%" src="data:image/svg+xml;base64,PHN2ZyB3aWR0aD0iNjYiIGhlaWdodD0iNjYiIHhtbG5zPSJodHRwOi8vd3d3LnczLm9yZy8yMDAwL3N2ZyI+PC9zdm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img class="p1c+P2J3" width="100%" src="https://i.namu.wiki/i/B_A1gqhbaJBFYrzSa7phAjq7zZpuCBx2earR1NMDES4Pbif0y8TeHMhCI3RxA3S6Q4hCYdUPcrN9Yj7pCZdGpw.svg" data-filesize="1310" data-src="//i.namu.wiki/i/B_A1gqhbaJBFYrzSa7phAjq7zZpuCBx2earR1NMDES4Pbif0y8TeHMhCI3RxA3S6Q4hCYdUPcrN9Yj7pCZdGpw.svg" alt="CC-white" data-v-7b85ba46="" loading="laz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inset: 0px; position: absolute;"&gt;&lt;/span&gt;&lt;/span&gt;&lt;/a&gt;&nbsp;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align: center;"&gt;&lt;dl class="AovyZwdp"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gt;&lt;dt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weight: 700; user-select: none;"&gt;[ 펼치기 · 접기 ]&lt;/dt&gt;&lt;dd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max-height: 0px; max-width: 0px; overflow: hidden;"&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lt;/a&gt;&lt;/div&gt;&lt;/div&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rev=66&amp;noredirect=1"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w/동조와 복종?rev=66&amp;noredirect=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rev=66&amp;noredirect=1#s-1"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w/동조와 복종?rev=66&amp;noredirect=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div&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history/%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from=66"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history/동조와 복종?from=6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lt;/a&gt;&lt;/div&gt;&lt;/div&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rev=66&amp;noredirect=1"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w/동조와 복종?rev=66&amp;noredirect=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rev=66&amp;noredirect=1#s-2.2"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w/동조와 복종?rev=66&amp;noredirect=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div&gt;&lt;a class="eLaQGXlY" href="https://namu.wiki/history/%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from=66"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namu.wiki/history/동조와 복종?from=6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lt;/a&gt;&lt;/div&gt;&lt;/dd&gt;&lt;/dl&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인터넷 커뮤니티는 단위별로 특정 집단이 따르는 특정 이념이 동조와 복종의 원리로 돌아간다. 우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SNS" title="SNS"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SNS&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8%94%EB%A1%9C%EA%B7%B8" title="블로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블로그&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9%B4%ED%8E%98" title="카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카페&lt;/a&gt;의 나뉘어진 인터넷 공간 단위에서 일치하는 의견만을 선별하여 반대 의견이 있으면 추방시키는데 특정 의견들만을 따르지 않으면 숙청한다고 외부인이 알아들을 수 없는 반사회적 신호와 규칙을 만들어 압박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또한 특정&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4%EB%8D%B0%EC%98%AC%EB%A1%9C%EA%B8%B0" title="이데올로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이데올로기&lt;/a&gt;&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1]&lt;/a&gt;를 따르는 사상적 또는 종교적 또는 경제적&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2]&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4%91%EC%8B%A0%EB%8F%84" title="광신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광신도&lt;/a&gt;&nbsp;또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5%EC%B9%98%EB%B3%91" title="정치병"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정치병&lt;/a&gt;자 집단의 모임, 특정 음모론자&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3]&lt;/a&gt;들의 모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7%AD%EC%82%AC%EC%99%9C%EA%B3%A1" title="역사왜곡"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역사왜곡&lt;/a&gt;&nbsp;진영&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4]&lt;/a&gt;, 독재군벌&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5]&lt;/a&gt;&nbsp;미화 및 정당화 진영도 동일한 논리로 움직이지만 사상 단위로 나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그 결과 각 공간이 특정 모임들에 의해 다양하게 분열되고, 모임들도 사상 단위로 나뉘어 소모임들로 분열된다. 사회적 합의는 뒷전이 되고 온라인&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7%80%EC%97%AD%20%EC%9D%B4%EA%B8%B0%EC%A3%BC%EC%9D%98" title="지역 이기주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지역 이기주의&lt;/a&gt;를 부추긴다. 거기다 인터넷은 현실에서 고소만 당하지 않는 선에서 현실과 동떨어진 규칙과 정치적 기준을 세워&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9%9C%EB%AA%A9%EC%A7%88" title="친목질"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친목질&lt;/a&gt;&nbsp;파벌을 구축하기만 하면 동조와 복종의 욕구를 충족시켜 인간성을 버리기 쉽기 때문에 갑질의 가학심리에 도취되어 현실감각을 상실한다. 그렇게 되면 그들은 안에서 정의롭다고 후빨을 하면서 밖에서 자세히 객관적으로 보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5%EC%B9%98%EB%B3%91" title="정치병"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정치병&lt;/a&gt;&nbsp;걸린 괴물이라고 불리는 존재들이 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안타깝게도 심리학계에서 인간은 권력만 갖춰지면 무감각해지고 누구도 예외가 없다고 말했는데도 네티즌들은 자신을 정의롭기만 한 존재로 포장한다. 심지어 그들 중 극단적인 존재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6%90%EB%86%88" title="손놈"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손놈&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5%ED%94%8C%EB%9F%AC" title="악플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악플러&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B%9C%EB%AF%BC%EB%8B%A8%EC%B2%B4" title="시민단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시민단체&lt;/a&gt;에 불순하게 들어가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4%B8%EA%B8%88%20%EB%8F%84%EB%91%91" title="세금 도둑"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세금 도둑&lt;/a&gt;이 된다. 50년 이상이나 지났는데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동조와 복종&lt;/a&gt;에 대해 깊게 고찰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SNS, 네티즌, 언론, 인터넷 기사는 한 명도 없다. 인용하는 순간 구축해놓은 기형적인 질서가 무너져 인터넷에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0%80%EC%8A%A4%EB%9D%BC%EC%9D%B4%ED%8C%85" title="가스라이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가스라이팅&lt;/a&gt;하여 스트레스를 전가하여&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2%AC%EC%83%9D%ED%8C%AC" title="사생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사생팬&lt;/a&gt;이나 다름없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3%B5%EC%9D%98%EC%A1%B4" title="공의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공의존&lt;/a&gt;&nbsp;관계로 애정결핍을 공허하게 채울 대상을 잃어버리기 때문이다. 심지어 고찰하는 사람이 한두 명 나온다고 해도 그렇게 자칭하는 사람조차 눈을 감고 뜨고 정신을 차리면 갑자기 복종을 요구하는 괴물이 되어 있다. 자기 자신조차 동조와 복종에서 자유롭지 않은데 남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3%84%EB%AA%BD%EC%A3%BC%EC%9D%98" title="계몽주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계몽주의&lt;/a&gt;로 계몽하겠다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2%86%EB%AC%B8%EA%B0%80" title="좆문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좆문가&lt;/a&gt;처럼 떠들 뿐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그럼에도 구태여 자기 주장이 정당하다고 여기며 인터넷의 인간관계와 같은 사상을 가지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7%AD%EC%82%AC%20%EC%99%9C%EA%B3%A1" title="역사 왜곡"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역사 왜곡&lt;/a&gt;과 현실 왜곡을 일삼는 비틀린 공의존 관계에 집착하겠다고 결심한다면 동조와 복종에 자신이 괴물이 되어버린 것조차 눈치채지 못한 걸 책임지기 싫다는 말과 다를 바 없다.&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8"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8.&lt;/a&gt;&nbsp;&lt;span id="일부 악플러의 선동"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일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5%ED%94%8C%EB%9F%AC" title="악플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악플러&lt;/a&gt;의 선동&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2"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9"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9.&lt;/a&gt;&nbsp;&lt;span id="공사구분 없는 악의적 뒷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공사구분 없는 악의적 뒷담&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3"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악의적인 뒷담이 매우 심한 네티즌이 많아 인터넷에서 활개치기 좋은 상황이다.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깔 수 없으면 간접적으로 까서 지쳐서 자기가 속한 집단에서 나가도록 유도한다. 상대방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주어는 없다 방식으로 두루뭉실하게 깐 다음, 상대방이 자신과 대화를 하고 싶으면 꼬투리를 잡아서 이상한 인간으로 선동하여 비난의 대상이 되게 한다. 직접 당하기 전에는 모르는 방식으로 교묘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네티즌의 실체를 뒤늦게 안 일부 상식적인 네티즌은 인터넷에 가망이 없다는 것을 느끼고 떠나게 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더욱 가관인 것은 업계인인 네티즌조차 공사구분이 매우 결여되었다. 일하거나 사회적으로 불리할 때는 취좆이나 사회적 불만을 얘기하지 않더니, 온라인에 있거나 사회적으로 유리한 건수를 잡으면 사회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부정적인 감정을 뒷담으로 배설해 상대방을 감정 쓰레기통으로 써놓고 잘못했다고 되뇌이다가 또 쓰레기통으로 써놓고 말로만 잘못했다고 되뇌이는 것이 네티즌의 현실이다. 그래놓고 자기 반성 없이 업계에서 나는 돈을 쓴 소비자니 대접 받을 권리가 있다고 말하거나, 생산자로서 마음에 안 드는 정치적 성향의 특정 소비자들을 차별하고 제거해야 한다고 망언을 내뱉는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업계인이 아니더라도 공사구분이 결여된 것은 마찬가지라 걱정해주는 사람조차 사회적으로 해를 가하지 않았는데도 자기 주관적 기준으로 사실전후관계를 알아보지도 않고 자신이 보고 들은 것만 진실이라 믿고 조리돌림을 가하면서 후빨하고 추방시켜놓고 속사정이 있는지 없는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추방자가 악플러기만 했다면 문제가 없었겠지만 악플러가 아닌 사람까지 친목질적 관점으로 추방시켜놓고 자신들이 무비판적인 친목질을 했다는 자각조차 없는 상황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그 결과 네티즌들 중 내심 자기 주관적인 입맛에 사람을 고른 것을 넘어 교묘히 차별했다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무의식적인 자각을 내면에 품은 경우가 많아, 비판해야 할 상대를 비판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명분으로 상대를 진심으로 대하는 것이 아니라 반론 여지를 봉쇄하는 식으로 가식적으로 대하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이렇게 되면 사회적으로 어떻게 죄를 짓지 않고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될지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2020년대의 유행어로 치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C%B4%EC%A7%80%EC%84%B1" title="무지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무지성&lt;/a&gt;으로 어떻게든 조리돌림하고 싶은 자를 괴롭히거나 추방시키려고 비현실적인 논리만을 주장하게 된다. 결국 '공공의 이익만을 위한 길이 옳지만 내 기준으로 그냥 싫은 사람을 안고 가기 싫고 그냥 좋은 사람만 안고 가고 싶다. 어차피 맞지 않는 사람 한 명 나간다고 내 입맛에 맞는 조직과 인맥은 망하지 않으니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라.'라고 마지막 답정너 결론을 내려 진심으로 조언하는 사람에게마저 일방적으로 절연을 선언하고 차단해버린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대체로 뒷담꾼들은 바깥의 다른 제3자들에게 비판을 빙자한 뒷담을 가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영역에 관련된 비판이 오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방어권을 상실한 자에게 자비롭지 못하고 가진 자에게 순종하거나 질투한다. 그래서 뒷담을 한 번 인터넷에서 한 순간 모순을 가지고 살아간다. 모순을 보이면 받아들여줄 사람이 없어진다. 뒷담꾼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존재는 대체로 같은 부류다. 그들이 정착한 장소는 뉴비가 알 수 없는 내부 사정을 고인물만 숨기는 장소가 된다.&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10"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0.&lt;/a&gt;&nbsp;&lt;span id="가난에 대한 비틀린 인식"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가난에 대한 비틀린 인식&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4"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네티즌들의 가난에 대한 인식은 무의식적으로 비틀렸다. IMF 이후 가난, 열정페이, 재능의 벽&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6]&lt;/a&gt;에 의한 울분을 막연하게 치유하고 싶어서 모인 네티즌들은 멀리서 가난 때문에 불행해졌다는 뉴스를 보면 안타깝다고 이야기하여도 정작 가난한 사람과 가까워지면 사정을 듣지 않고 감당하지 못할 가난한 사람을 추방시킨다. 이는 가난 때문에 예의범절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 사회화가 올바르게 되지 않은 인원들이 모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갑질과 아동학대의 대물림에 완전히 타락한 일부 가난한 네티즌이 있어서 감당하기 어려워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하지만 생계 문제와 노후자금 문제와 진상손님 같은 일부 악성 네티즌 및 악플러를 만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인터넷을 완전히 끊은 것도 아니고, 다 망해버리라고 자포자기하기보다 인터넷에서 쌓아온 문화가 입덕은 좋고 탈덕이 싫고 친목질도 싫으니 나가지 않고 방지하겠다는 이유로 어중간하게 발을 걸치면서, 모든 사람에게 잘해주는 것인지 자기에 맞는 사람만을 고르는 것인지 노선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못해 우유부단한 네티즌들이 대부분이다. 적나라하게 말해서&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파멸적인 관계로 끝날 거였으면 처음부터 유입이 빠르고 엄선이 힘든 인터넷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lt;/span&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그렇다고 모든 사람에게 잘해주는 네티즌이 된다고 하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20%EC%A0%A0%EB%8D%94%20%EB%B6%84%EC%9F%81" title="대한민국의 젠더 분쟁"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한민국의 젠더 분쟁&lt;/a&gt;&nbsp;이전에도&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 title="디시인사이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디시인사이드&lt;/a&gt;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9%A0%EC%88%9C%EC%9D%B4" title="빠순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빠순이&lt;/a&gt;층 혹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F%90%EB%85%80%EC%9E%90" title="폐녀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폐녀자&lt;/a&gt;층으로 양분되어 극단화되었고 이후 더욱 극단화된 각 진영의 네티즌들이 중립적으로 대하고자 하는 사람을 중립충이라고 욕한다.&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7]&lt;/a&gt;&nbsp;문화를 가난을 치유하는 순수한 용도로 사용하는 네티즌은 점점 사라지고, 가난을 경멸하기만 하는 악성 네티즌만 남는데, 그들은 자신들이 악성 네티즌이라는 것을 모른다. 정치인과 법조계와 대기업조차 가난을 희화화하면 욕먹는데, 대체로 젊은 네티즌이 어른들(특히 맘카페)의 손이 닿지 않는 곳이라고 기고만장해져선 자기들끼리 가난을 희화화하고 유행이라고 강요하는 이중잣대를 보인다. 그러한 유행은 바깥 세상의 인싸에게 경멸적인 것임에도 아싸끼리 궁합을 어떻게든 힘들게 맞추려다 드디어 맞췄다고 착각한 셈이다. 인터넷에 모인 오타쿠와 망가진 폐인들의 경멸이 세상을 대표하지 않는데도 대표한다고 착각해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20%EC%A0%A0%EB%8D%94%20%EB%B6%84%EC%9F%81" title="대한민국의 젠더 분쟁"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한민국의 젠더 분쟁&lt;/a&gt;을 일으켰고 정치권은 젠더 분쟁을 암암리에 일으킨 대표적인 원흉으로 지목되는 주제에 여야 상관없이 이들을 표심으로 이용하기 급급해할 뿐이다. 가난을 희화화하는 네티즌이 많아지는 온라인 여론이 오프라인을 대변할 순 없는데도 억지로 오프라인 여론과 가깝다고 정치권에서 선동하기 바쁜 것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그럼에도 그들은 겉으로&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나는 가난을 선택적으로 동정하거나 희화화한 적이 없어요&lt;/span&gt;'라고 발뺌한다. 가난한 사람을 선택적으로 동정하고 희화화한 적이 없다면 온갖&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9%B8%EC%B9%AD" title="멸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멸칭&lt;/a&gt;이 대다수의 네티즌을 선발주자로 혹은 페미니즘 진영이 후발주자로 삼아 쏟아져나온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가난을 극복하고자 한다는 것이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고작 누가 가난하다고 비교질이나 하면서 욕설이나 퍼붓고 방구석폐인으로만 남는 것이고 정치권에서는 이러한 폐인들을 어용이자 고기방패로 삼기만 하는 것인가? 자기 행동이 자신들을 욕보이는 것이고 정치권에게 이용당하기만 하는 주체적이지 못한 삶이라는 것을 자신들이 전혀 모르고 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인터넷 탄생기부터 네티즌들이 생각해왔던 주체적인 삶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7%B4%EC%A0%95%ED%8E%98%EC%9D%B4" title="열정페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열정페이&lt;/a&gt;를 옹호하여&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4%91%EC%86%8C%EA%B8%B0%EC%97%85/%EA%B5%AC%EC%9D%B8%EB%82%9C" title="중소기업/구인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중소기업/구인난&lt;/a&gt;의 원흉이 된 블랙기업과 악덕사장에게, 하급자에게 학대 행위를 일삼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6%8C%EC%95%85%EC%A7%95%EC%84%A0" title="권악징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권악징선&lt;/a&gt;으로 책임을 남에게 미루기 급급한 상급자에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진상손님과 일부 거주자에게 법의 철퇴를 내리는 것이며 이는 공통적으로 변하지 않는 정서가 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행동은 그들이 봐 왔던 높으신 분들, 진상손님, 층간소음 유발자와 다를 것이 하나도 없었다. 지금 자신들이 인터넷에서 하는 행동이 과연 점잖은 모범시민으로서의 행동인지 손을 얹고 생각한다면 전혀 아닐 것이다. 인터넷이 있어서 그나마 진상짓을 하지 않고 혼자 일기장 삼아 스트레스를 푸는 것이지&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8]&lt;/a&gt;&nbsp;인터넷이 없었더라면 오프라인에서 어떤 정치적 성향이든 어떤 성별이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94%94%EC%8B%9C%EC%9D%B8%EC%82%AC%EC%9D%B4%EB%93%9C" title="디시인사이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디시인사이드&lt;/a&gt;&nbsp;막장갤의 실제 범죄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8%EC%B2%9C%20%EB%8F%99%EC%B6%98%EB%8F%99%20%EC%B4%88%EB%93%B1%ED%95%99%EC%83%9D%20%EC%9C%A0%EA%B4%B4%20%EC%82%B4%EC%9D%B8%EC%82%AC%EA%B1%B4" title="인천 동춘동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인천 동춘동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2021%EB%85%84%20%EB%AF%B8%EA%B5%AD%20%EA%B5%AD%ED%9A%8C%EC%9D%98%EC%82%AC%EB%8B%B9%20%EC%A0%90%EA%B1%B0%20%ED%8F%AD%EB%8F%99" title="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lt;/a&gt;&nbsp;등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4%9D%EA%B8%B0%EB%82%9C%EC%82%AC" title="총기난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총기난사&lt;/a&gt;와 똑같은 짓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다. 이마저도 악성 네티즌들이 공공기관과 세금을 강탈해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96%BC%EB%B2%95" title="떼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떼법&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AD%EB%AF%BC%EC%A0%95%EC%84%9C%EB%B2%95" title="국민정서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국민정서법&lt;/a&gt;에 위법 소지가 있더라도 어떻게든 밀어붙여 통과시키면 다 될 거라 믿어 자기들이 온라인에서 폐인짓하던 그대로 오프라인까지 민폐를 끼치는 중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물론 네티즌 당사자들 입장에선 나름 마지막까지 가난에 고통받아 발버둥치고 최선을 다한 결과가 이렇게 된 것인데 너무 가혹한 비판이 아니냐는 반론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선을 다한 것과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은 것은 다른 문제다. 최선을 다한다고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을지 말지 줄타기하다가 자포자기하고 윤리적 행동과 비윤리적 행동을 구분하지 못한 채 선악이 뒤섞인 폐인들만 모인 지금 인터넷과 SNS가 정상적인가? 자신이 무시한 남에게 한 번 저지른 죄는 사라지지 않고 뉘우쳐야 하는데 그것이 익명성에 신상명세를 숨기고 가까운 사람만을 위한 한 번의 선행만으로 사라질 것이라는 발상이 암암리에 통하는 것이 현재 네티즌들의 정서다. 네티즌들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3%84%EB%8A%94%20%EC%94%BB%EC%9D%84%20%EC%88%98%20%EC%9E%88%EC%8A%B5%EB%8B%88%EB%8B%A4" title="죄는 씻을 수 있습니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죄는 씻을 수 있습니다&lt;/a&gt;를 욕하면서&lt;a class="XfPx2M4K"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fn-1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8em; vertical-align: super; text-wrap: nowrap;"&gt;&lt;span id="rfn-1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19]&lt;/a&gt;&nbsp;자신들의 죄를 전부 씻을 수 있는 장소를 찾기 위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4%9C%EB%B8%8C%EC%BB%AC%EC%B2%98" title="서브컬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서브컬처&lt;/a&gt;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98%EB%AF%B8%EB%8B%88%EC%A6%98" title="페미니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페미니즘&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5%EC%B9%98%EC%A0%81%20%EC%98%AC%EB%B0%94%EB%A6%84" title="정치적 올바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정치적 올바름&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B%9C%EB%AF%BC%EB%8B%A8%EC%B2%B4" title="시민단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시민단체&lt;/a&gt;와 자기가 일하는 일터와 세금을 지원받은 특정 기관에 공의존하는 이중잣대를 보였다. 공의존했으면 의존 대상의 사회적 이미지를 좋게 하는 것이 당연함에도, 그들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4%B9%EB%8D%95" title="씹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씹덕&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8%BC%EB%AA%A8%EB%85%B8" title="혼모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혼모노&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D%BC%EA%B1%B0" title="퍼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퍼거&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F%AD%EB%8F%84" title="폭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폭도&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F%90%EB%85%80%EC%9E%90" title="폐녀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폐녀자&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9%A0%EB%8F%8C%EC%9D%B4" title="빠돌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빠돌이&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9%A0%EC%88%9C%EC%9D%B4" title="빠순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빠순이&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4%A4%EB%8D%95" title="네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네덕&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7%BC%EC%B2%A9" title="근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근첩&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8%94%EB%B9%A0" title="블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블빠&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1%A4%EC%B6%A9" title="롤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롤충&lt;/a&gt;, 인방충,&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9%98%EB%B9%A0" title="환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환빠&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C%EB%BD%95" title="일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일뽕&lt;/a&gt;, 디시&am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C%EB%B2%A0%EC%B6%A9" title="일베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일베충&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A%B8%ED%8E%98%EB%AF%B8" title="트페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트페미&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7%AC%EC%AD%89%EB%A9%94%EC%9B%8C" title="여쭉메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여쭉메워&lt;/a&gt;, 페미, PC충,&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E%90%EC%BA%90%20%EC%BB%A4%EB%AE%A4%EB%8B%88%ED%8B%B0" title="자캐 커뮤니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자캐 커뮤니티&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2%AC%EC%9D%B4%EB%B2%84%20%EB%A0%89%EC%B9%B4" title="사이버 렉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사이버 렉카&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8%B0%EB%A0%88%EA%B8%B0" title="기레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기레기&lt;/a&gt;&nbsp;등의 멸칭을 얻을 만큼 의존 대상의 사회적 이미지를 손상시켜 책임을 전가하기 바빴다. 가까운 사람에게조차 선행을 제대로 하는 것도 아니고 IMF 문제조차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 대다수의 정치인을 광기적 빠심으로 동경해 그들의 기준이 진리라고 황당하게 믿고 정치병으로 주화입마한 나머지 내분만 일으키기 급급할 뿐이다. 무능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7%84%EC%98%81%EB%85%BC%EB%A6%AC" title="진영논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진영논리&lt;/a&gt;의 함정에 빠져 실무를 제대로 챙기지 않은 정치인들이 자신들을 표심이자 개돼지로 보는데도 거기에 좋다고 자발적으로 자기암시를 걸어 스스로 타락해 자기도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주제에 남에게&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B%A4%EB%8B%A8%EA%B3%84" title="다단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다단계&lt;/a&gt;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2%AC%EC%9D%B4%EB%B9%84%20%EC%A2%85%EA%B5%90" title="사이비 종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사이비 종교&lt;/a&gt;처럼 영업해놓고 남이 빚더미가 되거나 몸이 망가지면 책임지지도 않고 도망치기 급급해할 뿐이다. 이것이 과거에 자신들이 경멸했던 IMF 당시의 사채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9%80%EB%8C%80%EC%A4%91%20%EC%A0%95%EB%B6%80" title="김대중 정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김대중 정부&lt;/a&gt;의 실책인&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9%B4%EB%93%9C%20%EB%8C%80%EB%9E%80" title="카드 대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카드 대란&lt;/a&gt;&nbsp;속&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7%B0%EB%8C%80%EB%B3%B4%EC%A6%9D" title="연대보증"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연대보증&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B%A0%EC%9A%A9%EB%B6%88%EB%9F%89%EC%9E%90" title="신용불량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신용불량자&lt;/a&gt;&nbsp;양산의 공포와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대책없이 감성팔이로 하나의 입덕만 외치고 언제든지 다른 기준의 탈덕과 보류 상태로 휴식을 취하게 놔두지 않으니 초중반에 내부고발을 묻어놓다가 자신들의 모임이 끝물이 될 즈음 내부고발이 터질 뿐이다. 애초에 같은 논리로 치면 가난에 고통받아도 정신차리고 오프라인에서 일하다 온라인의 떼법 정서에 공포심에 휩싸인 정상적인 사회인은 무슨 죄란 말인가?&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11"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1.&lt;/a&gt;&nbsp;&lt;span id="서민 및 중산층 이하의 동족혐오 만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서민 및 중산층 이하의 동족혐오 만연&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5"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네티즌들은 2000년대 이후 사회 비판이 재벌가와 법조계가 아닌 중산층 이하에만 편중되는 세태에 자의든 타의든 무관심하거나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않았다. 재벌가와 법조계는 사회적 비판을 잘 받지 않고 언론사들도 재벌에 불리한 기사를 잘 내지 않아 정언유착, 정경유착, 정법유착이 의심되었고, 개혁추진 세력은 성과가 지지부진하거나 내부분열로 국민들을 믿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당혹스럽게 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어차피 비판해도 얼마 안 되는 노후자금밖에 없는 경제적 약자들로 전락한 서민, 빈민, 중산층끼리 내분하여 장기적인 이득이 없는데도, 서민과 중산층에 속한 극단적인 대다수의 네티즌들은 다른 서민과 중산층이 잘못했다고 남탓하기 바빴다. 그럼에도 그들은 재벌가와 법조계의 부정부패와 비리를 내부고발하는 문제점에 거의 침묵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결국 재벌가와 법조계를 건드려서 소송 한 번이면 추풍낙엽으로 쓸려갈지도 모를 네티즌 중 대다수의 서민이자 중산층인 정치병자들은 진짜 사회적 강자의 어둠을 파헤치지 못하는 자신에게 컴플렉스를 느껴 서민과 중산층의 부정부패와 비리만 잡겠다는 황당한 자기합리화로 정치권의 어용으로 자발적으로 지원하고 자기세뇌를 걸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20%EC%A0%A0%EB%8D%94%20%EA%B0%88%EB%93%B1" title="대한민국의 젠더 갈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한민국의 젠더 갈등&lt;/a&gt;을 과대표화하는 데에 일조했다. 한국에서 국민들에게 국가적 대표라 여겨지는 주체가 정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E%AC%EB%B2%8C" title="재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재벌&lt;/a&gt;, 법조계, 거대 여야라는 점을 감안하면, 시위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도 토론 부족으로 장기적인 사회 발전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중산층 이하의 정치병자들의 행동은 개선해야 할 주체를 자신들에게로 잘못 잡은 것이다. 정치병자들이 원하는 방향을 들어준다고 해도 결국 국민에게로의 혜택이나 특정 정치진영의 세금을 부당하게 지원받기 위한 특혜 싸움일 뿐이며 정부, 재벌, 법조계, 거대 여야의 사회적 병폐를 직접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아니다. 결국 자신들이 진정 바랬을지도 모르는 재벌가와 법조계에 대항할 서민과 중산층의 단합을 자신들이 망쳐버렸음에도 자각하지 못했다.&lt;/div&gt;&lt;/div&gt;&lt;h4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4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11.1"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1.1.&lt;/a&gt;&nbsp;&lt;span id="원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원인&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6"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4&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내분의 원인은 '서민, 빈민, 중산층 / 진보, 좌파, 운동권, 페미니즘 진영, 정치적 올바름 진영'이 각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4%EB%AA%85%EB%B0%95%EA%B7%BC%ED%98%9C" title="이명박근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이명박근혜&lt;/a&gt;&nbsp;시기&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AD%EC%A0%95%EC%9B%90" title="국정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국정원&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5%B0%EC%82%AC%EB%8F%85%EC%9E%AC" title="군사독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군사독재&lt;/a&gt;&nbsp;정권에 트라우마를 품어 공포를 극복하지 못해 용기를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전자의 경우 실시간으로 국정원이 자신을 감시할 수 있다는 공포에 사로잡혔다.&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85%EB%A6%BD%EC%9A%B4%EB%8F%99" title="독립운동"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독립운동&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F%BC%EC%A3%BC%ED%99%94%20%EC%9A%B4%EB%8F%99" title="민주화 운동"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민주화 운동&lt;/a&gt;의 자원자조차 고문으로 피골이 상접했는데 평범한 소시민에 불과한 중산층 이하의 계층이 견디는 것은 불가능하다. 100세 장수 시대에 노후자금을 어떻게 벌어야 할지 고민하면서, 진상손님과 층간소음과 열정페이와 갑질과 온라인에서의 장사방해 허위소문이 없어지길 바라면서, 몸도 마음도 알게 모르게 지쳐 아이들을 교육하는 것조차 벅차고, 학교와 군대에 아이들을 맡겨 자신들이 해주지 못했던 만큼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게 하여 달라고 기도했겠지만, 돌아온 것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2021%EB%85%84%20%ED%95%99%EA%B5%90%ED%8F%AD%EB%A0%A5%20%ED%8F%AD%EB%A1%9C%20%EC%82%AC%EA%B1%B4" title="2021년 학교폭력 폭로 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2021년 학교폭력 폭로 사건&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D%95%9C%EB%AF%BC%EA%B5%AD%20%EA%B5%AD%EA%B5%B0%20%EA%B2%A9%EB%A6%AC%EC%9E%A5%EB%B3%91%20%EC%9D%B8%EA%B6%8C%EC%B9%A8%ED%95%B4%20%EB%85%BC%EB%9E%80" title="대한민국 국군 격리장병 인권침해 논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한민국 국군 격리장병 인권침해 논란&lt;/a&gt;이었다. 항의하고 싶었겠지만 노후자금을 벌기 위해 장사를 하고 직장에 나가야 하는데 법적 소송에 휘말리면 이길 가능성이 희박하고 노후자금과 등록금에 쓸 자금마저 무너질 것이 뻔하다. 결국 자식에게 미안함을 지닌 부모가 많아졌다. 자식들에게 세상의 더러움으로부터 지켜주고 싶지만 끝내 그렇게 하지 못했던 한이 부모들에게 생겼다. 그런 상태에서 생계를 버리고 무모한 저항을 벌일 순 없었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3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6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3.12"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12.&lt;/a&gt;&nbsp;&lt;span id="유행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C%A0%ED%96%89%EC%96%B4" title="유행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유행어&lt;/a&gt;&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7"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3&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오프라인에서 통용되지 않고 온라인에서만 쓰이는 은어와 유행어를 정말 쉴새없이 만든다. 대체로 유행어가 네티즌들밖에 모르는 단어라 은어화된다. 긍정적으로 만들면 유머스럽거나 블랙유머스러운 유쾌한 의미의 유행어가 된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하지만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의 정치&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6%B4%EC%9A%A9" title="어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어용&lt;/a&gt;세력과 이에 편승하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5%ED%94%8C%EB%9F%AC" title="악플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악플러&lt;/a&gt;들에 의해&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7%80%EC%97%AD%EA%B0%90%EC%A0%95" title="지역감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지역감정&lt;/a&gt;&nbsp;등 사회구성원의 분열을 조장하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5%EC%B9%98%EB%B3%91" title="정치병"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정치병&lt;/a&gt;자들이나 쓸 법한 부정적인 유행어가 많이 만들어졌다. 이로 인해 인터넷과 네티즌에 대해 모르고 처음 들어온 오프라인에서 주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유행어를 알지 못하고 우연히 쓰다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5%ED%94%8C%EB%9F%AC" title="악플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악플러&lt;/a&gt;로 몰려 조리돌림당해 억울하고 씁쓸하게 떠날 가능성이 높아졌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따라서 유행어는 네티즌들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순기능을 가져다주지만, 반대로 자신들만의 은어로 외부인에 대해 폐쇄적인&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B%AB%ED%9E%8C%20%EC%82%AC%ED%9A%8C" title="닫힌 사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닫힌 사회&lt;/a&gt;를 인터넷에서 만들고 고착화시켰다.&lt;/div&gt;&lt;/div&gt;&lt;h2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4"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4.&lt;/a&gt;&nbsp;&lt;span id="각 국가의 네티즌 인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각 국가의 네티즌 인구&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8"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아래는 모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8%81%EC%96%B4%20%EC%9C%84%ED%82%A4%EB%B0%B1%EA%B3%BC" title="영어 위키백과"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영어 위키백과&lt;/a&gt;에서 출저한 이미지들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 class="GRSkuDjg"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0px; max-width: 100%; vertical-align: middle;"&gt;&lt;span class="JhQA44l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overflow: hidden; position: relative;"&gt;&lt;img class="eR7fb74U" src="data:image/svg+xml;base64,PHN2ZyB3aWR0aD0iODYzIiBoZWlnaHQ9IjQ0MiIgeG1sbnM9Im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Ij48L3N2Zz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img class="p1c+P2J3" src="https://i.namu.wiki/i/GEdeXsTV-LgFsZXBZEslKTwzBGX7_qBXponjRXpFBatFUPy5PoM6pMbxcvS7UgFUJ-0XbBoWBL94-bOOr7W6hD8Kf96grMDL6-5Xmi2vy0DPYVapFhQM5A05-3ueWWft07v3LLdaiSPY53s4ICP5Qg.webp" data-filesize="38398" data-src="//i.namu.wiki/i/GEdeXsTV-LgFsZXBZEslKTwzBGX7_qBXponjRXpFBatFUPy5PoM6pMbxcvS7UgFUJ-0XbBoWBL94-bOOr7W6hD8Kf96grMDL6-5Xmi2vy0DPYVapFhQM5A05-3ueWWft07v3LLdaiSPY53s4ICP5Qg.webp" alt="attachment/네티즌/W..." data-doc="/jump/oaLT8hmscqYw5l60dQ5YAIL7EyfOPfEqoe%2FV75V3J39ziI4jW2AV9cNOZhnjoi6WCQYkTiwIF2bSB2voaFySzvGoVtdas6v3zxxnI6hysDc%3D" data-v-7b85ba46="" loading="laz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inset: 0px; position: absolute;"&gt;&lt;/span&gt;&lt;/span&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각 국가의 인터넷 보급률. XX%라면 그 나라 전체 인구의 XX%가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뜻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 class="GRSkuDjg"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0px; max-width: 100%; vertical-align: middle;"&gt;&lt;span class="JhQA44l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overflow: hidden; position: relative;"&gt;&lt;img class="eR7fb74U" src="data:image/svg+xml;base64,PHN2ZyB3aWR0aD0iODYzIiBoZWlnaHQ9IjQ0MyIgeG1sbnM9Im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Ij48L3N2Zz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img class="p1c+P2J3" src="https://i.namu.wiki/i/w7XVrVhZjRTQN2MiOnxwdDqkxcB7mD9_MqTimrVMtNjs7OzJ00dJUEVlhM32F42x9DuCqCf1WKzcUK_elO6_mqCVPqoGLARauFCliH0G_e3Iflj5FEyRkZs7xfSoeF-cf-5EAV8P6nVq5ERzY-WYtg.webp" data-filesize="41640" data-src="//i.namu.wiki/i/w7XVrVhZjRTQN2MiOnxwdDqkxcB7mD9_MqTimrVMtNjs7OzJ00dJUEVlhM32F42x9DuCqCf1WKzcUK_elO6_mqCVPqoGLARauFCliH0G_e3Iflj5FEyRkZs7xfSoeF-cf-5EAV8P6nVq5ERzY-WYtg.webp" alt="attachment/네티즌/W..." data-doc="/jump/oaLT8hmscqYw5l60dQ5YAIL7EyfOPfEqoe%2FV75V3J39ziI4jW2AV9cNOZhnjoi6WBDZIPzfrrNgf4HrRkbmp9e2hTpPtjbqoGD%2BYORDoZpY%3D" data-v-7b85ba46="" loading="laz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inset: 0px; position: absolute;"&gt;&lt;/span&gt;&lt;/span&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각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 인구.&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 class="GRSkuDjg"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0px; max-width: 100%; vertical-align: middle;"&gt;&lt;span class="JhQA44l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overflow: hidden; position: relative;"&gt;&lt;img class="eR7fb74U" src="data:image/svg+xml;base64,PHN2ZyB3aWR0aD0iMTAwMCIgaGVpZ2h0PSI1MjMiIHhtbG5zPSJodHRwOi8vd3d3LnczLm9yZy8yMDAwL3N2ZyI+PC9zdm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img class="p1c+P2J3" src="https://i.namu.wiki/i/CO1p9zvrY_HTHQYf6e5fd5f0tQPOkL1egkX1941CE1EK7B24FLuQ0wT6xvnf0YHBk-_vkqyYWg5z7D2UDrRTpUhE9VCa7_fInuhfovphe8AAbXn62YJcVi3o4LmiVLVUQLhF6DyOF4MVViujK_LoIg.webp" data-filesize="60486" data-src="//i.namu.wiki/i/CO1p9zvrY_HTHQYf6e5fd5f0tQPOkL1egkX1941CE1EK7B24FLuQ0wT6xvnf0YHBk-_vkqyYWg5z7D2UDrRTpUhE9VCa7_fInuhfovphe8AAbXn62YJcVi3o4LmiVLVUQLhF6DyOF4MVViujK_LoIg.webp" alt="attachment/네티즌/W..." data-doc="/jump/oaLT8hmscqYw5l60dQ5YAIL7EyfOPfEqoe%2FV75V3J39ziI4jW2AV9cNOZhnjoi6WRWnf0p%2F%2BF6secDFH3m1bDfxDrJ5JzwM9AMxctviOaXs%3D" data-v-7b85ba46="" loading="laz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inset: 0px; position: absolute;"&gt;&lt;/span&gt;&lt;/span&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el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gray;"&gt;한국 위에&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6%81%ED%95%9C" title="북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뭐&lt;/a&gt;가 사라진 것 같다 그럼 사이버 전사는???.&lt;/del&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인터넷 사용자 인구 1백만 명 당 영토 세 칸으로 계산해 다시 그린 세계지도. 국가 영토가 더욱 붉은 색일수록 인터넷 사용 인구외에 보급률 또한 높은 것을 나타낸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육안 상으로만 따져도 원래 크기의 몇 배 이상은 물론이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9C%A0%EB%9F%BD" title="동유럽"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동유럽&lt;/a&gt;보다 커진 한국이 얼마나 인터넷 보급력과 영향력이 엄청난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영토보다 네티즌 영토가 훨씬 크면서도 인터넷 보급률 80% 이상을 유지하는 나라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8%81%EA%B5%AD" title="영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영국&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85%EC%9D%BC" title="독일"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독일&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4%A4%EB%8D%9C%EB%9E%80%EB%93%9C" title="네덜란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네덜란드&lt;/a&gt;, 그리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5%9C%EA%B5%AD" title="한국"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한국&lt;/a&gt;&nbsp;뿐이다.&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h2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5"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5.&lt;/a&gt;&nbsp;&lt;span id="문제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문제점&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19"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span class="jj2UyR5f"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font-size: 0px; max-width: 100%; vertical-align: middle; float: left; width: 21px;"&gt;&lt;span class="JhQA44lB"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overflow: hidden; position: relative; width: 21px;"&gt;&lt;img class="eR7fb74U" width="100%" src="data:image/svg+xml;base64,PHN2ZyB3aWR0aD0iMTAwMCIgaGVpZ2h0PSIxMDAwIiB4bWxucz0iaHR0cDovL3d3dy53My5vcmcvMjAwMC9zdmciPjwvc3ZnPg=="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img class="p1c+P2J3" width="100%" src="https://i.namu.wiki/i/9q3KYFdnygot2ie14wokMSi6RMph9-68etgufumulttKV5OhoZJqJ2uG_La5g4OButpICnlYCWhhI-V1keIg9oKHaZakPj_Gbn9tMNwey-WS4OSzfmjwsZ_8QRLxdk2n7iFBEhLBd7U7NyH3B0bnhA.svg" data-filesize="1071" data-src="//i.namu.wiki/i/9q3KYFdnygot2ie14wokMSi6RMph9-68etgufumulttKV5OhoZJqJ2uG_La5g4OButpICnlYCWhhI-V1keIg9oKHaZakPj_Gbn9tMNwey-WS4OSzfmjwsZ_8QRLxdk2n7iFBEhLBd7U7NyH3B0bnhA.svg" alt="상세 내용 아이콘" data-v-7b85ba46="" loading="lazy"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 inset: 0px; position: absolute;"&gt;&lt;/span&gt;&lt;/span&gt;&nbsp; 자세한 내용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6%8C%EC%85%9C%20%EB%84%A4%ED%8A%B8%EC%9B%8C%ED%81%AC%20%EC%84%9C%EB%B9%84%EC%8A%A4/%EB%B9%84%ED%8C%90" title="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비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비판&lt;/a&gt;&nbsp;문서&lt;div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inline;"&gt;를&lt;/div&gt;&nbsp;참고하십시오.&lt;/div&gt;&lt;/div&gt;&lt;h2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xTODHa66" style="box-sizing: border-box; cursor: pointer; font-size: 1.8em; border-bottom: 1px solid rgb(204, 204, 204); margin: 1.2em 0px 0.8em; padding-bottom: 5px;"&gt;&lt;a id="s-6"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toc"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6.&lt;/a&gt;&nbsp;&lt;span id="관련 문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관련 문서&lt;span class="_9JF0BShh"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loat: right; font-size: 0.8rem;"&gt;&lt;a href="https://namu.wiki/edit/%EB%84%A4%ED%8B%B0%EC%A6%8C?section=20" rel="nofollow"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편집]&lt;/a&gt;&lt;/span&gt;&lt;/span&gt;&lt;/h2&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lJ5usNcG" style="box-sizing: border-box;"&gt;&lt;ul class="rPW37j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0.4em 1.5em; padding-left: 0.5rem;"&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8%ED%84%B0%EB%84%B7%20%EC%BB%A4%EB%AE%A4%EB%8B%88%ED%8B%B0" title="인터넷 커뮤니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인터넷 커뮤니티&lt;/a&gt;&lt;/div&gt;&lt;/li&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93%EA%B8%80" title="댓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댓글&lt;/a&gt;&lt;/div&gt;&lt;/li&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2%A4%EB%B3%B4%EB%93%9C%EC%9B%8C%EB%A6%AC%EC%96%B4" title="키보드워리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키보드워리어&lt;/a&gt;&lt;/div&gt;&lt;/li&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NCSI" title="NCS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NCSI&lt;/a&gt;&lt;/div&gt;&lt;/li&gt;&lt;l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4em 0px; list-style: inherit !important;"&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el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color: gray;"&gt;&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5%9C%EA%B7%BC%20%ED%95%9C%20%EC%98%A8%EB%9D%BC%EC%9D%B8%20%EC%BB%A4%EB%AE%A4%EB%8B%88%ED%8B%B0%20%EA%B2%8C%EC%8B%9C%ED%8C%90%EC%97%90%EB%8A%94" title="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lt;/a&gt;&lt;/del&gt;&lt;/div&gt;&lt;/li&gt;&lt;/ul&gt;&lt;div class="r7tJe+yJ"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bottom: 1rem;"&gt;&lt;br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div&gt;&lt;/div&gt;&lt;div data-v-0d1d61dc="" data-v-464e8322="" class="RKpUY3qT"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var(--article-gutter-y-var) 0 0 0;"&gt;&lt;div data-v-0d1d61dc="" class="NemIZhTK" style="box-sizing: border-box; background-color: rgb(255, 254, 249); border: var(--card-border-width-var) solid var(--component-border-color); border-radius: var(--card-border-radius-var);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min-height: 8.75rem; padding: 0.75rem; transition: background-color 0.05s ease-in 0s;"&gt;&lt;div data-v-0d1d61dc="" class="zzPvVpF0"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line-height: 1; margin: 0px 0px 0.75rem;"&gt;&lt;div data-v-0d1d61dc="" class="Sgd0c1FS" style="box-sizing: border-box; align-items: center; display: flex; flex: 1 1 0%; font-size: 0.9rem;"&gt;&lt;span data-v-0d1d61dc="" class="cDSOxoXl nVZ0NV+a" style="box-sizing: border-box; height: 14px; width: 47px; background-position: 50% center;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size: cover;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url("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ADIAAAAPCAYAAACm25zCAAAACXBIWXMAAAsTAAALEwEAmpwYAAAAtGVYSWZJSSoACAAAAAYAEgEDAAEAAAABAAAAGgEFAAEAAABWAAAAGwEFAAEAAABeAAAAKAEDAAEAAAACAAAAEwIDAAEAAAABAAAAaYcEAAEAAABmAAAAAAAAAEgAAAABAAAASAAAAAEAAAAGAACQBwAEAAAAMDIxMAGRBwAEAAAAAQIDAACgBwAEAAAAMDEwMAGgAwABAAAA//8AAAKgBAABAAAAMgAAAAOgBAABAAAADwAAAAAAAACboHkMAAADJ0lEQVR4nOVWW6hNQRje2bk86Hhx5+xZl5lZM2tzyM41PGgXEVHk4eQSL0rhPElKUsQrJcfDeSByyQsPwgMvbiFexAtRCEWRhJzD989aa+919p599l7neDP115p/Zv75vn+++Wflcv9LKyg1yRX6sCuLs7Osw5q9jlCbMswv0z5hGI7OjhKtIKUbB6kzLwimO6I4A99/XK63ptdxXvRdrs7B/waA3ztcX2JSqgowrt85Ql9O+jTucHUjba5QV1NE9tM+ntcxPvH5frDA5eG6gcz3i+2VzBmgVlMXbESQtRHovwSRJ0yoNY4frgLQB/C9TTJaT0TtMydbtUfw/RqICPY/BftsM8T+QvMdqdfXHiuBL0spx9I342qXAWAhUvUFKy0xFtmIuFJ2+L4qJQYw55sRGaiR1CMM4dpBE+Gct+E0vhEYxsKJtAbyOg3gP1x32gQrEUiw9sSHQoT5ar6JATVkIyL0LYDpdkU4JwoULgOZVxVgkBXJLAW8jgj6ZxpmuJ5I3kgQeyJJPZHM9RVzt7i6B//ziEiwNCMR9ZSCeDJcktp/mOeFBZrjBEGANfM8oVaYGFYi6jUBMqAiQI+pUJBEbSeCsYux9WDuUdzDQ1i3m3G9Df0TNJ9kmo1ILC3Iahz63xsUiF4iALIL64nQxiDB9UmTZa6Pob8HIDdSMrJKKy4emO+NycXA2pjUq6Nj0huii4hvoY7jInUCzOLaO0IXjEqfJ/RykhfmPHQczUql0vDUCfQjkm4FX83C+BbKLgjtjMqo2bdMFbEVIlT6gfFDlZnQ1y2Z/U2ax0b3Sfe2d6QSEJLD+M34+wjmvTCGGLVE6DThu42xPsx5RutgdwDqE/b6ibEdrZCgZpKPZFSzgwcxKYn0yLUHwWS481Wi9gfRSoRKYvJYRbW+HxGAPUgk6ERqwuSjN0P3krRAeGRyl1oyqbY3ZZ6FSD+/RVrIfFcUS3VNFWIK+Rhjo4zUcDKQ2Vd6UOMHt7tVYyLY/A+I6GsAcLYVIrmopB6A/2ONlPtgd+Gf2xTQYBtliC5hLLmWG73wTIQzGwznSdKmXON/jirlUHH+BbjWkNj+WROCAAAAAElFTkSuQmCC");"&gt;&lt;/span&gt;&lt;div data-v-0d1d61dc="" class="RJFfIZGS" style="box-sizing: border-box; align-items: center; display: flex;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4rem;"&gt;&lt;span data-v-0d1d61dc="" class="tX1s1wIg _2FkDuBBk" style="box-sizing: border-box; height: 15px; width: 26px; background-image: url("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AB0AAAAQCAYAAADqDXTRAAAACXBIWXMAAAsTAAALEwEAmpwYAAAAtGVYSWZJSSoACAAAAAYAEgEDAAEAAAABAAAAGgEFAAEAAABWAAAAGwEFAAEAAABeAAAAKAEDAAEAAAACAAAAEwIDAAEAAAABAAAAaYcEAAEAAABmAAAAAAAAAEgAAAABAAAASAAAAAEAAAAGAACQBwAEAAAAMDIxMAGRBwAEAAAAAQIDAACgBwAEAAAAMDEwMAGgAwABAAAA//8AAAKgBAABAAAAHQAAAAOgBAABAAAAEAAAAAAAAABYWHqhAAABtklEQVR4nGOwrdH4T2/MMOgtDeqy/+/VakZ9Sz1bTP9vPL0SA7s2Gf6/+vji/3l7J8PVRvS5/U+ZFowVh/Y4E2+pe7Px/xk7e+B49bFF/0HAA+gYdEtXHV34/8bTKxj449f3/7edW0d68ObMifkfN8nnf/GClP9//v7571CnDbb04oMz/ydubcUbfHsubf2/6fQq0i09dfvI/wX7p4Et33F+I1gMZOnpO0f/t62txGvpoWt7/q85vph4S6uX5YKD9fGbB2BfrT62EGzplO0dGMELw+kzwsDqYXyQulm7+4m3tHl12f8lh2aD8dy9k/53rKv+X7oo7X94rytOS/PmxoGjAMZ//+Xt/8ZVJaQHb8bMCHCqPXfvJNjHuy5sAjvIuUEfr6V2tZr/Z+7qA6dskixNmhr4/9fvn8Ag7QQaGP8/a1bU/64Ntf8/fvsAthjiqPD/dSsKwHjevin//wIthfFhOHlaEPGW5s6JBVtatjj9v3+HzX/vVnOwxa8+Poen3Mnb2v/vu7wdL+5cX0Na8LauKf9/+eG5/28/v/7/4eu7/7eeXQcHmz0w6+BLucTgwV/2DmlLAavj9Hvj7rWGAAAAAElFTkSuQmCC"); background-position: 50% center;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size: cover; display: inline-block;"&gt;&lt;/span&gt;&lt;/div&gt;&lt;/div&gt;&lt;div data-v-0d1d61dc="" class="q2ujYHpM" style="box-sizing: border-box; align-items: center; display: flex;"&gt;&lt;a data-v-0d1d61dc=""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se5r0hRb"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9rem;"&gt;&lt;span data-v-0d1d61dc="" class="P-VrUFa6 IhXNnUqE" style="box-sizing: border-box; height: 14px; width: 47px; background-image: url("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ADIAAAAPCAYAAACm25zCAAAACXBIWXMAAAsTAAALEwEAmpwYAAAAtGVYSWZJSSoACAAAAAYAEgEDAAEAAAABAAAAGgEFAAEAAABWAAAAGwEFAAEAAABeAAAAKAEDAAEAAAACAAAAEwIDAAEAAAABAAAAaYcEAAEAAABmAAAAAAAAAEgAAAABAAAASAAAAAEAAAAGAACQBwAEAAAAMDIxMAGRBwAEAAAAAQIDAACgBwAEAAAAMDEwMAGgAwABAAAA//8AAAKgBAABAAAAMgAAAAOgBAABAAAADwAAAAAAAACboHkMAAADFklEQVR4nOVWS6hNURi+lHfect3rOPu11tpr7fsgp5BXykVyyzuK8jYwESVGXI+kGGBECiFhIBliICEDpYyUlAGZSMrgGuD6/rX3umfffdbZ+8REWfXVOev8+1//9/3/+vZpavqflseidR6Xd5o7O0f9aQ7G2BiPq648+H7nZBNPZ7lc7s6DI4QccIgfhh0o9IsNJc6nukwexkF95XLHePMM9pZi71Q+oln9YuAz5ciDz+Wa/ppAyuXqpRVMvaZ4kNk1gIjjTB8H1dengaDLFOw40RQbEYeHW7H/0A71NHuQIeIGamUjHaxUKkPqdo9Fm6xEzJoWhq1BICuJ4icQ/KulpTLSEAF6GimEWp4ctKWGCEaizLlvQxiGo008iabPZOoz8M4GV6gN1gLw4FEqXn9m6grwMSEVE2HyFY1MIREezdDd5HJjlkguhNyZJYLuniFxbSgL4RURGex57c0Ok3OCQLXZRiu9MLezQXpHP5EgXKSJCLXc7OGyD6vXidyO5ADdvT6QgFaaLrfqzQT3osgHRUSSy91rvvss2hZ3pE1polC1nplkgeJuWMVi6hLE+mDtQIrIEqBbW6BQi31ftrdKOTGl+AE6hEyhESLIddzcL61uIGdmzaQegiCc6zN5qJag+o6cP2v2mXxUUxDaXwLzk3joGZR5CwXe4OHHlNj3/bF1hch2RETzMe/7s3HUUeTfi7x3ydlid5P3QHxfWjgas6J3ThVVi9eLbBZJP2mPZnIPdYgcSncDl572yRJNbHq2EXuBFLPNvRBikiYHIWJx5HtyP7pTwHYoesS4UCmKJlTFEPMKxxCi1KiavOD6bJaG/WP6N1c58XeoWORABkye1/m5WpjY6eZsfrjb6iS+K929el2AiayKHU0erCFSKpVG4IcnwDcUeluPC5OnUcB9fP6BvWvp7hU5ULYjjuMMR57nyPdVW3vskD3xixcKM/nC3KmiVbVmCxFaNDr4m7CCCFDhOPBq8mJcgJ8HNXJI3oqiaGisvjyLsbiJc24B5zwWriV7bjQPEUZtF90gXPa3Nf1z6zcX1JLptaDiCAAAAABJRU5ErkJggg=="); background-position: 50% center;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size: cover; display: inline-block;"&gt;&lt;/span&gt;&lt;/a&gt;&lt;/div&gt;&lt;/div&gt;&lt;div data-v-0d1d61dc="" style="box-sizing: border-box;"&gt;&lt;table data-v-17143ff8="" data-v-0d1d61dc="" class="Y-+V0XAB" style="border-color: inherit; text-indent: 0px; width: 819px;"&gt;&lt;tbody&gt;&lt;tr data-v-17143ff8="" style="box-sizing: border-box;"&gt;&lt;td data-v-17143ff8="" class="_3X66uTCs"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1rem 0px 0px; vertical-align: top; width: 270.328px;"&gt;&lt;div data-v-17143ff8="" class="-HKL-MhT"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54.328px;"&gt;&lt;div data-v-5ea46eae="" data-v-17143ff8="" class="mR5JdBZW EL-56IjH"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line-height: 1;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54.328px;"&gt;&lt;div data-v-5ea46eae="" class="UIcwIGxD"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 1 1 0%; flex-direction: column; padding: 0.1rem 0px 0px; width: 0px;"&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GQKfynMQ" style="box-sizing: border-box;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weight: 700; margin: 0px 0px 0.05rem;"&gt;착한가격 딱맞는 가까운이사&lt;/a&gt;&lt;div data-v-5ea46eae="" class="xMMRwWjA"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ont-size: 0.73rem; line-height: 1.1rem; margin-top: 0.07rem;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overflow: hidde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_3I3kosN1"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text-wrap: nowrap;"&gt;www.가까운이사.kr&lt;/a&gt;&lt;/div&gt;&lt;div data-v-5ea46eae="" class="B54+u72s"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bkKCMoNH"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webkit-box-orient: vertical; -webkit-line-clamp: 3; display: -webkit-box; font-size: 0.72rem; line-height: 1.2; margin: 0.2rem 0px 0px; overflow: hidden; word-break: break-all;"&gt;관악구학생이사,카톡무료견적,전국서비스,용달/도움/반포장,카드환영,소형이사 전문&lt;/a&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td&gt;&lt;td data-v-17143ff8="" class="_3X66uTCs"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1rem 0px 0px; vertical-align: top; width: 270.328px;"&gt;&lt;div data-v-17143ff8="" class="-HKL-MhT"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54.328px;"&gt;&lt;div data-v-5ea46eae="" data-v-17143ff8="" class="mR5JdBZW EL-56IjH"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line-height: 1;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54.328px;"&gt;&lt;div data-v-5ea46eae="" class="UIcwIGxD"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 1 1 0%; flex-direction: column; padding: 0.1rem 0px 0px; width: 0px;"&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GQKfynMQ" style="box-sizing: border-box;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weight: 700; margin: 0px 0px 0.05rem;"&gt;세계로지스&lt;/a&gt;&lt;div data-v-5ea46eae="" class="xMMRwWjA"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ont-size: 0.73rem; line-height: 1.1rem; margin-top: 0.07rem;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overflow: hidde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_3I3kosN1"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text-wrap: nowrap;"&gt;blog.naver.com/pajuquick&lt;/a&gt;&lt;/div&gt;&lt;div data-v-5ea46eae="" class="B54+u72s"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bkKCMoNH"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webkit-box-orient: vertical; -webkit-line-clamp: 3; display: -webkit-box; font-size: 0.72rem; line-height: 1.2; margin: 0.2rem 0px 0px; overflow: hidden; word-break: break-all;"&gt;전국15분픽업, 전직원적재물배상보험가입, 현금10만원 마일리지자동적립, 월결제환영&lt;/a&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td&gt;&lt;td data-v-17143ff8="" class="_3X66uTCs" style="box-sizing: border-box; padding: 0px; vertical-align: top; width: 270.344px;"&gt;&lt;div data-v-17143ff8="" class="-HKL-MhT"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70.344px;"&gt;&lt;div data-v-5ea46eae="" data-v-17143ff8="" class="mR5JdBZW oi7FT5Ij EL-56IjH"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line-height: 1; margin-top: 0p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padding: 0px; width: 270.344px;"&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RsfN+qid"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align-self: flex-start;"&gt;&lt;img data-v-5ea46eae="" src="https://i.namu.wiki/i/_2LDBUn9IvsqqBqxYWFqKhadpKqzN-Pph0XjBG_CVxr0cvh0J9zjfuB1tEojDrnOiEMI8KP4-ISQpQVhYt-2oW5H-Bl31lx2chiI-2QYDPAkALLzqd01FooqinzWVNFRKaJafYVJ3xcmwWiiZQKPIJ6Hu3NC2wnQwxM6bcYhRfvapHyEikZA5T8PTHNX8OfCMhRqoeuCLmt6AsVZMNa_usUiGMHuFusAQO6vgyDOaakXXIVGP8t7WHBvsMW9TXjhw-UJ07oloUl8rESyCi-JrslNRPPrkZ4MSR2N2YMCm2tixjWztvVMw-0wmCA-tDw_.png" class="_5DQf0fij"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radius: 4px; height: 4rem; margin: 0px 0.6rem 0px 0px; width: 4rem;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a&gt;&lt;div data-v-5ea46eae="" class="UIcwIGxD"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 1 1 0%; flex-direction: column; padding: 0.1rem 0px 0px; width: 0px;"&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GQKfynMQ" style="box-sizing: border-box;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weight: 700; margin: 0px 0px 0.05rem;"&gt;서경석과 함께 이사방&lt;/a&gt;&lt;div data-v-5ea46eae="" class="xMMRwWjA"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ont-size: 0.73rem; line-height: 1.1rem; margin-top: 0.07rem;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 overflow: hidde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_3I3kosN1"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overflow: hidden; text-overflow: ellipsis; text-wrap: nowrap;"&gt;www.isabang.co.kr&lt;/a&gt;&lt;img data-v-5ea46eae="" src="https://i.namu.wiki/i/VyOrdfD3Cay6ZkKb-Obf53rzhYDTBNZg1nQbXZAvCtw.png" class="lddj0Gpu TZPi6cU3"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0px -4px 0.5rem; height: 16px; width: 14px; 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00%;"&gt;&lt;/div&gt;&lt;div data-v-5ea46eae="" class="B54+u72s"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gt;&lt;div data-v-5ea46eae="" class="VenhAiq1"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0px 0.05rem;"&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QfcqfOSd"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72rem;"&gt;포장이사&nbsp;&lt;/a&gt;&lt;span data-v-5ea46eae="" class="GUftp1TA"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QfcqfOSd"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72rem;"&gt;&nbsp;보관이사&nbsp;&lt;/a&gt;&lt;span data-v-5ea46eae="" class="GUftp1TA"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QfcqfOSd"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72rem;"&gt;&nbsp;사무실이사&nbsp;&lt;/a&gt;&lt;span data-v-5ea46eae="" class="GUftp1TA"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QfcqfOSd"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font-size: 0.72rem;"&gt;&nbsp;원룸용달이사&lt;/a&gt;&lt;/div&gt;&lt;a data-v-5ea46eae=""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 class="bkKCMoNH"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webkit-box-orient: vertical; -webkit-line-clamp: 3; display: -webkit-box; font-size: 0.72rem; line-height: 1.2; margin: 0.2rem 0px 0px; overflow: hidden; word-break: break-all;"&gt;정식허가업체,ISO인증,2023대한민국소비자만족도1위 ,합리적인 가격, 무료견적&lt;/a&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td&gt;&lt;/tr&gt;&lt;/tbody&gt;&lt;/table&gt;&lt;/div&gt;&lt;/div&gt;&lt;/div&gt;&lt;div data-v-464e8322="" data-v-7b85ba46="" class="PKVGg+7B"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top: 1px solid rgb(119, 119, 119); margin: 1.5em 0px; padding: 0.5em 0px;"&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lt;/a&gt;&nbsp;그래서 영미권 기사에서 한국의 인터넷 유저들을 표현할 때 네티즌이라는 단어를 큰따옴표로 수식하며 쓴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2]&lt;/a&gt;&nbsp;비슷한 예시로 외국 유튜버들은 유튜브 시청자를 그냥 유튜브라고 부른다. "Hello, YouTube!"라는 인삿말이 이를 잘 보여준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3]&lt;/a&gt;&nbsp;예시:&nbsp;&lt;a class="eLaQGXlY" href="https://www.globaltimes.cn/content/1166467.shtml" target="_blank" rel="nofollow noopener" title="https://www.globaltimes.cn/content/1166467.shtml"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0, 153, 0) !important;"&gt;Chinese netizens hail Apple’s removal of app that aids HK rioters&lt;/a&gt;&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4]&lt;/a&gt;&nbsp;홈페이지를 다듬은 말이지만 일반인들이 쓰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학교 홈페이지나 교과서 혹은 정부 기관 홈페이지 같은 곳에서만 쓴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5]&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6%8C%EC%85%9C%20%EB%84%A4%ED%8A%B8%EC%9B%8C%ED%81%AC%20%EC%84%9C%EB%B9%84%EC%8A%A4" title="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t;/a&gt;를 순화한 단어로 교과서 외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6]&lt;/a&gt;&nbsp;블로그의 순화어.&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7]&lt;/a&gt;&nbsp;2000년대 중반 인기 예능 프로였던 '상상플러스'의 '세대공감 OLD &amp; NEW'에서 젊은층의 세대들이 쓰는 말이라며 뜬금없이 소개되었는데, 당시 네티즌들은&nbsp;&lt;spa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font-weight: bolder;"&gt;이런 말이 있는지도 몰랐다는 게 대다수 반응&lt;/span&gt;이었다. 특히 이 프로에서 젊은층의 세대들이 쓰는 재미나고 기발한 말들을 퀴즈 형식으로 풀어나가면서 재미를 챙기는 거라 인기가 많았는데 그 젊은층의 세대들도 모르는 말이 나와버려서 해당 회차는 많은 혹평을 받았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8]&lt;/a&gt;&nbsp;반말까지 아니더라도 서양 네티즌들마저 일상생활이었으면 일반인이 모를 희화화적인 밈 등의 은어로 대화하는 추세고 자정작용이 없다. 희화화의 범위가 자학이라면 상관없지만 타인을 비방하는 방향으로 악화되는 중이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9]&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8%B8%EC%9D%98%EA%B0%80%20%EA%B3%84%EC%86%8D%EB%90%98%EB%A9%B4%2C%20%EA%B7%B8%EA%B2%8C%20%EA%B6%8C%EB%A6%AC%EC%9D%B8%20%EC%A4%84%20%EC%95%8C%EC%95%84%EC%9A%94" title="호의가 계속되면, 그게 권리인 줄 알아요"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호의가 계속되면, 그게 권리인 줄 알아요&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9%B4%EC%A0%84%EC%97%90%EC%84%9C%20%EB%AC%B8%20%EB%8B%AB%EA%B8%B0%20%EA%B8%B0%EB%B2%95" title="면전에서 문 닫기 기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면전에서 문 닫기 기법&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1%B0%EC%A7%93%EB%A7%90%EC%9D%80%20%ED%95%98%EC%A7%80%20%EC%95%8A%EB%8A%94%EB%8B%A4" title="거짓말은 하지 않는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거짓말은 하지 않는다&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9%88%EC%87%BC%ED%95%91" title="홈쇼핑"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홈쇼핑&lt;/a&gt;&nbsp;광고에서 사용되는 화술 등&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0"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0]&lt;/a&gt;&nbsp;Cohen &amp; Davis, 1981, Medication errors: Causes and prevention.; Cialdini, 1989, Agents of influence: Bunglers, smugglers, and sleuths&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1"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1]&lt;/a&gt;&nbsp;이데올로기가 냉전부터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았기 때문에 한국에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3%89%EC%A0%84" title="냉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냉전&lt;/a&gt;만을 떠올리지만 실제론 일제, 보수, 우파, 진보, 좌파, 운동권,&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0%98%EA%B3%B5" title="반공"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반공&lt;/a&gt;, 친북, 종북,&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98%EB%AF%B8%EB%8B%88%EC%A6%98" title="페미니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페미니즘&lt;/a&gt;&nbsp;등도 이데올로기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이데올로기를 가진 사람 중&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F%99%EC%A1%B0%EC%99%80%20%EB%B3%B5%EC%A2%85" title="동조와 복종"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동조와 복종&lt;/a&gt;&nbsp;원리에 완전히 자유로운 사람은 없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2"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2]&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BD%94%EC%9D%B8%EC%B6%A9" title="코인충"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코인충&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D%90%EA%B1%B0%EC%A7%80" title="뽐거지"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뽐거지&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F%B0%EC%A7%80%EC%82%AC%EA%B8%B0" title="폰지사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폰지사기&lt;/a&gt;범,&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B%A4%EB%8B%A8%EA%B3%84" title="다단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다단계&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B%A0%EC%9E%90%EC%9C%A0%EC%A3%BC%EC%9D%98" title="신자유주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신자유주의&lt;/a&gt;. 특히 신자유주의 진영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4%9C%EB%B8%8C%ED%94%84%EB%9D%BC%EC%9E%84%20%EB%AA%A8%EA%B8%B0%EC%A7%80%20%EC%82%AC%ED%83%9C" title="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lt;/a&gt;로 밑천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98%EC%9D%B4%EC%8A%A4%EB%B6%81" title="페이스북"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페이스북&lt;/a&gt;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7%88%ED%81%AC%20%EC%A0%80%EC%BB%A4%EB%B2%84%EA%B7%B8" title="마크 저커버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마크 저커버그&lt;/a&gt;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4%EB%A7%88%EC%A1%B4%EB%8B%B7%EC%BB%B4" title="아마존닷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아마존닷컴&lt;/a&gt;의&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C%ED%94%84%20%EB%B2%A0%EC%9D%B4%EC%A1%B0%EC%8A%A4" title="제프 베이조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제프 베이조스&lt;/a&gt;가 벤치마킹하는 등 여전히 반성이 없어 평범한 시민들의 적개심도 사고 있지만 진보와 좌파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E%98%EB%AF%B8%EB%8B%88%EC%A6%98" title="페미니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페미니즘&lt;/a&gt;과&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95%EC%B9%98%EC%A0%81%20%EC%98%AC%EB%B0%94%EB%A6%84" title="정치적 올바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정치적 올바름&lt;/a&gt;&nbsp;진영이 타파해야 할 1순위다. 당연히 보수와 우파 입장에선 양대 기업이 구축한 체계가 무너질지도 모르는 일이니 반대한다. 보수와 우파는 페이스북과 아마존닷컴의 독과점 횡포를 옹호한다기보다 일시적으로 대기업의 물류 운송 체계와 급여 체계가 멈추면 그로 인해 벌어질 혼란이 사소한 희생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반대하며, 진보와 좌파는 이를 신자유주의에 영합하는 움직임으로 간주한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3"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3]&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F%B8%EB%84%A4%EB%A5%B4%EB%B0%94%20%EC%82%AC%EA%B1%B4" title="미네르바 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미네르바 사건&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A%B2%BD%EA%B3%B5%EB%AA%A8" title="경공모"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경공모&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3%80%EC%A7%84%EC%9A%94" title="타진요"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타진요&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5%9C%EA%B0%95%20%EC%9D%98%EB%8C%80%EC%83%9D%20%EC%8B%A4%EC%A2%85%20%EC%82%AC%EA%B1%B4" title="한강 의대생 실종 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반진사&lt;/a&gt;&nbsp;등&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4"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4]&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9%98%EB%B9%A0" title="환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환빠&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C%EB%BD%95" title="일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일뽕&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4%91%EB%BD%95" title="중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중뽕&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6%8C%EB%B9%A0" title="소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소빠&lt;/a&gt;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9F%AC%EB%B9%A0" title="러빠"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러빠&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2%85%EB%B6%81%EC%A3%BC%EC%9D%98%EC%9E%90" title="종북주의자"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종북주의자&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9%B4%EB%9D%BC%EC%9D%B4%ED%8A%B8" title="뉴라이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뉴라이트&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4%A4%EC%98%A4%20%EB%82%98%EC%B9%98" title="네오 나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네오 나치&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KKK" title="KKK"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KKK&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C%80%EC%95%88%20%EC%9A%B0%ED%8C%8C" title="대안 우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대안 우파&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84%B7%20%EC%9A%B0%EC%9D%B5" title="넷 우익"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넷 우익&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QAnon" title="QAnon"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QAnon&lt;/a&gt;&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5"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5]&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B0%95%EC%A0%95%ED%9D%AC" title="박정희"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박정희&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A0%84%EB%91%90%ED%99%98" title="전두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전두환&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5%98%EB%82%98%ED%9A%8C" title="하나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하나회&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1%9C%EB%93%9C%EB%A6%AC%EA%B3%A0%20%EB%91%90%ED%85%8C%EB%A5%B4%ED%85%8C" title="로드리고 두테르테"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로드리고 두테르테&lt;/a&gt;&nbsp;군벌,&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B%AF%B8%EC%96%80%EB%A7%88%EA%B5%B0" title="미얀마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미얀마군&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4%EC%8A%A4%EB%9D%BC%EC%97%98" title="이스라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이스라엘&lt;/a&gt;&nbsp;극우,&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95%98%EB%A0%88%EB%94%A4" title="하레딤"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하레딤&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D%B4%EC%8A%AC%EB%9E%8C%20%EA%B7%BC%EB%B3%B8%EC%A3%BC%EC%9D%98" title="이슬람 근본주의"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이슬람 근본주의&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6%8C%EB%A7%90%EB%A6%AC%EC%95%84" title="소말리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소말리아&lt;/a&gt;로 대표되는 아프리카 군벌&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6"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6]&lt;/a&gt;&nbsp;주로 웹툰, 웹소설, 일러스트레이터,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카페,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서 활동하는 예술가 혹은 지망생 등&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7"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7]&lt;/a&gt;&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5%84%EC%B2%AD%EB%B2%95" title="아청법"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아청법&lt;/a&gt;이 실효성이 없는 보여주기식 법이라고 논쟁의 대상이 되었을 때&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E%90%EC%9D%B4%EB%A1%9C%EC%9A%B0" title="자이로우"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자이로우&lt;/a&gt;의 일본으로 완전히 떠나겠다는 말에 응원해주긴커녕 조롱해주는 트위터리안이 많았고,&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D%8A%B8%ED%8E%98%EB%AF%B8" title="트페미"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트페미&lt;/a&gt;&nbsp;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 평범한 의사가 트위터리안들의 비틀린 괴물성을 견디지 못해 일주일도 안 돼서 나갔고, 온라인 페미니즘 진영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4%B1%ED%8F%AD%EB%A0%A5%20%EB%AC%B4%EA%B3%A0%EC%A3%84" title="성폭력 무고죄"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성폭력 무고죄&lt;/a&gt;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84%B1%EC%9D%B8%EC%A7%80%20%EA%B0%90%EC%88%98%EC%84%B1" title="성인지 감수성"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성인지 감수성&lt;/a&gt;이 결합된&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EC%9C%A0%EC%A3%84%EC%B6%94%EC%A0%95%EC%9D%98%20%EC%9B%90%EC%B9%99" title="유죄추정의 원칙"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유죄추정의 원칙&lt;/a&gt;만 믿고 기고만장하다가&nbsp;&lt;a class="F3tpSOu3" href="https://namu.wiki/w/SJ%EB%A0%88%EC%8A%A4%ED%86%A0%EB%9E%91%20%EB%B6%88%EB%A7%A4%EC%9A%B4%EB%8F%99%20%EC%82%AC%EA%B1%B4" title="SJ레스토랑 불매운동 사건"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 cursor: pointer;"&gt;SJ레스토랑 불매운동 사건&lt;/a&gt;을 일으켰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8"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8]&lt;/a&gt;&nbsp;물론 대다수의 네티즌들이 반폐인처럼 좌절한 원인이 그들 자신의 좋지 않은 환경이라 일시적인 미봉책에 불과하다.&lt;/span&gt;&lt;span class="p9F6SLti"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display: block; line-height: 1.75; margin-bottom: 0.5em; word-break: break-all;"&gt;&lt;span id="fn-1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gt;&lt;/span&gt;&lt;a href="https://namu.wiki/w/%EB%84%A4%ED%8B%B0%EC%A6%8C#rfn-19" data-v-7b85ba46=""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19]&lt;/a&gt;&nbsp;물론 한국 개신교의 병폐는 비판받아야 마땅하다.&lt;/span&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div&gt;&lt;div class="ccRtAbf1"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top: var(--article-seperator-width-var) solid var(--card-border-color); font-size: 0.9rem; margin: var(--article-seperator-gap-var) calc(var(--article-gutter-right-var)*-1) 0 calc(var(--article-gutter-left-var)*-1); padding: var(--article-seperator-gap-var) var(--article-gutter-right-var) 0 var(--article-gutter-left-var); text-align: right; transition: border-color 0.05s ease-in 0s; color: rgb(33, 37, 41); font-family: Pretendard,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Apple SD Gothic Neo", "Noto Sans KR", "Noto Sans CJK KR", NanumGothic, Roboto, "Segoe UI", "Malgun Gothic", "Apple Color Emoji", "Segoe UI Emoji", "Segoe UI Symbol", sans-serif;"&gt;&lt;p data-v-747e3054=""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right: 0px; margin-left: 0px;"&gt;&lt;img alt="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src="https://namu.wiki/img/cc-by-nc-sa-2.0-88x31.png" width="88" height="31" style="box-sizing: border-box; border-width: 0px;"&gt;&lt;br style="box-sizing: border-box;"&gt;이 저작물은&nbsp;&lt;a rel="license" href="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2.0/kr/" target="_blank" style="box-sizing: border-box; text-decoration-line: none; transition: color 0.05s ease-in 0s;"&gt;CC BY-NC-SA 2.0 KR&lt;/a&gt;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lt;br style="box-sizing: border-box;"&gt;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lt;br style="box-sizing: border-box;"&gt;&lt;br style="box-sizing: border-box;"&gt;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lt;br style="box-sizing: border-box;"&gt;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lt;/p&gt;&lt;/div&gt;<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2일 Tuesday PM 01:16:56 이윤찬 Tue, 12 Aug 2025 13:16:56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2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PC 버전 카카오스토리가 브라우저 설정을 확인하라며 현재 로그인이 안되는데 요새 이거 왜 그래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8 카카오스토리 PC 버전에 로그인을 시도하면 아이디 패스워드가 맞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걸리면서 로그인이 안됩니다. 이 오류는 무엇이고 갑자기 왜 이런 오류가 뜨면서 로그인이 안되는 것인가요? 뭔가 많이 이상합니다. <br />아시는 분... <br /> <br />[그림]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PC_버전_카카오스토리가_브라우저_설정을_확인하라며_현재_로그인이_안되는데_요새_이거_왜_그래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11일 Monday PM 05:52:15 이윤찬 Mon, 11 Aug 2025 17:52:1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윈도우즈를 비롯한 안드로이드 태블릿, 아이팟터치4세대 등에서 발생했던 IT 기기들의 버튼은 눌렸는데 동작을 안하는 증상이 좀 심각합니다. 누군가 로우레벨 차원의 분석을 속시원히 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씁쓸합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1 2025.08.07 <br />저도 요새 마우스 우클릭이 고장나서 마우스 3개를 새로 구매했는데 매형도 마우스가 클릭이 안된다고 해서 뭔가 악성코드 동작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네요. 여러분은 그런 의심 안드시나요? <br /> <br />이렇게 주변 사람도 똑같은 문제를 겪으니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br /> <br />2025.08.07 <br />형은 가족들 쓰는 마우스가 하도 고장이 자주 나서 비싼거나 싼 거나 똑같이 고장나니까 알리에서 싼 거 여러개를 구입해 놨다는데 이런 주변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뭔가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는거 같습니다. <br /> <br />엠피지오 레전드8 태블릿도 전원 버튼이 눌렸는데도 화면이 들어오지 않는 증상이 곧잘 발생하고 있지요. 왜 이런 일들은 연례행사처럼 발생하는지 하드웨어 모니터링 차원의 분석도 누군가 있어줘야 할 것 같은데 일전에 제가 챗GPT에게 "지식 챗봇 for 네티즌 세상을 위하여..." 통해 엠피지오 레전드 뉴 8 태블릿이 왜 전원 버튼을 눌러도 화면이 계속 안들어오다가 가끔씩 들어오냐고 물어봤을 때 전술했던 것처럼 전원 버튼은 눌린 신호가 떨어졌는데 화면이 안켜지는 증상이 있다고 분명히 이야기를 한 걸 기억하기 때문에 이런 의구심은 더욱 증폭됩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7일 Thursday PM 12:42:00 이윤찬 Thu, 07 Aug 2025 12:42:0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1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SNS 이윤찬 - 어제 동네 손님 컴에서 대통령실로 탄원서를 제출하는 루트인 신문고 사이트 회원가입이 안돼 한참 애를 먹고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7 그 분이 pdf 첨부 파일과 mp4 동영상 파일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걸 대통령실로 첨부해 보내기 위해선 기존 서신 내용 기술만 가능한 국민사서함 창구로는 안되고 이렇게 극민 신문고를 통한 첨부 파일 형태가 가능해야 하는데 그 분 아는 지인이 대신해 탄원서를 제출했다는 기존 페이스북에서의 제출은 탄원서가 올바르게 전달이 됐는지 확인할 길이 없다는 부연 설명을 하시면서 저보고 도움을 요청한 건데 챗GPT 통해 신문고 시스템으로 대통령실로 탄원이 가능하다는 걸 알고서 어제 6시까지 신문고 회원 가입을 시도했지만 간편인증은 네이버에서 인증 확인이 안보이고 문자인증은 인증번호까지는 배달이 오지만 인증번호를 쳐넣고 인증을 완료하여 회원가입 단계로 넘어가지 않고 팝업 창이 아래 [그림1]과 같이 열리고 나서 백지로 페이지가 가만히 멈춰있는 증상이 계속되었습니다. <br /> <br />그래서 이재명 정부 들어 정책브리핑 사이트 통해 국민사서함 창구를 알고 있었던 저로선 이 분에게 도움을 드릴 수 없었고 기존 대통령실 사이트나 정책브리핑 등에서 보였던 관련 창구에 대한 홍보 배너나 전용 메뉴는 한차례 이벤트처럼 진행이 된 후로 현재 모두 내려가 있는 상태라서 현재 유일하게 이 분에게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방법은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간판급이라는 신문고 회원가입 뿐이어서 참으로 난감한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br /> <br />물론 어제 신문고 회원가입 진행이 인증 완료 단계에서 막혀 신문고 시스템 담당자 전화번호로 한 20분간 통화를 시도했지만 먼저 걸려온 전화를 받고 있다면서 연결이 지연되다가 오후 6시가 넘어 담당자 통화에 실패하고 오늘 오후 1시 30분 이후에 다시 찾아뵙기로 하고 전 집에 온 것이거든요. <br /> <br />이것이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초기라서 관련 시스템들이 반짝 이벤트 식으로 펼쳐졌다가 사라졌는지는 모르겠지만 항구적인 대통령실로의 채널 마련이 아쉬웠다는 점입니다. <br /> <br />여러분은 혹시 이재명 대통령께 이런 탄원 제출하면서 비슷한 불편 겪으신 적은 없으신지... <br /> <br />전 이번 일을 겪으면서 신문고의 문제점도 엿볼 수 있었고 평소 신문고를 자주 이용해봤던 사람으로서 왜 신문고가 이런 기본적인 신규 회원 가입을 막아두었을까 하고 솔직히 단순 시스템 장애란 개연성보다 고의적 조치가 아니었을까 하는 의구심이 좀 들었습니다. <br /> <br />뭔가 기존 신문고 회원들에게만 기득권을 제공하고 신규 회원은 받지 않겠다는 국민권익위원회 시스템 담당자 차원의 독단 같은거 말입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신문고_문자_인증_완료_안떨어지면서_회원가입_진행_안되는_화면.jpeg' align='' width='2048' height='1536'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7일 Thursday AM 11:27:30 이윤찬 Thu, 07 Aug 2025 11:27:30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요새 계속 삼성산 성지 인근 삼호약수에서 카스를 하다 업로드에 실패해서 통화품질 부서에 전활 했더니 기사 나와서 하는 말이 거긴 산이라서 어쩌구저쩌구 하길래 참고 있던 화가 폭발했습니다.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0 예전에 KT 무선 통신망이 악화되기 전엔 호암산 정상도 되고 호압사 인근도 됐었다고 말히니 그래도 어쨌든 산이라고 말하는 기사 아저씨 말에 화가 폭발했습니다. <br /> <br />기사 아저씨가 측정했다는 삼성산 피정의집 있는 데 삼성산 청소년 수련관 인근에서의 속도를 측정했다는 다운로드 235Mbps, 업로드 27Mbps 가 믿을 수 있는 정보인지도 의심스럽지만 문자로 이 속도 정보를 전달한 걸 보고 제가 말했던 장소는 거기서 약간만 올라가면 있는 삼성산 천주교 성지 있는 데 삼호약수 인근 육각정 있는 데라고 했더니 어쨌든 거긴 산이라는 말에 화가 폭발했습니다. <br /> <br />통신회사가 아무리 산 지역의 커버리지를 포기한다고 하더라도 이용자들이 산에서 보내는 시간이 엄연히 많은 상황에서 어느 정도는 인근 산책길 정도는 당연히 커버를 해줘야 하는데 이렇게 동네 호암로 4차선 도로에서 언덕으로 300~400미터 정도만 올라가면 있는 육각정 휴게소가 산이라고 말하며 KT의 낮은 품질의 통신망 서비스를 두고 책임 회피에만 급급한 기사 아저씨를 보고 있자니 정말 울화통이 터지더라구요. <br /> <br />그래서 다른 말 다 필요 없고 그 쪽 지역은 산이라고 하기엔 너무 동네와 가깝고 낮아서 당연히 돼야 하는 지역이라고 말하고 여기 속도가 안나와서 인터넷이 끊기거나 하면 통신회사를 옮기든지 하겠다고 말하고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었습니다. <br /> <br />제가 호암산 정상이나 호압사 인근까지 등산을 안가는 것도 억울한데 여긴 그런 고산지대도 아니고 어느 정도 커버리지를 해줘야 하는 지역인데 이런 식으로 KT가 나오니까 정말 정나미가 떨어지더라구요. <br /> <br />그래서 예전에 썼던 글 링크를 여러분께 보여드리며 오늘 푸념은 여기서 마칩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613"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asket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58#429" target="_blank">관련글2</a> <br /> <br /><추신> <br />다음엔 이 육각정에서 카스가 안될 때 그게 카스 앱만 그런 건지 아니면 다른 사파리 브라우저의 웹사이트도 안열리는지 면밀히 확인해 상황 판단을 하겠습니다. 당시도 아이폰13 상단에 안테나 갯수가 적었던 기억이 있었기 때문에 카스 앱 문제일 확률은 현재로선 적습니다. <br /> <br /><추신2> <br />또 KT가 요새 웃기는 게 전 엄연히 5G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는데 평소 동네에서나 외부 건물 실내, 대부분의 야외에서 최저 속도로 연결되는 LTE 통신망을 사용한다는 점이고 그나마 이렇게 아파트 지하나 이처럼 인근 산 언덕배기, 육각정 등에선 그나마 LTE 조차도 품질이 안나와준다는 점입니다. 이것도 도저히 용서가 안됩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4일 Monday PM 01:10:36 이윤찬 Mon, 04 Aug 2025 13:10:36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40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어제 AMD 레고르 260 CPU, 8GB 램(4GB만 윈도우즈10에서 인식) 본체가 사용 중 삑 소리가 길게 나면서 팬만 돌고 부팅 로고도 보이지 않고 전혀 부팅이 불가한 증상이 다시 발생하여 메인보드를 완전히 분해 후 테스트 해서 버리고 오늘 챗GPT-o3에게 형이 말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의혹이 가는 대목을 집중 물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9 최근 제 메인보드들이 연이어 바이오스 손상을 입은 사건에 대하여 챗GPT는 끝까지 악의적 ROM 손상 여부는 직접 장비를 통해 패턴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br /> <br />아래 공유링크가 여태까지 챗GPT와 토론한 내용입니다. 앞의 질답들은 o3, 맨 끝에서 두번째 질문은 이용 한도에 도달해 4o 로 답변한 내용, 마지막 답변은 다시 한도가 갱신돼 o3 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br /> <br />흐름은 비숫하네요. 근데 윈도우즈에서 바이오스 ROM을 손상시키면 패턴은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br /> <br /><b>아래 챗GPT 공유 링크 마지막 질문과 답변에서도 나오지만 『즉, 윈도우가 자동으로 BIOS를 망가뜨렸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전원계통-노화-취약 드라이버 같은 다른 변수가 먼저 의심되는 게 보통이다.』 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6" target="_blank">우리가 보통 읽기 쓰기가 가능한 USB 메모리로 플래시 DVD 롬을 만들었다고 해도 실제 DVD가 아닌 이상 공격자에 의해 변조가 가능했었던 것</a>처럼 이 바이오스 플래시 롬의 데이타도 운영체제에 의해 이론적으로 변조가 가능하다는 게 핵심입니다.</b> <br /> <br />이렇다면 결론은 다 나온 것 아닌가요? 이런 고장에 챗GPT가 아무리 전원부 서지회로 이상을 주원인으로 꼽고 있어도 제가 이번에 레고르 260 본체가 고장나는 과정을 블루스크린 등 지켜봤을 땐 운영체제의 증상 조작과 의도적 손상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보였다란 사실입니다. <br /> <br />부팅 과정에서 보이는 체크썸 에러나 윈도우즈 사용 중 PC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삑 소리가 길게 들리면서 바이오스가 망가지는 현상 등이 그걸 잘 말해 줍니다. <br />ㅡ_ㅡ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8e9c0c-2838-8009-8846-77f9ac3aec59 <br /> <br />[해당 레고르 260 CPU와 하이닉스 4GB x 2개 램이 꼽힌 ASRock N68-VS3 FX 에즈윈 메인보드를 들어내어 부팅 시도했으나 쿨러만 돌고 부팅 로고 없이 먹통이라 전부 분해 후 폐기 처분]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720.jpeg' align='' width='3024' height='4031'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3일 Sunday AM 08:25:43 이윤찬 Sun, 03 Aug 2025 08:25:4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9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어제 AMD 레고르 260 CPU, 8GB 램(4GB만 윈도우즈10에서 인식) 본체가 사용 중 삑 소리가 길게 나면서 팬만 돌고 부팅 로고도 보이지 않고 전혀 부팅이 불가한 증상이 다시 발생하여 메인보드를 완전히 분해 후 테스트 해서 버리고 오늘 챗GPT-o3에게 형이 말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의혹이 가는 대목을 집중 물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6 최근 제 메인보드들이 연이어 바이오스 손상을 입은 사건에 대하여 챗GPT는 끝까지 악의적 ROM 손상 여부는 직접 장비를 통해 패턴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br /> <br />아래 공유링크가 여태까지 챗GPT와 토론한 내용입니다. 앞의 질답들은 o3, 맨 끝에서 두번째 질문은 이용 한도에 도달해 4o 로 답변한 내용, 마지막 답변은 다시 한도가 갱신돼 o3 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br /> <br />흐름은 비숫하네요. 근데 윈도우즈에서 바이오스 ROM을 손상시키면 패턴은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br /> <br /><b>아래 챗GPT 공유 링크 마지막 질문과 답변에서도 나오지만 『즉, 윈도우가 자동으로 BIOS를 망가뜨렸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전원계통-노화-취약 드라이버 같은 다른 변수가 먼저 의심되는 게 보통이다.』 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6" target="_blank">우리가 보통 읽기 쓰기가 가능한 USB 메모리로 플래시 DVD 롬을 만들었다고 해도 실제 DVD가 아닌 이상 공격자에 의해 변조가 가능했었던 것</a>처럼 이 바이오스 플래시 롬의 데이타도 운영체제에 의해 이론적으로 변조가 가능하다는 게 핵심입니다.</b> <br /> <br />이렇다면 결론은 다 나온 것 아닌가요? 이런 고장에 챗GPT가 아무리 전원부 서지회로 이상을 주원인으로 꼽고 있어도 제가 이번에 레고르 260 본체가 고장나는 과정을 블루스크린 등 지켜봤을 땐 운영체제의 증상 조작과 의도적 손상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보였다란 사실입니다. <br /> <br />부팅 과정에서 보이는 체크썸 에러나 윈도우즈 사용 중 PC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삑 소리가 길게 들리면서 바이오스가 망가지는 현상 등이 그걸 잘 말해 줍니다. <br />ㅡ_ㅡ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8e9c0c-2838-8009-8846-77f9ac3aec59 <br /> <br />[해당 레고르 260 CPU와 하이닉스 4GB x 2개 램이 꼽힌 ASRock N68-VS3 FX 에즈윈 메인보드를 들어내어 부팅 시도했으나 쿨러만 돌고 부팅 로고 없이 먹통이라 전부 분해 후 폐기 처분]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720.jpeg' align='' width='3024' height='4031'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3일 Sunday AM 08:25:43 이윤찬 Sun, 03 Aug 2025 08:25:4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어제 AMD 레고르 260 CPU, 8GB 램(4GB만 윈도우즈10에서 인식) 본체가 사용 중 삑 소리가 길게 나면서 팬만 돌고 부팅 로고도 보이지 않고 전혀 부팅이 불가한 증상이 다시 발생하여 메인보드를 완전히 분해 후 테스트 해서 버리고 오늘 챗GPT-o3에게 형이 말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의혹이 가는 대목을 집중 물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9 최근 제 메인보드들이 연이어 바이오스 손상을 입은 사건에 대하여 챗GPT는 끝까지 악의적 ROM 손상 여부는 직접 장비를 통해 패턴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br /> <br />아래 공유링크가 여태까지 챗GPT와 토론한 내용입니다. 앞의 질답들은 o3, 맨 끝에서 두번째 질문은 이용 한도에 도달해 4o 로 답변한 내용, 마지막 답변은 다시 한도가 갱신돼 o3 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br /> <br />흐름은 비숫하네요. 근데 윈도우즈에서 바이오스 ROM을 손상시키면 패턴은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br /> <br /><b>아래 챗GPT 공유 링크 마지막 질문과 답변에서도 나오지만 『즉, 윈도우가 자동으로 BIOS를 망가뜨렸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전원계통-노화-취약 드라이버 같은 다른 변수가 먼저 의심되는 게 보통이다.』 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6" target="_blank">우리가 보통 읽기 쓰기가 가능한 USB 메모리로 플래시 DVD 롬을 만들었다고 해도 실제 DVD가 아닌 이상 공격자에 의해 변조가 가능했었던 것</a>처럼 이 바이오스 플래시 롬의 데이타도 운영체제에 의해 이론적으로 변조가 가능하다는 게 핵심입니다.</b> <br /> <br />이렇다면 결론은 다 나온 것 아닌가요? 이런 고장에 챗GPT가 아무리 전원부 서지회로 이상을 주원인으로 꼽고 있어도 제가 이번에 레고르 260 본체가 고장나는 과정을 블루스크린 등 지켜봤을 땐 운영체제의 증상 조작과 의도적 손상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보였다란 사실입니다. <br /> <br />부팅 과정에서 보이는 체크썸 에러나 윈도우즈 사용 중 PC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삑 소리가 길게 들리면서 바이오스가 망가지는 현상 등이 그걸 잘 말해 줍니다. <br />ㅡ_ㅡ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8e9c0c-2838-8009-8846-77f9ac3aec59 <br /> <br />[해당 레고르 260 CPU와 하이닉스 4GB x 2개 램이 꼽힌 ASRock N68-VS3 FX 에즈윈 메인보드를 들어내어 부팅 시도했으나 쿨러만 돌고 부팅 로고 없이 먹통이라 전부 분해 후 폐기 처분]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720.jpeg' align='' width='3024' height='4031'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3일 Sunday AM 08:25:43 이윤찬 Sun, 03 Aug 2025 08:25:4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9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어제 AMD 레고르 260 CPU, 8GB 램(4GB만 윈도우즈10에서 인식) 본체가 사용 중 삑 소리가 길게 나면서 팬만 돌고 부팅 로고도 보이지 않고 전혀 부팅이 불가한 증상이 다시 발생하여 메인보드를 완전히 분해 후 테스트 해서 버리고 오늘 챗GPT-o3에게 형이 말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의혹이 가는 대목을 집중 물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6 최근 제 메인보드들이 연이어 바이오스 손상을 입은 사건에 대하여 챗GPT는 끝까지 악의적 ROM 손상 여부는 직접 장비를 통해 패턴을 확인해야 한다고 말하는데... <br /> <br />아래 공유링크가 여태까지 챗GPT와 토론한 내용입니다. 앞의 질답들은 o3, 맨 끝에서 두번째 질문은 이용 한도에 도달해 4o 로 답변한 내용, 마지막 답변은 다시 한도가 갱신돼 o3 로 답변한 내용입니다. <br /> <br />흐름은 비숫하네요. 근데 윈도우즈에서 바이오스 ROM을 손상시키면 패턴은 얼마든지 조작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br /> <br /><b>아래 챗GPT 공유 링크 마지막 질문과 답변에서도 나오지만 『즉, 윈도우가 자동으로 BIOS를 망가뜨렸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전원계통-노화-취약 드라이버 같은 다른 변수가 먼저 의심되는 게 보통이다.』 란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6" target="_blank">우리가 보통 읽기 쓰기가 가능한 USB 메모리로 플래시 DVD 롬을 만들었다고 해도 실제 DVD가 아닌 이상 공격자에 의해 변조가 가능했었던 것</a>처럼 이 바이오스 플래시 롬의 데이타도 운영체제에 의해 이론적으로 변조가 가능하다는 게 핵심입니다.</b> <br /> <br />이렇다면 결론은 다 나온 것 아닌가요? 이런 고장에 챗GPT가 아무리 전원부 서지회로 이상을 주원인으로 꼽고 있어도 제가 이번에 레고르 260 본체가 고장나는 과정을 블루스크린 등 지켜봤을 땐 운영체제의 증상 조작과 의도적 손상의 가능성도 상당히 높아보였다란 사실입니다. <br /> <br />부팅 과정에서 보이는 체크썸 에러나 윈도우즈 사용 중 PC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삑 소리가 길게 들리면서 바이오스가 망가지는 현상 등이 그걸 잘 말해 줍니다. <br />ㅡ_ㅡ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8e9c0c-2838-8009-8846-77f9ac3aec59 <br /> <br />[해당 레고르 260 CPU와 하이닉스 4GB x 2개 램이 꼽힌 ASRock N68-VS3 FX 에즈윈 메인보드를 들어내어 부팅 시도했으나 쿨러만 돌고 부팅 로고 없이 먹통이라 전부 분해 후 폐기 처분]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720.jpeg' align='' width='3024' height='4031'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3일 Sunday AM 08:25:43 이윤찬 Sun, 03 Aug 2025 08:25:4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요새 윈도우즈10 PC에서 USB 키보드와 마우스만 연결된 상태에서 자꾸 연결이 해제됐다 연결되는 듯한 딩동 소리가 자꾸 들린다는 것과 챗GPT 특정 대화 세션에서 추가 질문할 때 소스코드 등 내용 길어지면 맨 끝으로 커서가 이동이 안되면서 내용 이어붙이기가 불가능한 문제 외 1건.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5 <b>1.</b> 동네 교수님 윈도우즈10 PC에서도 그랬는데 제 레고르 260 컴 등 윈도우즈10 PC에서 USB 키보드와 마우스만 연결된 상태에서 USB 드라이버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처럼 딩동 딩동 인식이 됐다 안됐다 하는 듯한 딩동 소리가 간헐적으로 가끔 들립니다. <br /> <br />예전엔 전면 USB 포트에 외장 HDD 하드 연결 시 이 소리가 들리며 인식이 됐다 안됐다 했는데 이번엔 인식이 안되는 게 아니라 키보드와 마우스만 연결된 상태에서 이 소리가 계속 들리는 증상입니다. <br /> <br />교수님도 호소하셨지만 엄청 짜증이 나는 증상입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471#3096"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run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97#488" target="_blank">관련글2</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14" target="_blank">관련글3</a> <br /> <br /> <br /><b>2.</b> 챗GPT 첫 질문 상단이나 특정 대화 세션 하단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프롬프트 창 있잖아요. 여기 안에 긴 소스코드를 붙여넣기 후 내용을 이어붙이기 할 때 프롬프트 상자 안에서 끝까지 스크롤 바나 커서가 이동이 안돼 너무 불편한 증상이 새로 발생했습니다. <br /> <br />증상 재현이 안되시는 분들은 Ctrl+휠버튼 으로 브라우저 폰트를 확대 후 시도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게 프롬프트 상자 안에서 상단 맨 앞으로도 끝까지 스크롤바가 이동이 안되어서 위화살표로 불편하게 커서를 이용해야 하는 등 챗GPT의 프론트 페이지 질문 상자 스크롤과 커서 이동 동작이 뭔가 이상합니다. <br /> <br />여러분은 오늘 챗GPT 사용하면서 이런 불편함 못 겪으셨는지... <br /> <br />지금 게시판 동작의 작은 버그를 면밀히 분석해 수정하고 있는데 아침에 지방 내려가야 돼서 아까 마음은 급하고 질문 상자 내용 끝에서 다른 코드를 인용해 붙여넣기 해야 하는데 스크롤바가 끝까지 이동이 안되거나 커서 이동이 안돼 결국 제 개인 메모장에서 질문을 완성해 전체 내용을 복붙하는 방법으로 추가 질문의 답변을 받아야 했습니다. <br /> <br />매우 큰 불편인데 OpenAI는 이같은 버그를 프론트 페이지에 만들어놓고 유저들 불편을 초래하고 있네요. 당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엄청 답답하고 미처 질문을 완성하지도 못하고 실수로 엔터키를 누르게 되는 상황까지 연출합니다. <br /> <br /> <br /><b>3.</b> 아이폰13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다음과 같이 내용을 작성 후 WYSIWYG 모드로 변환 뒤 번호 1. / 2. / 3. 등에 볼드체 처리를 하기 위해 돋보기나 커서 위치를 오래 터치하는 방법으로 블럭 설정을 시도하면 숫제 안되거나 설사 여러번 반복 시도해서 선택이 되더라도 상단에 보이는 B 아이콘을 터치해 볼드체 처리 시도를 하면 선택이 그냥 블러가 되면서 볼드체 처리가 전혀 안됩니다. <br /> <br />이건 예전에도 여러번 제 게시판 위지윅 에디터에 들어있는 아이콘 패널들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m=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2566" target="_blank">여기 글 5번</a>에서 강조드렸지만 애플은 사파리에서 이 버그를 고치지 않거나 이런 식으로 계속적으로 개악을 시켰습니다. 정말 게시판을 개작해 이용하고 배포까지 하고 있는 이용자로서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br />ㅡ_ㅡ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713.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8월 02일 Saturday AM 08:32:18 이윤찬 Sat, 02 Aug 2025 08:32:18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i5-3570 CPU, 32GB 램 본체 웬디 하드 텍스트 데이타 파일에 마우스를 우클릭하면 거의 1분 넘게 시간이 걸리면서 단축 메뉴가 열리는데 윈도우즈10 왜 그래요? (6)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4 며칠 전 PC가 저절로 재부팅이 된 이후로 그랬는데 이거 왜 이래요? 웬디 500GB HDD 하드에 들어있는 텍스트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에 마우스를 대고 우클릭을 하면 이런데 이게 전 하드 고장 증상이 아닐까 하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봤는데 프로그램을 실행해 열기 메뉴로 파일을 열면 또 정상적으로 파일이 빨리 로딩이 되기 때문에 그 원인은 아니란걸 알았습니다. 윈도우즈10 파일 시스템이나 마우스 우클릭 단축 메뉴를 여는 윈도우즈10 프로시저에 뭔가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 요새 계속 이 증상 때문에 i5-3570 CPU, 32GB 램 본체의 사용 쾌적도가 확 떨어졌습니다. <br /> <br />꼭 이런 문제는 윈도우즈10 지원이 끝나는 시점에 발생하는데 전에도 말했지만 이런 세세한 문제점들이 윈도우즈10을 유저들이 신뢰하지 못하는 큰 원인을 제공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윈도우즈10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만 남겨두고 모든 서비스를 중지시키고 시작 프로그램도 모두 끄고 사용함으로써 소위 써드 파트 프로그램 문제 때문은 아닌데 결국 이런 증상을 야기한 건 MS 윈도우즈10의 내부 동작 뿐이라는 거잖아요. <br /> <br />현재는 저번에 재부팅되어 시스템 업데이트가 실행된 후 최적화 된 굼벵이 레고르260 CPU, 8GB 램(실제인식 4GB) 윈도우즈10보다도 이 i5-3570 CPU, 32GB 램 본체가 단축 메뉴 열리는 속도가 10배 이상 느립니다. 이걸 어찌 설명해야 할까요? 정말 우라질 일입니다.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30일 Wednesday PM 01:48:05 이윤찬 Wed, 30 Jul 2025 13:48:05 +0900 6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평소 제가 박스에 보관해 놓겠다는 걸 어머니가 가전제품 설명서를 하나 둘씩 다 가져가서 잃어버려놓고 저보고 오늘 삼성 블루윈 에어컨 설명서를 가져와 보라고 해서 싸움이 났습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3 제가 평소 어머니가 쿠쿠 밥솥이며 이번에 새로 산 LG 동글이 세탁기며 씽크대 삼성 전자렌지며 한솔 싱크대 한쪽에 들은 파세코 가스렌지며 린나이 가스 보일러며 이번에 잃어버린 블루윈 에어컨이며 LG 양문형 냉장고며 제가 다 매뉴얼을 잘 박스에 보관하고 있었던 걸 평소 하나둘씩 가져가신 다음 내어주시질 않아서 제가 한군데에 보관해 놓아야지 잃어버리질 않는다고 그렇게 강조하며 언성을 높였는데도 어머니 자기가 가지고 있겠다고 가져가셔서 아들 염장을 질러놓더니 이렇게 시간이 지나 그 설명서를 다시 찾으니 결국 어디 갔는지 분실이 돼서 제가 정말 속터지다 못해 화가 머리 끝까지 났습니다. <br /> <br />오늘도 삼성 블루윈 에어컨이 가동하다 저절로 꺼진다고 어머니가 그래서 제가 어머니가 무심코 전원 버튼을 푹 끈 건 아니냐고 물었더니 아니라고 해서 제가 매뉴얼을 보고 유사 케이스가 있는지 살펴보려고 했는데 아뿔사 또 어머니가 제가 박스에 보관해 놓았던 매뉴얼을 일전에 가져가신 후 잃어버리셨는지 박스에 포개져 있는 매뉴얼을 일일이 뒤져봤지만 없어서 오늘 제가 울화통이 터져서 어머니에게 굉장히 격하게 화를 냈습니다. <br /> <br />결국 아들 말 안듣고 매뉴얼을 빼가서 린나이 가스 보일러 매뉴얼 하나만 다용도실 문 옆에 걸어놓고 나머지는 다 잃어버려놓고 어이없게도 뒤늦게 이렇게 아들탓을 하시니 제가 속이 터지다 못해 엄청 화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오늘 제 방에 있던 매뉴얼 박스를 어머니한테 내던지면서 내가 다 이렇게 보관해 놓는데 엄마가 잃어버려놓고 왜 나한테 그러냐고 고성을 질렀습니다. <br /> <br />아버지는 그저 저희들이 싸우는게 듣기 싫어서 덩달아 화를 내고 계시니 이렇게 상황 파악 못하고 이기적으로 행동하시는 아버지까지 정말 할 말을 잃었습니다. <br /> <br />저는 가전제품을 사면 구입한 날짜와 보증기간을 표시해서 매뉴얼을 보관해 놓는데 어머니가 오늘 이러면서 제 염장을 질러서 오늘 저도 참다 못해 화가 폭발했네요. <br /> <br />&lt;추신&gt; <br />그래놓고 어머니는 제가 갖고 있는 서류 중에 일전에 어머니가 가져가겠다고 해서 가져가신 다음 모아놓은 서류들까지 오늘 다시 꺼내 놓으시더니 이게 다 뭐냐고 제가 먹는 약 처방전과 영수증 등 또 정리벽이 도지셔서 이게 다 뭐냐고 저한테 묻는데 제가 그게 다 엄마가 달라고 해서 뺏어간것 아니냐고 그랬더니 우이독경 이게 다 뭐냐고 자기가 가져가 놓고 이제와서 어지럽다고 생각하셨는지 또 일일이 확인해 재활용 쓰레기통에 버리시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또 더하여 울화통이 터졌네요. 서류 처리를 저한테 묻길래 엄마가 가져갔으니까 엄마가 알아서 처리하라고 저는 모른다고 싹 잡아뗐습니다. <br />ㅡ_ㅡ <br /> <br />근데 어머니가 웃긴 게 자기가 보관하겠다고 고집피우며 가져가신 걸 방금도 엄마 아빠 건강 검진 받으라고 온 서류도 그렇고 아버지 건강 검진 결과 같으면 제가 보관해 놓고 추이를 지켜보자고 한 걸 어머니가 뺏어가놓고선 이제와서 저한테 버려도 되냐고 그걸 물으시니 제가 속이 터지는 겁니다. 결국 검진 결과도 이런 식으로 아빠 엄마 것 다 버리고 나서 나중에 또 예전에 수치가 어땠더라 하면서 저한테 다시 물으실 게 뻔하니 아주 제가 돌아버릴 지경입니다. 그것도 자기가 기록을 다 뺏어가놓고서 또 이렇게 저한테 어이없게도 버려도 되냐고 물으면서 어차피 그 놈의 정리벽 때문에 어차피 다 버릴 거면서 이렇게 꽁쳐놓은 거 한참 지난 다음에 다 풀어놓고 물으시며 다 버리고 나서 나중에 또 저나 어머니가 찾을 땐 이렇게 블루윈 에어컨 매뉴얼처럼 없을 게 분명하니 이런 억화심정도 억화심정이 어디 있습니까?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9일 Tuesday PM 03:53:41 이윤찬 Tue, 29 Jul 2025 15:53:41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 에이전트] 챗GPT에 에이전트 기능이 출시됐다고 해서 [개인서버] 가 존재하는 FX-4100 주컴에서 게시물을 복사 업로드를 자동화 하기 위해 한번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를 작성해 실행해 봤더니 다음 이미지와 같이 "데스크톱 설정하기" 가 계속 보이면서 에이전트 동작 실행이 안되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2 <b>윤찬)</b> <br /> <br /># 신규 게시글 복사 게시 <br /> <br />https://run.blrun.net/ 에 접속하면 상단에 [자료게시판] 과 [네티즌칼럼], [스크랩], [쓰레기통] 이렇게 4가지 메뉴가 보이거든. 거기를 클릭했을 때 아래쪽 대상 프레임에 보이는 게시글 중에서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접속할 때 보이는 메뉴 중 [자료게시판]엔 아까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사이트에 게시된 [자료게시판]과 [네티즌칼럼] 게시판에 올라온 신규 게시물을 [자료게시판] 게시판에 몰아서 날짜순으로 게시해 올리고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의 [네티즌칼럼] 게시판엔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사이트에 게시된 [자료게시판]의 글을 한번 더 게시해 주면 된다.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사이트의 [스크랩] 과 [쓰레기통] 게시판의 게시글은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똑같은 메뉴를 클릭했을 때 열리는 게시판에 동일하게 복사 게시해 주면 된다. <br /> <br />원본 사이트의 제목에서 처음 꺽쇠 [] 안에 보이는 게 카테고리인데 카테고리가 없는 게시글이나 [일반] 카테고리는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에 게시할 때 표시할 필요가 없고 그 외 카테고리일 때 목적지 게시판에 동일하게 붙여서 제목을 게시하면 된다. 내가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사이트는 미리 로그인을 해둘 거고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의 [자료게시판] 글쓰기 게시 비밀번호는 xxxxx_xxx 이고 나머지 [네티즌칼럼]과 [스크랩]과 [쓰레기통] 메뉴 게시판의 글씨기 게시 비번은 gg 니까 참고하면 된다. 실제 게시할 때 게시 글쓴이 이름은 "네티즌" 으로 해주고 이메일 주소는 <a href=mailto:blrun39@hanafos.com>blrun39@hanafos.com</a> 으로 홈페이지 주소는 <a href=http://www.blrun.net/ target=_blank>http://www.blrun.net/</a> 으로 수정을 위한 비밀번호는 현재 시간의 분시간과 0이 붙은 시간 수에다 "xxxxx" 를 붙여 만약 현재 시간이 15시 01분이면 0115xxxxx 와 같은 형태로 채워서 업로드 해주면 된다. 당연히 현재 시간은 한국 시간을 기준으로 해야겠지. <br /> <br />이 때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사이트 게시물에 존재하는 &lt;img src='data/~ 형태의 썸네일 이미지는 썸네일을 다운로드하거나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 게시판에 태그를 그대로 복사하는 형태가 아니라 썸네일을 클릭했을 때 열리는 원본 이미지를 챗GPT 에이전트를 실행시키고 있는 이 컴퓨터 로컬 하드 e:\ntzn\pds\images\ 폴더 하위에 다른 이름으로 그대로 저장 후 읽기전용으로 파일 속성을 변경한 뒤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해당 서브 게시판에 내용 게시 시 "html" 적용을 클릭하여 줄바꿈을 &lt;br> 태그로 변환하는 모드 혹은 변환하지 않는 모드로 선택 후 &lt;img src='images/~ 나 &lt;img src='../images/~ 형태로 ~에 아까 다른이름으로 저장한 이미지 파일명만 붙여 기존 &lt;img 태그를 변경 적용해 업로드를 해주면 된다. 목적지 게시판이 [자료게시판]일 경우 &lt;img src='images/~ 로 그 외 [네티즌칼럼]과 [스크랩]과 [쓰레기통]일 경우 &lt;img src='../images/~ 로 변경 게시하면 된다. 그리고 &lt;br> 태그로 변환하는 모드는 줄바꿈이 2개 이상 연속으로 돼 있는 경우가 1번이라도 있을 때 선택하면 되고 변환하지 않는 모드는 원본 게시글에 &amp;lt;br>가 아닌 &lt;br> 태그가 한 개라도 있는 경우에 선택해 주면 된다. <br /> <br />이 때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는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의 게시글을 백업해 보관하여 브라우저에서 접속해 이용하는 개인 IIS 서버이기 때문에 이미 올라간 게시글인 경우는 새로 생성하지 말고 추가로 업로드된 게시글만 그런 식으로 복사해 게시하면 된다. 동일한 게시글인지는 게시글의 제목 앞 부분 꺽쇠 카테고리명을 제외한 제목이 어느 정도 일치하면 같은 게시물로 간주하고 이미 목적지로 복사 게시한 게시물 날짜를 보면 시간차가 몇일에서 1주 이상 차이나는 것이 있고 원본 사이트에서는 공지글을 다시 일반글로 내렸을 때 맨 위로 게시가 되는 반면 목적지 사이트는 공지글과 일반글이 중복 게시가 되기 때문에 공지글을 일반글로 내렸을 때 공지글만 사라지고 원본글은 날짜순으로 제자리에 게시글이 존재하고 있는 형태라서 순서가 원본 사이트랑 다른 경우가 있으니까 게시 날짜와 순서는 신경쓰지 말고 공지글 다음에 올라온 최근 게시글이 동일한지 위주로 목적지 사이트 게시판에 동일한 게시글이 있는지 판단하면 된다. <br /> <br />즉 원본 사이트와 목적지 사이트 게시판의 공지글은 신경쓰지 말고(이건 추후에 다른 에이전트 작업으로 내가 지침을 줄게)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의 [자료게시판]에선 원본 사이트의 [자료게시판]과 [네티즌칼럼] 일반글이 복사돼 있으니까 원본 사이트의 [자료게시판]과 [네티즌칼럼] 각 공지글 아래 최근 게시글 1개씩만 비교해서 목적지 사이트 일반글에 존재하는지를 체크해 추가 복사 게시해 주면 되고 제목 문자열은 원본 사이트 같은 경우 제목이 잘림 없이 다 있지만 목적지 사이트 같은 경우는 말줄임표가 돼 있으니 title 태그엔 제목이 다 나타나 있으니까 그걸 사용해 비교하면 좋은데 너가 그게 가능할지 모르겠구나. title 태그를 활용하지 못한다면 목적지 사이트의 말줄임표 끝 ... 문자를 제외시킨 문자열이 원본 사이트의 제목 문자열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해서 같은 게시글인지 확인하면 아주 좋다. <br /> <br /># 신규 덧글 복사 게시 <br /> <br />https://run.blrun.net/ 에 접속하면 하단 "최근 갤러리" 위에 "최근코멘트" 나열된 데 보면 맨 위쪽부터 최근 순서대로 최근 덧글 미리보기 링크가 나열돼 있는데 여기선 아까 말한 [자료게시판] 과 [네티즌칼럼], [스크랩], [쓰레기통] 게시판 이름의 머리글로 시작된 덧글이 있고 그 덧글을 클릭했을 때 보이는 해당 페이지뷰 덧글을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 똑같은 메뉴의 게시글 페이뷰에 그대로 복사 게시하면 된다. 단 <a href=https://run.blrun.net/ target=_blank>https://run.blrun.net/</a> 게시판 페이지뷰 덧글 안에 존재하는 &lt;img src='data/~ 형태의 썸네일은 아까 게시판 메인 게시글과 동일한 형태로 이미지를 클릭했을 때 열리는 원본 이미지를 챗GPT 에이전트를 실행시키고 있는 이 컴퓨터 로컬 하드 e:\ntzn\pds\images\ 폴더 하위에 다른이름으로 저장 후 읽기전용으로 파일 속성을 변경한 뒤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해당 서브 게시판 각 페이지 덧글 내용은 HTML 적용이 안돼 있는 텍스트 형식이므로 아까 메인 게시판 게시글처럼 &lt;img src='images/~ 나 &lt;img src='../images/~ 형태 대신에 <a href=https://run.blrun.net:444/images/~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images/~</a> 형태로 끝에 이미지 파일명만 붙여서 이미지를 클릭해 열 수 있는 url로 변환해 덧글을 게시하면 된다. 덧글을 일단 url 형태로만 게시하면 오토링크가 적용되기 때문에 독자들이 그 링크를 클릭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형태가 된다. <br /> <br />실제 덧글 게시할 때 글쓴이 이름은 "네티즌" 으로 해주고 홈페이지 주소는 <a href=http://www.blrun.net/ target=_blank>http://www.blrun.net/</a> 으로 완성 또는 새로 채워주면 되고 수정을 위한 비밀번호는 현재 시간의 분시간과 0이 붙은 시간 수에다 "xxxxx" 를 붙여 만약 현재 시간이 15시 01분이면 0115xxxxx 와 같은 형태로 채워서 덧글을 업로드 해주면 된다. 당연히 현재 시간은 한국 시간을 기준으로 해야겠지. <br /> <br />동일한 덧글이 목적지 사이트에 존재하는지는 게시글의 페이지뷰 덧글의 내용 앞부분이 이미지 로드 부분만 빼고 순수 텍스트 문구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만 확인하고 나서 같은 덧글로 간주한다. <br /> <br />"최근코멘트" 에 보이는 다른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머리글이나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등과 같은 머리글의 덧글은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에 복사 시도해도 실을 게시판이 없거니와 복사해서도 안된다. 다른 게시판의 덧글이니까 그건 잘 참고하고 마지막으로 원본 사이트의 [자료게시판] 게시글과 덧글은 목적지 사이트의 [자료게시판] 외에 [네티즌칼럼] 게시판에 한번 더 게시한다는 점에 유의해라. <br /> <br /># 게시글과 덧글에 있는 첨부 파일 복사 게시 지침 <br /> <br />https://run.blrun.net/ 게시판 게시글이나 페이지뷰 덧글 안에 존재하는 다운로드(Download) 첨부 파일은 링크를 클릭하여 챗GPT 에이전트를 실행시키고 있는 이 컴퓨터 로컬 하드 e:\ntzn\pds\temp\ 폴더 하위에 다른이름으로 저장 후 읽기전용으로 파일 속성을 변경한 뒤 <a href=https://run.blrun.net:444/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a> 사이트 해당 서브 게시판 각 게시글과 페이뷰 덧글에 링크 형태로 게시하는데 아까 페이지뷰 덧글 안에 들은 이미지 링크 변환 게시 형식과 유사하게 <a href=https://run.blrun.net:444/temp/~ target=_blank>https://run.blrun.net:444/temp/~</a> 형태로 끝에 다운로드한 첨부 파일명만 붙여서 파일을 클릭해 열 수 있는 url로 변환해 게시하면 된다. 이 때 게시글의 복사 업로드 시엔 그 url을 target이 _blank 인 a 태그 링크를 조합 생성해 "html" 적용을 클릭하여 줄바꿈을 &lt;br> 태그로 변환하는 모드 혹은 변환하지 않는 모드로 선택 후 게시하고 덧글은 일단 url 형태로만 게시하면 오토링크가 적용되기 때문에 독자들이 그 링크를 클릭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형태가 된다. <br /> <br /><b>챗GPT 에이전트)</b> <br /> <br />다음과 같이 "데스크톱 설정하기" 만 보이면서 에이전트 실행이 안됩니다. <br /> <br />[캡처 이미지]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ChatGPT_에이전트_첫번째_작업_프롬프트.png' align='' width='1644' height='221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7일 Sunday PM 01:31:50 이윤찬 Sun, 27 Jul 2025 13:31:50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는 다 좋은데 왜 제가 인용한 코드 각 행 머리의 공백이 탭일 때 답변도 머리가 탭인 상태로 생성해 달라는 사전 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인가요? 뭔가 이상합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8 며칠 전에 작년에 발생했던 작은누나가 받을 수 있는 어머니 의료비 세액 공제 및 카드 사용액 공제가 결제카드 실제 지출자별로 어떻게 다른지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알아보면서 중간에 큰누나가 언급했던 내용과 많이 달라 다른 인공지능 LLM과 비교해서 물어본 적이 있었는데 LLM들의 답변 의견이 서로 극명하게 갈리면서 급기야 제가 세무서에까지 실제 전활하는 과정을 통해 챗GPT-o3는 처음부터 분명히 더 정확한 내용을 답변했다는 것을 알게 된 적이 있었습니다. <br /> <br />이런 것이 좋았고 또 어제 같으면 회사 홈페이지 관리자 페이지에서 회원 수험번호를 클릭해 합격자 조회 결과 페이지에서 사용할 평균 점수를 기입하는 기능을 보다 개량할 적에 제가 헤매이며 방법이 뭘까 고민한 걸 물어봤을 때 챗GPT-o3가 원하는 해결책을 코드로 산출해줬던 것까지는 다 좋았습니다.<b>(이건 클로드나 제미나이도 한 번의 질문에 올바른 코드를 산출해 주었고 챗GPT-o3는 또한번의 추가 질문을 통해 보다 깔끔한 코드를 산출해 주었습니다. 아까 세액 공제 사례에선 이 클로드 소넷4와 제미나이 2.5 프로를 비롯해 딥시크 R1이 처음에 큰누나의 의견과 비슷하게 뭔가 잘못된 답변을 주었었구요. 이 3개 엔진들은 이렇듯 세법 상 애매한 부분의 해석을 완벽히 잘 못하더라구요. 이건 아마도 질문에 큰누나의 의견을 그대로 인용한 채로 맞냐고 물어보면서 이들 LLM이 잘못된 판단을 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LLM들은 여러분도 경험하여 아시겠지만 질문자가 인용한 정보를 가지고 판단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참고로 MS 코파일럿과 네이버 클로버X는 앞 선 2개 사례 중 세액 공제 사례에서 비교적 정확한 답변을 준 편이었지만 두번째 합격자 점수 관련 사례는 딥시크를 비롯하여 제안해 준 코드가 뭔가 조잡하고 완벽하지를 않았습니다)</b> <br /> <br />근데 여기서 챗GPT-o3는 한가지, 왜 제가 인용한 코드 각 행 머리 공백이 탭으로 돼 있으면 답변으로 제시하는 코드의 머리 공백도 탭인 상태로 생성해 달라는 아래와 같은 사전 지침을 따르지 않는 것인지 뭔가 큰 의구심이 들었다는 사실입니다. <br /> <br />뭔가 호스팅이나 로컬 PC 상의 저장소 용량을 이런 식의 소스 코드 상의 여러 개 공백 사용을 통해 소진시키는 것에 챗GPT가 기여하겠다는 뜻인지 전 이해가 안가더라구요. 그렇지 않고서야 이렇게 제 스타일을 따르지 않고 사전 지침을 무시하면서 탭을 전부 스페이스로 변환해 보여주는 게 설명이 안되는 거잖아요. <br /> <br />여러분은 챗GPT가 산출하는 소스 코드 사용하면서 이런 이상한 점 못 느끼셨는지... <br /> <br />얘는 보면 이렇게 사전 지침을 잘 따르지 않거나 누락시키는 사례가 가끔 꼭 발생합니다. 버그인지 개발자의 고의성인지 그 저의가 이해가 안되니 더욱 이상할 수밖에 없습니다. <br /> <br />이것 때문에 매번 산출된 소스 코드 머리 부분의 스페이스를 탭으로 일일이 바꾸는 작업을 한번 더 해주게 되는데 여간 불편한 작업이 아닐 수 없습니다. <br /> <br />사용자의 사전 지침을 이렇게 무시하면서 따르지 않을 것 같으면 뭐하러 각 프로젝트 서두에 사전 지침을 입력받고 있는지 저로선 이게 도저히 이해가 안갑니다. <br /> <br />이런 것들은 좀처럼 시간이 지나도 개선이 되질 않는 것 같습니다. <br />ㅡ_ㅡ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28#227"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01" target="_blank">관련글2</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74#179" target="_blank">관련글3</a> <br /> <br />[챗GPT가 이와 같은 사전 지침을 따르지 않는 형태가 있습니다. 매우 불편합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챗GPT가_사전_지침을_따르지_않는_것이_있습니다._매우_불편하네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7일 Sunday AM 04:56:14 이윤찬 Sun, 27 Jul 2025 04:56:1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8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블록 이윤찬 - 아까 2시간 30분 전, 올해 처음 에어컨을 켰고 현재 온도가 29도였는데 어머니가 하도 간청을 하셔서 설정 온도를 27도로 했는데 춥다고 다시 28도로 설정하라고 해서 사달이 발생했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1 지금 설정 온도를 28도로 놓고 쓰다 보니까 에어컨 오늘 켤 때 현재 온도인 29도랑 1도 차이밖에 안돼 전기 잡아먹는 실외기는 거의 가동이 안되고 도로 29도로 올라갔을 때 가끔 가동이 되는데 어머니는 이게 좋다고 하시니 아들로서 어머니 몸 상태에 맞추려니 괜한 피해를 입는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br /> <br />물론 설정 온도가 28도라도 물 배출관에서 물이 나오는거 보면 제습이 되기 때문에 어머니가 이런 설정 온도에도 온도가 맞다고 느끼시는 거지만 누군가 제가 참고 어머니 몸 상태에 맞춰드리는 것이 진정한 효도라고 말하겠지만 전 효도할 생각이 별로 없어서인지 지금 문이 닫힌 다용도실 쪽문을 열었을 때 실내 온도와 별반 차이가 없는 걸 보고 여전히 씁쓸한 기분이 듭니다. <br /> <br />나이가 들면 원래 그렇다는 걸 큰누나 시부모님 생전에 시중 든 이야기를 들었을 때 알았지만 이렇게 부모님과 같이 살면서 예전엔 에어컨 가동할 적엔 이렇게 늘상 타협을 할 때 저도 양보를 안하면서 중간 어느 지점의 온도를 설정하다가 오늘은 어머니가 완강하셔서 순전히 그 요구를 다 들어드렸는데 저도 그렇게 많이 덥지는 않아서 담번에도 어머니 요구대로 설정 온도를 28도로 해드려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br />ㅡ_ㅡ <br /> <br />어머니 여태까지 에어컨을 그 온도로 놓고 이용하고 계십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5일 Friday PM 05:44:09 이윤찬 Fri, 25 Jul 2025 17:44:0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나이를 먹으니 꽈배기를 먹어도 아이스크림을 먹어도 새우깡을 먹어도 위에서 소화액 섞이는 느낌이 싫네요. 목으로 고약한 트림도 좀 나오는 듯 하고 요새 계속 오이랑 후무스, 삶은 고기, 삶은 계란, 김치, 국만 먹다가 간만에 이런 걸 먹었더니 그러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0 3~4일마다 식전 25분에 케이캡정 25mg 한 알씩 먹고 우상복부는 좋아져서 이젠 오히려 약 먹을 때 증상이 나타나는 것 같아서 끊었는데 그 증상 때문에 식사를 1년 넘게 그렇게 하다가 이런 식으로 가끔 군것질을 하면 느낌이 오는 것 같습니다. ㅋㅋ <br /> <br />암튼 나이들어 젊었을 때 잘 먹었던 음식들이 요새들어 이상하게 더 민감하게 느껴지거나 안 받는 것 같습니다. 좀 더 경과를 지켜봐야겠지만 체중도 밥을 고정적으로 반그릇 남짓 퍼서 그런지 몰라도 63.3 킬로그램을 계속 유지하는 등 좋지만 이렇게 가끔 군것질한 음식이 당시 맛있게는 먹는데 뒤끝이 안좋으니 괜히 먹었다는 후회도 좀 들고 그렇습니다. <br /> <br />여러분은 그런 적 없으신지...<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4일 Thursday PM 07:34:18 이윤찬 Thu, 24 Jul 2025 19:34:1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4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DBeaver를 오랜만에 한번 실행해 봤는데 헐~ 호스팅의 MySQL 5.5 버전 접속 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라고 떠서 했더니만 그 때부터 기존 MySQL 5.x 버전대가 다 접속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해서 황당했습니다. 챗GPT에게 물어보니 드라이버를 따로 아카이브에서 다운받아 설치를 해줘야 한답니다. 이런 제기랄~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7 챗GPT-o3) <a href=https://chatgpt.com/share/687bf02d-6148-8009-83fc-f66c0f5c0a70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7bf02d-6148-8009-83fc-f66c0f5c0a70 </a><br /> <br />DBeaver가 이렇게 불편하고 호스팅의 상위 버전 DB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인지 몰랐습니다. 개황당하네요. 추궁 끝에 챗GPT 말로는 기존 5.5 버전의 드라이버를 프로그램 내에서 선택해 다운로드 자동 설치하는 방식을 새 버전의 DBeaver가 전혀 지원하지 않으며 MySQL 5.7 버전 이상만 지원이 된다는 얘길 듣고 정말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br /> <br />그렇다면 새 버전 업그레이드 시도 시 왜 사전에 그런 경고나 팝업 없이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종용했는지 너무나 불친절하고 황당하다는 생각 뿐입니다. <br /> <br />DBeaver는 우분투에서 알게 된 DB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인데 완전히 이번에 제대로 뒤통수를 맞았다는 거고 전 이 프로그램이 HeidiSQL에서 불러오지 못하는 큰 DB 테이블 특정 필드의 내용을 불러올 수 있었기 때문에 설치를 했던 건데 이런 식이라면 다소 불편해도 기존 HeidiSQL을 계속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br /> <br />큰 필드 내용은 어쩌다 한번 간혹 들여다 볼 일이 있기 때문에 큰 불편은 아니라는 거고 이런 식의 DB 클라이언트 동작 때문에 오늘 새벽부터 좀 뒷골이 땡겼네요. 여러분도 제 이야기를 들으시니 좀 황당하시지 않나요? <br /> <br />아니 기존 버전 MySQL 접속 체크해서 접속이 불능화 될 것 같으면 업그레이드를 시도하지 않거나 경고라도 보여줘야 하는데 일단 이렇게 이용자가 일단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게 만들어놓고 사후에 이렇게 뒤통수를 쎄게 갈기는 건 영 아닌 것 같습니다. <br />ㅡ_ㅡ <br /> <br />결국 프로그램을 깨끗이 제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이 DBeaver 프로그램은 우분투에서도 그렇고 윈도우즈10용 프로그램도 그렇고 프로그램 덩치가 커서 실행 속도도 굉장히 느리거든요. <br /> <br />이런 사달로 인해 결말이 좋지 못해 유감이지만 어쩔 수가 없습니다. 전 이런 동작 행태 겪고 엄청 기분이 나빴네요. 업그레이드에 관해서 혹시나 했더니 이 프로그램도 역시나였습니다. <br /> <br />무슨 말씀인지 아시죠? <br /> <br />[헐 DBeaver가 이런 DB 클라이언트였다니 새 버전이 euckr 인코딩을 전혀 지원하지 않네요 클라이언트 플러그인 권한이 필요하다는데]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헐_DBever가_이런_DB_클라이언트였다니_새_버전이_euckr_인코딩을_전혀_지원하지_않네요_클라이언트_플러그인_권한이_필요하다는데.png' align='' width='1920' height='120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황당하구나 새 버전에선 드라이버 설정에서도 버전을 선택하거나 콤보박스 리스트가 다른 옵션이 전혀 보이지가 않는구나 황당 그 자체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황당하구나_새버전에선_드라이버_설정에서도_버전을_선택하거나_콤보박스_리스트가_다른_옵션이_전혀_보이지가_않는구나_황당_그_자체다.png' align='' width='1920' height='1198'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이런 식으로 mariaDB를 선택해도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고 해당 드라이버 선택해 완료를 해도 연결 오류가 보이면서 해당 MySQL 5.5 버전으로 접속이 안된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이런_식으로_mariaDB를_선택해도_다음_버튼이_활성화_되지_않고_해당_드라이버_선택해_완료를_해도_연결_오류가_보이면서_해당_MySQL_5.5_버전으로_접속이_안된다.png' align='' width='1920' height='120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20일 Sunday AM 04:36:48 이윤찬 Sun, 20 Jul 2025 04:36:4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7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쓰레기통 이윤찬 - 헐~ MS 윈도우즈10이요 제 FX-4100 주컴에서 최대절전모드에서 복원하고 나서 네트워크 어댑터가 끊어진 상태로 인터넷 연결이 안돼서 랜선 뺐다 꼽았더니 다시 인터넷 연결이 되어 그 장치 관리자 상태를 캡처해 상황을 설명하려고 했더니 지금 SangIt 11 에디터 상단 File과 Draw 메뉴 클릭 안되게 만들어놨네요 진짜 진한 놈들입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1 이 자식들은 끝까지 더티하게 나오네요. 그래놓고 우하단에 윈도우즈11 사용하라고 알림을 보내옵니다. 진짜 진한 철면피 같은 놈들 아닙니까? <br />그래서 이 글을 작성하기 시작했는데 헐~ 결국 음악이 흘러나오는 윈도우즈10 동작을 그대로 커널 단계에서 먹통을 만들어놔서 음악이 흘러나오다 잡음이 나오는 상태로 다운이 됐고 리셋키를 누른 후 재부팅해서 윈도우즈를 다시 정상화시켰습니다. <br /> <br />이 주컴은 제가 늘 하드웨어를 최적화 해놓았고 서비스에서 윈도우즈 구성요소를 제외한 모든 서비스를 중지해 사용하고 있고 시작 프로그램도 모두 꺼놓았기 때문에 소위 MS 고객센터에서 말하는 써드 파티 프로그램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여지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정품 윈도우즈10을 그렇게 먹통이 되도록 만든 자는 제 MS 윈도우즈를 관찰하면서 장난을 치고 있는 MS 관계자거나 거기서 만든 악성코드일 뿐이란 얘기잖아요. 제 말이 맞죠? <br /> <br />이걸 의심하는 게 이 주컴을 몇 번 켜기 전에 부팅할 때 보니까 커널 단계에서 블루스크린이 뜨거나 부팅 후에 연이어 먹통이 되는 증상이 최근에 발생한 적이 몇 번 있었기 때문입니다. 최소한 써드 파티 프로그램과 상관이 없는 윈도우즈10의 오동작 내지 커널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리붓이나 먹통 증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br /> <br />최근 이 주컴이 최대절전모드에서 복원 시 네트워크 어댑터가 지구본 모양으로 보이면서 인터넷 연결 끊김 현상이 잦아졌는데 이럴 땐 메인보드 랜카드 랜 단자를 뽑았다 다시 꼽아야 하는데 이렇게 해서 동작하는 것 보면 양상이 지금까지의 윈도우즈10과는 달랐기 때문에 이것도 뭔가 랜 어댑터 드라이버에 이상이 생겼다고 생각했습니다. <br /> <br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알겠지만 랜 어댑터의 "전원 관리" 탭이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걸로 원래부터 돼 있었기 때문에 앞서 언급드린 것처럼 동작할 이유가 없다는 거죠. 그래서 자꾸 MS 윈도우즈의 이상 동작을 의심하고 있는 겁니다. <br />ㅡ_ㅡ <br /> <br />여러분도 윈도우즈10의 종료가 다가오는 시점에서 이런 이상 동작을 잘 눈여겨 보십시요. 그러면 MS 윈도우즈의 삑사리(?) 양상을 어느 정도 눈치채실 수 있을 겁니다. <br /> <br />[FX-4100 주컴이 이렇게 네트워크 어댑터가 항상 동작하게끔 돼 있는데 최대절전모드에서 복원 시 우하단 네트워크 어댑터가 끊겨 있어 랜 어댑터를 뺐다 꽂아서 인터넷을 활성화 했습니다 뭔가 이상합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FX_4100_주컴이_이렇게_네트워크_어댑터가_항상_동작하게끔_돼_있는데_최대절전모드에서_복원_시_우하단_네트워크_어댑터가_끊겨_있어_랜_어댑터를_뺐다.png' align='' width='1920' height='108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9일 Saturday PM 07:50:07 이윤찬 Sat, 19 Jul 2025 19:50:07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asket1&no=381 쓰레기통 > 일반 이윤찬 - 이재명 대통령 당선되시고 나서 이걸 국민사서함 쪽에 제출했는데 제가 관리사무소 과장님한테 저번에 C1 주차장 경보 알림 왜 꺼버렸냐는 민원 제기하면서 제가 오죽했으면 국민사서함 쪽에 이런 내용 올렸겠냐며 전언했는데도 역시 개선이 안돼 여기에 공개합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run1&no=103 아파트 관리를 도맡아 하는 관리사무소 직원들한테도 공무원들과 준하는 아니 공무원보다 더 엄격하게 주민들에 의한 상시 평가를 받아 상벌이 주어지는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는데 헐~ 당시 과장님한테 이같은 내용을 대통령한테 전달했다는 전언이 무색하게 오늘 또 그 C1 주차장 경보 알림이 다시 울리지 않는다는 걸 아까 그 주차장 지나다 발견하고 도저히 그들의 행태를 참다 못해 이재명 대통령님한테 제가 비밀로 전달하고 나서 기다려 보려던 계획을 수정하여 이렇게 여러분께 전격 공개합니다. <br /> <br />이 사람들 행태를 보면 정말 욕이 저절로 나오는데 왜 이렇게 행동할까 저로선 도저히 이해불가란 사실이고 C1 주차장 경보 알림 건도 307동 주민 중에 경보 알림이 시끄럽다고 하도 민원을 제기해서 그런거라고 해서 소리를 작게 하면 된다고 까지 말해서 민원을 해소시켰던 건데 그 작은 울림과 싸이렌 등 켜는 것이 뭐가 그리 대수라고 이렇게 주민들 애간장을 태우면서 이렇듯 방만하고 태만하게 해당 민원을 처리, 관리하는지 도저히 오늘부로 참을 수가 없어서 이렇게 해당 내용을 공개하게 된 것입니다. <br /> <br />여러분도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아파트 사시는 분이라면 이런 관리사무소 행태에 대해서 염증을 느꼈던 경험이 반드시 몇 번은 있으셨을 거라는 확신을 해보는데요, 글에서도 언급이 돼 있지만 전 정말 이런 관리사무소 직원들의 농간과 태만의 행태를 저는 무수히 봐 왔고 지금으로선 정말 두 눈 뜨고 못 봐주기 때문에 이렇게 대통령 국민사서함 쪽에 1번 의견으로 진정을 올린 것이고 이런 행태는 반드시 제가 원했던 법 개정이나 정책적 강제로 해소가 되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br /> <br />여러분들의 관심이 필요합니다. <br /> <br />오늘도 아까 보니까 소방시설 외관점검표 작성해 내라고 법적 의무 조치를 주민들한테 방송하면서 귀찮게 구는데 이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강제해야지 제대로 일한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굳히는 계기가 있었습니다. <br />ㅡ_ㅡ <br />======================================================== <br /> <br />* 우선 대통령 당선에 관한 축하 말씀을 드립니다. <br /> <br />지금까지 반민주 세력과 각종 언론의 조직적인 음해와 강압, 왜곡에도 불구하고 윤석열의 12.3 불법 계엄을 기점으로 국민의 지지만으로 각종 역경을 잘 헤쳐나가 대통령에 당선되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저도 지지자로서 그 때의 절실함과 최근 당선까지의 과정을 잠시 돌이켜보면 정말 감회가 새롭습니다. <br /> <br />* 우리 국민 대다수가 아파트에 살고 있는 지금 대통령님은 우리 아파트 관리는 무엇이 문제다 라고 생각하십니까? <br /> <br />겉으로 보기엔 대다수의 아파트가 아무 문제없이 잘 관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 제가 2000년 8월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아파트 관리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평소 아파트 관리가 생각보다 관리비의 거품이 크고 각종 비리가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취약한 민생의 사각지대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입니다. <br /> <br />왜냐하면 아파트 관리는 현행법에 있어 주택법의 관할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게 예전에는 훨씬 심각했는데요 최근에는 그래도 입주자대표회의나 관리사무소가 일을 추진하기 전 아파트 현관 게시판과 인터넷 정보마당에 그 내용을 공지토록 주택법 및 표준관리규약이 개정되어 상황이 나아졌다고도 볼 수 있지만 여전히 남은 문제점은 주민들이 제기하는 필수적인 민원 즉 제가 제기했던 민원, 예로 들자면 지하 1층 주차장 출입구 쪽에 차들이 입구를 즐비해 막고 있어 해당 동 주민들이 통행을 하는 데 방해를 받는 일이 빈발하여 이에 관해 관리소에 개선을 요청했던 일, 또 저희 308동 지하 주차장에서 단지 내 도로로 챠량이 나오는 C1 출입구 쪽은 307동과 인접한 곳으로 사람들도 많이 다니는 도로라 입주 당시부터 차량이 나오면 출차 경보음이나 싸이렌 시각등이 동작하도록 돼 있었지만 이게 언제부터인가 동작을 안해 관리소 통해 민원을 제기했던 일, 또 24년 된 엘리베이터를 작년 가을에 27대 전부를 25억 들여 새로 교체를 할 때 대당 300만원에 추가 옵션으로 설치한 음성인식 기능인 "몇 층 가세요?" 라고 음성이 흘러나오는 타이밍이 명백히 오작동을 해서 개선을 요청했던 일 등 이 3가지만 보더라도 명백히 주민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라 즉시 해결돼야 할 민원이지만 현실적으로 통합정보마당에 민원 접수 창구 하나 없고 이렇게 관리사무소에 전화나 오프라인으로 민원을 제기해도 직원들과 저, 또는 현대엘리베이터와 무슨 알력이 작용했는지 고치는 시늉만 하고 다시 문제가 재발하는 일이 다반사로 벌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br /> <br />대통령님이 보시기에도 민원의 성격이 선택적이거나 재량적이지를 않잖아요? <br /> <br />그래서 제가 왜 이런 식으로 민원이 관리가 될까 곰곰이 생각해 보니 주택법과 일반 공공 행정의 민원 처리에 관한 규정이 전자는 명확하지가 않고 후자는 만족도 설문을 받는 등 전자와의 법적, 제도적인 완성도나 질적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공무원의 인적 자질과 관리사무소 직원의 인적 자질의 차이도 발생한다고 보고 있구요. <br /> <br />즉 아파트 관리에 있어 우리 주민들의 필수적 민원에 대한 처리가 공무원이 아닌 관리소 직원들에 의해 이렇게 어떠한 민원 평가나 피드백의 반영 없이 불성실하게 처리될 수 있는 사각지대로 남아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불법주차 관리나 청소 및 이런 부대 시설 관리가 전적으로 관리소 직원들에게 일임이 된 상태에서 말입니다. <br /> <br />* 국민 사서함 이번 제언의 취지 <br /> <br />저희 가족이 저 어렸을 적 관악구 신림동 B지구라는 낙후 지역에 오래 살다가 여기가 20년만에 재개발 되면서 기회가 되어 저희 가족이 저축했던 돈을 더해 2000년 8월 처음 재개발 아파트 단지인 여기 삼성산아파트에 처음 입주하게 됐는데요 제가 그때부터 아파트 관리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였던 이유가 저희 아파트가 1482세대인데 세대당으로 치면 현재 월 대략 22만원이란 비용, 아파트 전체로 치면 매월 대략 3억이란 돈이 투입되고 있지만 이렇듯 필수적인 민원이 비효율적이고 불합리하게 처리되는 모습이 너무나 싫었기 때문인데 그런 과정에서 2014년 말까지 기울였던 이런 저의 노력이 너무 신경을 많이 쓰고 힘이 들어 2015년부터 관심을 기울이지 않게 되면서 아파트 관리의 모양새가 이런 식으로 불완전하게 수렴이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br /> <br />문재인 정부는 이런 아파트 관리사무소 인력의 지위를 경비원이나 청소 아줌마를 포함해서 사회적 약자로 보고 이런 불성실한 아파트 민원 처리의 적극적 해결의 발상보다는 그들의 근무 환경 개선에 힘썼는데요 사실 그런 위탁 경비나 위탁 청소, 위탁 관리 용역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주민들과 달리 공금을 사용하고 그를 통해 월급을 받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공무원에 준하는 책임과 평가, 그리고 법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게 제 입장이고 만약 이런 식으로 불성실하고 불합리한 대처로 인해 주민들이 받는 스트레스 강도를 감안했을 때 반드시 국민주권정부 차제에 이런 공동주거시설의 고질적인 폐단을 진단, 상시적으로 주민들로하여금 평가가 이뤄지고 빠르고 기민하게 상벌 체계가 부여됨으로써 양질의 관리 인력이 상시적으로 몸담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주택법이나 위탁 관리회사가 못한다면 더 넓은 범위의 상위법을 동원해서라도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생존을 걸고 이런 폐단을 척결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봅니다. <br /> <br />* 제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 <br /> <br />일전에 우리 아파트 세대 내 방송 시설이 이상이 생기기 시작한 적이 있는데 그때부터 계속 방송이 흘러나오면서 중간에 소리가 매우 작아지거나 제대로 방송이 나오지 않는 등 거의 2년인가 가까이 주민들이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가 관리사무소 및 입주자대표회의에 의해 방치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저희 집 가족 뿐만 아니라 다른 동 주민들도 이 문제 때문에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았고 관리소 통해 전화를 빗발치듯 했지만 입주자대표회의 동대표나 회장, 관리소 직원 어느 누구도 그 손쉬운 방송 시설 앰프를 교체하는데 적극 나서지 않았고 계속 세대 내로 깔린 선이 이상하다는 둥 주민들을 속여오면서 2년 정도를 지리하게 방치해 오다가 제가 도저히 이 상황을 묵과할 수 없어서 제가 운영하는 사이트의 게시판에 저를 아는 입주민들 보라고 이들 관리기구에 대한 최소한 "직무유기" 든지 주민들을 계속 엄청난 스트레스에 빠지게 만든 책임에 대한 위자료든지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고 종용하듯 글을 작성하여 공지글에 올린 적이 있는데 결국은 저의 행동 하나에 그들의 대응이 변하기 시작하며 관리사무소 내 방송 시설 앰프를 자체적으로 손을 보아 안내 방송을 정상화한 일이 있었습니다. <br /> <br />전 그 때 일을 겪고 주택법에 기초해 이들 관리기구(입주자대표회의+관리사무소)에 아파트 주민들의 고충을 이런 식으로 미래에 계속 맡겼다가는 우리 주민들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또는 재정적으로 남아나는 게 없겠구나 하는 확신을 하게 되었죠. <br /> <br /> <br />대통령님, 들어보시니까 어떠신가요? 대한민국 아파트에 거주하는 무수한 입주민들이 있는 상황에서 공무원들이 민원 챙기는 게 벅차다고 이런 중요한 아파트 관리가 공공관리와 법의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고 급기야 현실은 제가 예로 들은 수많은 민원들만 하더라도, 너무나 구멍이 많아 저같이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 소수가 겨우 동네 유지로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그나마 아슬아슬하게 유지가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이런 엉성한 주택법을 우리나라 공무원 민원처리에 관한 법률 수준으로 정비함으로써 상시 평가를 받고 상벌을 받도록 제도가 혁명적으로 개혁되지 않으면 제가 나중에 나이들어 이런 일에 몸담지 못하거나 포기함으로써 아파트 관리에 대한 관심이 멀어지면 전국에 거주하는 아파트 입주민들은 그대로 취약한 현 시스템으로 인해 이들 엉터리 관리회사나 입주자대표회의, 이런 현대 엘리베이터 사기꾼들에게 지속적으로 농락당하고 말 거란 얘깁니다. <br /> <br />대통령님 전 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전 그들이 이런 기본적이고 절실한 민원에 대한 응대를 어떻게 처리해왔는가를 뼈져리게 25년 동안 목도해왔기 때문에 자신있게 이 문제의 심각성을 말씀드렸던 것이고 이렇게 전격적으로 개선점을 요청드리게 된 것입니다. <br /> <br /> <br />2025년 6월 25일 수요일 이윤찬 드림<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8일 Friday PM 07:55:02 이윤찬 Fri, 18 Jul 2025 19:55:02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run1&no=103 이윤찬 - K-패스 교통카드 금월 누적 잔액이 표시가 안되고 며칠 전부터 중간에 금액이 초기화가 된 채로 누적이 돼서 031-427-4415번으로 계속 통화를 시도했는데 여기는 당췌 전화를 안받는데 어떻게 된건가요?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9 신한카드(1544-7000)에 문의를 해보면 시 마다의 교통 내역이 다르므로 시골 갔다 온 후로 매달 누적되는 후불 금액이 중간에 잘못 표기가 됐다면 해당 버스 회사인 교통사로 문의하라는데 일단 제 체크카드가 K-패스 교통카드이기도 해서 일단 031-427-4415번으로 계속 통화를 시도하는데 여기 오늘 바쁜지 계속 전화를 받지 않더라구요. <br />.... <br />.... <br />.... <br />지금 전화를 받은 K-패스 교통카드사 담당자는 자기들은 체크카드사에서 알려오는 요금 정보에서 할인 금액만 누적시켜드리는 거라고 다시 신한카드 쪽에 문의하라고 해서 왜 누적잔액이 초기화돼 혼란을 일으키는 문제를 서로 떠넘기냐고 하니까 다시한번 신한카드 쪽에 문의해서 어디로 정확히 문의를 해야 하는지 그걸 물어보라고 해서 지금 다시 신한카드 쪽에 전활 해서 전화를 기다리고 있는데 신한카드사 1544-7000번 AI 상담사는 원하는 요청을 말해도 자꾸 이용자를 무한 루프에 빠트려 골탕을 먹이고 있고 정말 엉터리더라구요. <br /> <br />여러분은 K-패스 후불 교통카드 누적 잔액 표시 오류 문의하면서 이런 일 없으셨는지... <br /> <br />뭔가 시도 간 다른 교통비 내역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라는 직감이 들었는데 이렇게 신한카드에서 만든 동일한 교통카드로 시골과 서울을 왔다갔다 버스를 이용할 때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적립금을 돌려주는 K-패스 제도를 운용하면서 이렇듯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거고 문제는 제가 개인 메모장에 잔액 추이를 꼼꼼이 기록하는 데에도 이런 혼란은 큰 지장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해결을 해야 되는데 이 자식들 이용자들 후불제 교통카드의 그 달 누적 잔액 표시를 이렇게 만원 단위 오차로 이틀 전 시골 다녀온 후부터 초기화 시켜놓고 이렇듯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상황이네요. <br /> <br />이런 건 어디에 문의를 해야 하는 건가요? 뭔가 신한카드를 때려잡아야 할 것 같은데 지금 6시 퇴근 시간이 다 되도록 전화 연결이 안되네요. <br /> <br />&lt;추신&gt; <br />방금 신한카드 담당자와 통화를 했는데요 그건 해당 버스카드 회사에 문의를 하라고 하면서 시골 교통 버스 회사나 서울에서 이용하신 마을버스 회사에 문의를 하라고 해서 제 체크카드 겸 교통카드가 맨 처음 그간 누적된 금액이 초기화 됐던 때가 그저께 시골 시내버스를 처음 이용할 때여서 그쪽 버스 회사에다 전화를 해봤더니 그 쪽 과장님 하시는 말씀이 이용자분이 말씀하시는 버스 단말기 윗쪽에 표시되는 차감 금액 말고 하단에 표시되는 누적 잔액은 교통카드 후불 잔액을 관리하는 체크 카드 회사에서 넘겨주는 정보를 저희가 표시해 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서 뭔가 신한카드가 저를 속이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일단 제가 월요일에 다시 신한카드 쪽에 문의를 해서 사실 관계를 알아보고 다시 전화를 드리든지 하겠다고 했더니 그 분도 알겠다고 하면서 통화를 마친 상태입니다. <br /> <br />여러분이 보시기에도 정말 이상하지 않나요? 왜 얘네들이 이런 혼란을 계속 방치하면서 이용자들 골탕을 먹이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뭔가 신한 SOL 페이 즉 신한카드 앱 상에선 올바르게 누적 잔액을 표시하고 교통카드 단말기에다가는 잘못된 정보를 보내는 식으로 지금까지 이용자들 교통카드를 관리해 왔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들이 이런 식으로 이용자들 교통카드 잔액 정보에 혼란을 일으킴으로써 얻는 어떤 이득이 있기 때문에 그럴 거라는 생각이 드는데 혹시 이용자들 교통 카드 잔액 표시에 혼란을 주어 잔액 편취를 꾀하려는 시도 아닐까요? <br /> <br />딱 보니 그것밖에는 어떤 사유가 떠오르지 않네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전 궁금합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8일 Friday PM 06:42:53 이윤찬 Fri, 18 Jul 2025 18:42:53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오늘 마을버스를 타고 오면서 아이폰13으로 음악을 듣던 중 다음과 같은 오류가 걸리면서 mp3 재생이 안되길래 챗GPT한테 물어봤더니... 헐~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8 아이폰13에서 챗GPT 답변이 출력될 때 화면이 꺼지더니 이후 답변이 끊어지고 다시 화면을 열면 이어지기를 여러번 반복하면서 결국 아래 공유링크 보시는 것처럼 여러번의 답변이 반복해서 출력이 됐는데 아이폰은 이런 기본적인 기능이 결여된 완벽하지 못한 폰이란 게 드러났다는 것이고 가뜩이나 제가 iOS 18.4.1 버전을 울며 겨자먹기로 업그레이드를 한 상황에서 이 자식들이 이런 버그를 다시 출현시켜서 상위 버전 업그레이드를 유도하고 있다는 생각에 이렇게 챗GPT에게 물어봤더니 챗GPT도 가재는 게 편이라고 의도적인 목적은 아니었을 거란 말을 반복하며 취할 수 있는 처치 방법을 말해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br /> <br />근데 전 그 말을 별로 신뢰하고 싶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버전이 올라가면 버그가 더 많이 수정이 돼야 하지만 애플 아이폰은 그렇지 않았다는 거고 이렇게 새로운 버그를 남겨놓거나 출현시켜 이용자들로하여금 상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하게끔 유도한다는 말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을 수 밖에 없으며 그래도 챗GPT는 이 상황에서 개선점을 말해주기 때문에 애플보다 위대하다고 생각합니다. <br /> <br />애플 이 자식들은 정말 상종 못할 놈들입니다. 진짜 아이폰13 사용하면서 여러분도 과거 죽 제가 겪은 일을 지켜봐와서 아시겠지만 저는 정말 지금도 마음 속에 계속 애플에 대한 칼(?)을 갈고 있습니다. 이 자식들한테 받은 물적 정신적 피해를 어떻게 갚아줄까 하면서요. 근데도 이 자식들은 이런 식으로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계속 헛발질만 하고 있습니다. 아이폰 이용자들의 필수 사용 아이템들을 이런 식으로 볼모로 해서 말입니다. <br />ㅡ_ㅡ <br /> <br />그러니까 괘씸한 겁니다. 괘씸하고 말구요. <br /> <br />챗GPT-4o) <a href=https://chatgpt.com/share/6879b61a-7700-8009-b090-7c8e4f0fdaa7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79b61a-7700-8009-b090-7c8e4f0fdaa7 </a><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7_18_003.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8일 Friday PM 12:28:40 이윤찬 Fri, 18 Jul 2025 12:28:40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유튜브에선 챗GPT가 구글 검색처럼 스폰서를 연결하는 시스템을 마련해 제공하는 것이 어떠냐고 자꾸 운을 떼지만 제 생각은 물품이나 서비스 추천에 상업성이 개입되면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봅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7 저도 챗GPT의 도움을 얻어 아버지 양지병원 퇴원하셨을 때 팬티형 기저귀든지 USB 키보드와 마우스를 2대 PC에서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변환기든지 이번에 구입한 APC UPS 장치와 실시간 전력량 측정기 같은 가성비 좋은 제품을 구입하는데 성공했는데요 아무래도 이런 상품이나 서비스 추천이 구글처럼 상업성이 개입되게 되면 언더그라운드에서 활약하고 있는 가성비가 좋은 제품들이 덜 추천이 될 것이고 그럼 스폰을 받은 상품들만 추천이 될 게 뻔하니 그런 물품 추천은 당연히 신뢰를 할 수 없게 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 <br /> <br />유튜브에선 단순히 플랫폼 경제처럼 중간에 챗GPT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면 좋을 것 같다란 주장을 펼치지만 챗GPT는 물품 추천 말고도 보다 차원 높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들이 이렇게 돈을 내고 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라고 생각합니다. <br /> <br />섣불리 이런 논의를 조장, 시장 질서를 흐트리는 것은 모두에게 도움이 안된다는 판단이며 모름지기 주변 지인이 추천해준 상품이 좋은 건 상업적 논리가 개입되지 않은 순전히 직접 오래 사용해 본 정보를 공유하는 등 진짜루 믿을만한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br /> <br />우리는 이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8일 Friday PM 12:00:27 이윤찬 Fri, 18 Jul 2025 12:00:2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크로미움 브라우저에서 챗GPT 사용하다가 특정 대화 세션을 여러번 이어나갔더니 결국 다음과 같은 오류가 뜨면서 답변이 출력이 안돼 파폭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근데 OpenAI 에이전트 헬프 고객센터가 전송 메시지나 이미지가 출력이 안되는게 뭔가 많이 이상합니다.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6 다음이 OpenAI 에이전트 헬프 문의센터에서 문의를 하고 답변을 받은 내용인데 시도해 보신 분이면 알겠지만 이미지나 문자 메시지를 레어어 창에서 전달 도중에 해당 메시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뭔가 고객지원에 대한 고의적인 삑사리를 심어놓았지 않나 싶은데 OpenAI는 현재 많은 수의 유저들이 이용하는 서비스인데 이런 식으로 헬프 고객센터를 운영하는 건 유료 플러스 이용자로서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네요. <br /> <br />여러분은 이런 상황 겪으시면서 좀 화가 나지 않았나요? 그것도 인간 상담사가 아닌 에이전트 상담사인데 말입니다. 정말로 황당무개할 따름입니다. 물론 답변이 도움이 되긴 하였지만 그 같은 문제로 인하여 저는 해당 레이어 창이 열린 상태에서 새로고침을 하여 질문과 답변을 이어나갔고 이런 특이점을 모르는 이용자들은 많이 불편할 것 같습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531" target="_blank">관련글</a> <br /> <br />아래 캡처는 원래 답변이 일렬로 붙어버렸지만 제가 보기 좋게 문맥별로 줄바꿈 처리를 해서 다시 이 게시판에 실어 놓은 겁니다. 참고하세요. <br /> <br />&lt;추신&gt; <br />이 문제는 크로미움 브라우저가 파폭 브라우저보다 웹페이지가 턱없이 길 시 렌더링 속도가 느리고 textarea 등 내용을 채우는 속도가 파폭 브라우저보다 현저하게 느려서 발생하는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건 예전에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803" target="_blank">브라우저 속도 측정 관련 페이지</a>에서 나타난 성능 차이를 참고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br />=================================================== <br /> <br />OpenAI 헬프 고객센터(우하단 아이콘을 클릭해야지 챗팅 창이 열림) - <a href=https://help.openai.com/en target=_blank>https://help.openai.com/en </a><br /> <br /><b>에이전트)</b> 어떻게 도와주면 되는 겁니까? <br /> <br /><b>윤찬)</b>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챗GPT_이용_중_다음과_같은_오류가_뜨면서_4번_연속으로_답변이_출력되지_않는데.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b>에이전트)</b> 안녕하세요! 저는 오픈을 도와드리기 위해 온 AI 지원 에이전트입니다AI 제품. 스크린샷을 보면 ChatGPT에서 "네트워크 오류 발생"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 같습니다. <br /> <br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br /> <br />인터넷 연결을 확인합니다: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유지하세요. <br /> <br />페이지 새로 고침: ChatGPT 페이지를 다시 로드해 보세요. <br /> <br />브라우저 캐시 지우기: 때때로 브라우저 캐시를 지우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br /> <br />다른 브라우저를 사용해 보세요: 가능하다면,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 오류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보세요. <br /> <br />확장 기능 비활성화: 일부 브라우저 확장(예: 광고 차단기)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활성화해 보세요. <br /> <br />로그아웃 및 로그인: 세션을 새로고침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br /> <br />이 단계들을 시도해 보았지만 여전히 오류가 발생하면, 시도한 내용이나 언제 이런 일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추가 세부 사항이 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도와주러 왔습니다! <br /> <br /><b>에이전트)</b> 대화를 평가해 주세요.(만족도 조사) <br /> <br /><b>윤찬)</b> 지금 메시지 에이전트 상담이 오류가 나면서 보이지 않는 게 뭔가 이상합니다. <br /> <br /><b>윤찬)</b> 파폭 브라우저에선 반복해서 동일한 질문에 4번 연이어 실패한 답변이 4페이지 다 보이는데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합니까? <br /><b>윤찬)</b> 파폭 브라우저에선 아까 크로미움 브라우저에서 반복해서 4번 연이어 이 에러가 뜨던 게 4페이지 다 답변이 정상적으로 보이는데 이런 증상이 왜 발생합니까? <br /> <br /><b>에이전트)</b>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r /> <br />귀하의 설명에 따르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반복되는 "네트워크 오류"를 보고 답변을 볼 수 없었습니다. Firefox(파폭)에서는 이전에 실패한 응답이 정상적으로 나타났습니다. <br />이는 브라우저마다 데이터를 캐시하고 네트워크 문제를 처리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br /> <br />캐싱 및 세션: 크롬 후 Firefox에서 동일한 ChatGPT 대화에 액세스하면 Firefox가 캐시된 데이터를 로드하거나 Open에 저장된 과거 응답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AI의 서버—이전에 로드되지 않았던 답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 /> <br />임시 네트워크 문제: 크롬의 네트워크 오류는 일시적인 연결 감소, 방화벽/보안 설정 또는 브라우저 확장 문제로 인해 해당 브라우저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br /> <br />서버 측 스토리지: ChatGPT는 사용자의 대화를 서버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답변이 생성되었지만 로컬 오류로 인해 표시되지 않을 경우, 다른 브라우저가 나중에 성공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br /> <br />할 수 있는 일: <br />- 한 브라우저에서 오류가 발생했지만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당신이 했던 것처럼 다른 브라우저에서 채팅을 새로 고치거나 다시 열어보세요. <br />- 브라우저가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고, 문제가 지속될 경우 캐시 삭제를 고려하세요. 특정 오류에 대해 도움이 필요하거나 추가 문제 해결 단계를 원하시면 알려주세요! <br /> <br />[OpenAI 헬프고객센터 채팅창이 열린 모습 - 이게 새로고침 전엔 제가 시드한 이미지며 메시지들이 에러가 났다면서 출력이 되지 않았었습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OpenAI_헬프고객센터_채팅창이_열린_모습.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8일 Friday AM 04:27:30 이윤찬 Fri, 18 Jul 2025 04:27:30 +0900 3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6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블록 이윤찬 - [챗GPT-o3] 매해 10월 지자체 독감 무료 백신 맞고 나서 6개월이 지난 뒤 작년부터 올해까지 5월 말이나 8월 말 사이에 여름 감기로 인해 고생을 하고 나서 챗GPT에게 다음과 같이 국가가 독감예방백신 정책을 바꿀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질문을 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1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lmn1/매해_10월_지자체_인플루엔자_백신무료접종_6개월_후_2차_접종_고려_시_체크해야할_사항들.rar">매해_10월_지자체_인플루엔자_백신무료접종_6개월_후_2차_접종_고려_시_체크해야할_사항들.rar</a><br /><br />한국도 최근 아열대 기후의 지역으로 점차 변화가 되고 있는 걸 감안할 때 아래 답변 내용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동일한 절기의 독감 백신을 다음 해 3~4월에 2차 접종하는 방식과 5~6월 이후 남반구용 백신을 들여와 접종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지만 동일 항원을 너무 짧은 간격으로 맞으면 이후 시즌의 면역반응이 둔화될 가능성(주:면역 간섭 문제)이 있기 때문에 가을(10월) 접종 시 고용량/어드주번트 백신 같은 고면역원 백신으로 초기 항체값을 높여 봄까지 보호력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권장한다는 건데 여기서 주의할 건 여름 감기가 실제로 독감인지 라이노나 코로나바이러스 등 비인플루엔자 감염인지 정확히 조사를 해 그에 상응하는 처방을 내려야 한다는 거고 만성질환자를 많이 상대하는 대인/접객 업무를 하는 직장에선 실제로 '남반구 백신' 을 5~6 월 선제 구매해 2차 접종을 시범 실시할 가치가 있다는 연구 제안이 있으니 이게 정말 효과가 있는지 시도 후 평가를 해 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br><br>여기까지가 어제 밤 제가 의문점이 들은 내용을 기초로 챗GPT-o3에게 물어 본 내용에 대한 답변의 핵심 내용들입니다. 정부에서도 이같은 내용을 검토하여 이런 취약점들을 개선시켜 나가야 하지 않느냐는 게 이번 칼럼의 요지입니다.<br>==============================================================<br><br>출처 -&nbsp;<a href="https://chatgpt.com/share/687410b6-457c-8009-9767-024e4e53751a"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7410b6-457c-8009-9767-024e4e53751a</a><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font><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야 독감 백신 있잖아. 이걸 내가 2021년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맞는 해부터 내가 죽 맞기 시작했는데 그 전 해인 2020년 2월 26일 산에 갔다와서 몸살 증세 비슷한 게 있으면서 생강차를 마신 뒤 코로나19 유사 증상 처럼 2~3분간 숨도 못 쉬는 엄청난 고통을 겪고 나서 아까 말했던 이듬해인 2021년 9월 28일 코로나19 화이자 2차 백신까지 맞고 그해(2021년) 10월 말인가 독감 백신도 처음 맞기 시작한 거거든. 또 이후 그 해 12월 28일 3차 코로나19 화이자 백신을 맞았기 때문에 2021년에 4번 연속으로 백신을 맞았던 셈인데 암튼 그 이듬해까지 코로나19나 감기에 안걸리나 싶더니 2022년 4월 1일에 목이 아주 아픈 증세로 COVID 19 자가검사키트 양성 반응에 이어 동네 우리가정의원에서 PCR 검사로 코로나19 확진을 받았고 거기서 감기약으로 치료를 마치고 나서 2023년 가을 때 다시 독감 백신 맞고 11월 1일 쯤 코로나19 재유행 때 화이자 XBB.1.5 4차 백신을 다시 2년 만에 연례적으로 한 번 더 코로나19 예방 백신을 맞은 거거든.</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하지만 이듬해 2024년 9월 3일 자가검사키트로 다시 코로나19 양성반응이 나와 우리가정의원에서 다시 감기약 처방을 받아 치료를 마친 후부터는 코로나19 백신 효과 의심으로 그 이후로 화이자 백신은 맞지 않았고 2025년 올해 5월 30일 한 번 7월 6일에 한 번, 총 2건의 감기는 다행히 자가검사키트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오지 않아 종전에 먹었던 감기약을 복용해 치료를 시도하다가 잘 낫지 않아 다시 병원에서 추가로 처방해 준 항생제를 5일간 복용하여 겨우 치료를 마친 뒤 지난 7월 6일에 다시 감기 증세가 재발한 거거든. 물론 증세는 목이 마찰감이 터지며 기침이 나는 것과 열이 나는 증세가 5월과는 좀 달랐긴 했다.</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이걸 기초로 내가 관찰해 봤을 때 올해 5월달은 내가 팀단위로 일하는 계약직 직장엘 한창 다니던 때이고 작년 10월 18일 독감 예방 접종을 맞은 뒤 6개월이 지난 시점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여 있는 이 직장엔 외부에서 서류를 제출하고 상담을 받고가는 사람들이 많이 출입했기 때문에 내가 백신 유효 기간이 지나고 나서 감기에 취약해지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바로 들더라는 거지.</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그래서 내가 궁금한 건 국가적으로 매년 가을 10월 중순에 시행하는 독감 백신 무료 접종 있잖아. 이게 내가 매년 이렇게 일지를 쓰고 관찰해 보니까 6개월까지는 효과가 유지되는데 그 이후에 이렇게 이런 팀단위로 일하는 조직의 근로자들에게 이런 식으로 감기에 취약해져 고생을 하게 만드는 빌미를 제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만약 작년 10월 중순에 독감 백신을 맞았다고 한다면 이듬 해 4월 중순에 다시한번 독감 백신을 맞는 식으로 나라에서 관리해 주는 건 어떻겠냐는 생각이 들었다는 거지.</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이게 중요한 것이 내가 올해 5월과 7월 두 번 연속으로 감기를 겪어보니 심하진 않았어도 고생을 많이 하며 건강 상 큰 애로점을 겪었다는 거고 결국 약물 복용으로 다른 합병증까지 발생했을 수도 있는 상황에서 예방 백신으로 독감이나 감기를 예방하는 게 생각보다 중요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이 독감 백신 접종 후 6개월부터 취약점이 생기는 이 현상에 내가 주목을 하게 된 거야.</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만약 전 해 가을에 독감 백신 접종으로 6개월 동안 감기나 독감이 예방되고 다시 이듬해 4월에 추가 개발된 접종으로 향후 추가 6개월이 독감으로부터 예방이 될 수 있다면 1년 내내 백신으로 감기 증세가 보호가 될 수 있다는 얘기 아냐? 더군다나 올해는 두 번 다 자가검사키트로 코로나19 양성은 아니었고 단순 감기였던 것으로 판명이 됐으니 다시한번 이런 코스가 중요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너가 <a href="https://chatgpt.com/share/68739460-f308-8009-ac84-86055fe488e5"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739460-f308-8009-ac84-86055fe488e5</a> 답변에서도 언급했지만 이게 백신 개발팀의 상업성도 아니고 바이러스 변이가 빨리 발생함으로써 백신의 면역이 짧게 유지되는 특성이란 얘기 아냐. 그렇다면 운동이나 식이요법 등 단순한 면역력 강화 조치는 한계가 있고 백신을 통한 6개월 면역 유지 조치가 더 효과적이란 추론도 할 수가 있는 것 같은데 말야.</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또 현실적으로 한국은 계속 고령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노인이나 각종 질환으로 인한 면역취약계층, 팀 단위 근로자 등이 이 같은 취약점에 계속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거고. 안 그래?</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국내엔 팀 단위로 일하는 직장이 상당히 많이 있을 거란 생각이 드는데 내가 이런 곳에서 근무를 하면서 이런 필요성을 이번에 단단히 경험을 하게 됐다는 거지.</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br></font></span></div><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너 생각은 어떠니? 뭔가 국가에서 매해 실시하는 독감예방백신을 통한 국민 건강과 질병 관리 방식의 전면 수정이 필요해 보이지 않느냐는 거지. 핵심은 그거다.</font><br><br><font color="#000000"><b>chatGPT의 말:</b><br></font></span><h3>핵심 요점 먼저</h3>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질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현재 근거로 본 결론</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독감-백신 면역이 6 개월쯤 지나면 뚜렷이 떨어지는가?</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맞습니다. H3N2·B형에 대해선 접종 4–6 개월 뒤 효과가 30 %p 정도 감소한다는 메타분석이 반복 확인됐습니다. (<a href="https://www.cdc.gov/mmwr/volumes/73/rr/rr7305a1.htm?utm_source=chatgpt.com" title="Prevention and Control of Seasonal Influenza with Vaccines - CDC" target="_blank">질병통제예방센터</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따라서 한국처럼 팀단위 근무자가 많은 곳에서 4월쯤 2차 접종을 국가가 지원해야 하지 않는가?</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아직은 “조건부 검토” 수준입니다. ① 겨울 이후엔 국내 인플루엔자 활동이 급감해 <strong>비용-효과</strong>가 낮고, ② 4월에는 차기절기(WHO 2월 권고) 항원으로 만든 <strong>새 백신이 생산되지 않아</strong> 같은 ‘작년형’ 백신을 한 번 더 맞는 구조가 됩니다. ③ 두 번 접종이 노인·면역저하층에서 <strong>이득일 수 있다는 모델 연구</strong>가 최근 나왔지만(4 개월 전) 아직 임상·행정 근거가 부족합니다. (<a href="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83281/?utm_source=chatgpt.com" title="The Potential for Twice‐Annual Influenza Vaccination to Reduce ..." target="_blank">PMC</a>)</td> </tr> </tbody> </table> <hr> <h2>왜 현재는 “연 1회, 가을(9-10월)”이 기본인가?</h2> <ol> <li> <p><strong>바이러스 계절성</strong></p> <ul> <li> <p>우리나라(온대 지역)는 12 월–3 월에 인플루엔자 양성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5 월 이후엔 주(週) 양성률이 한 자릿수로 떨어집니다. 예컨대 2025년 5월 18-24일(21주차) 바이러스 양성률은 3.1 %에 그쳤습니다. (<a href="https://www.kdca.go.kr/board/board.es?act=view&amp;bid=0033&amp;list_no=727883&amp;mid=a30504000000&amp;nPage=1&amp;tag=" title="Influenza weekly surveillance report(week 21, 2025) | Korea Influenza Weekly Report | Archives : KDCA" target="_blank">질병관리청</a>)</p> </li> <li> <p>여름에 걸린 “감기”의 상당수는 라이노·코로나바이러스 등 <strong>비(非)-인플루엔자 감염</strong>인 경우가 많습니다.</p> </li> </ul> </li> <li> <p><strong>백신 생산 일정</strong></p> <ul> <li> <p>WHO가 <strong>2월</strong>에 북반구용, <strong>9월</strong>에 남반구용 새 균주를 확정 ⇒ 생산·출하까지 최소 5–6 개월.</p> </li> <li> <p>따라서 4월 초엔 새 절기(2025-26) 항원을 쓴 백신이 아직 존재하지 않고, 10월 접종분이 가장 최신 조합이 됩니다. (<a href="https://www.who.int/news/item/28-02-2025-recommendations-announced-for-influenza-vaccine-composition-for-the-2025-2026-northern-hemisphere-influenza-season?utm_source=chatgpt.com" title="Recommendations announced for influenza vaccine composition for ..." target="_blank">세계보건기구</a>)</p> </li> </ul> </li> <li> <p><strong>면역 소멸과 위험 곱셈</strong></p> <ul> <li> <p>접종 4–6 개월 뒤 VE(백신효과)가 일부 감소하지만, 그때 <strong>바이러스 유행도</strong>가 낮아지므로 실제 절대 위험(Risk = VE × 유행규모)이 크게 늘지 않는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a href="https://www.immunize.org/ask-experts/topic/influenza/?utm_source=chatgpt.com" title="Ask The Experts About Vaccines: Influenza - Immunize.org" target="_blank">Immunize.org</a>)</p> </li> </ul> </li> <li> <p><strong>현재 국내 무료-접종 창구</strong></p> <ul> <li> <p>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은 10 월 11 일 ~ 다음 해 4 월 30 일 사이 보건소·위탁의료기관에서 1회 무료 접종을 받는 형태(2023-24절기 지침). (<a href="https://kdca.go.kr/upload_comm/syview/doc.html?fn=169658019582100.hwpx&amp;rs=%2Fupload_comm%2Fdocu%2F0015%2F&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코로나 - 19 - 와 인플루엔자 백신의 동시 접종 권고 - 질병관리청" target="_blank">질병관리청</a>)</p> </li> </ul> </li> </ol> <hr> <h2>“2회 접종”을 논의할 때 살펴야 할 네 가지</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체크포인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세부 설명</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① 목표 집단</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LTCF 입소 고령층, (b) 면역저하자, (c) 5 월에도 확실한 독감 유행이 이어지는 <strong>열대·아열대 지역</strong>에서 우선 검토 중</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② 추가접종 시기·항원</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3–4 월에 같은 절기 백신을 한 번 더 맞는 방식▸ 혹은 5–6 월 이후 ‘남반구용’(3월부터 생산) 백신을 들여와 맞는 방식(물류비 ↑)</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③ 비용-효과</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최근 시뮬레이션(2025)에서 “표준 용량 백신을 <strong>연 2회</strong> 맞히는 비용이 고용량·어드주번트 백신을 <strong>연 1회</strong> 맞히는 비용과 비슷하거나 낮아질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됨. (<a href="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1883281/?utm_source=chatgpt.com" title="The Potential for Twice‐Annual Influenza Vaccination to Reduce ..." target="_blank">PMC</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④ 면역 간섭 문제</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동일 항원을 너무 짧은 간격으로 맞으면 이후 시즌의 면역반응(Original-antigenic-sin)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어 임상 자료가 더 필요</td> </tr> </tbody> </table> <hr> <h2>현실적인 대안·개인 행동 지침</h2> <ol> <li> <p><strong>가을 접종 시 고용량·어드주번트 백신 선택</strong></p> <ul> <li> <p>65세 이상·만성질환자는 <strong>Fluad Tetra®, Fluzone High-Dose®</strong> 같은 고면역원 백신으로 초기 항체값을 높여 <strong>봄까지 보호력</strong>을 늘릴 수 있습니다.</p> </li> </ul> </li> <li> <p><strong>접종 시기 앞당기기</strong></p> <ul> <li> <p>9월 말~10월 초 <strong>최초 유행 전에 맞아야</strong> 겨울 피크까지 면역이 더 오래 갑니다(접종 지연이 곧 ‘면역 유효기간 단축’).</p> </li> </ul> </li> <li> <p><strong>하계(夏季) 호흡기 감염 예방</strong></p> <ul> <li> <p>인플루엔자 외 바이러스도 마스크·손위생·환기로 상당 부분 차단 가능.</p> </li> <li> <p>‘여름 감기’ 증상 + 고열 시 <strong>항원/PCR</strong>로 실제 독감인지 구별 후 오셀타미비르 처방 여부 결정.</p> </li> </ul> </li> <li> <p><strong>특수 상황(병원·콜센터 등 고위험 직장)</strong></p> <ul> <li> <p>기관 차원에서 <strong>주기적 신속항원검사, 유급 병가 사용 활성화, 마스크 상시 착용</strong>을 병행하는 쪽이 4월 추가접종보다 비용-효과가 높다는 분석이 많음.</p> </li> <li> <p>다만 만성질환자를 많이 상대하는 <strong>장기요양시설</strong>이라면 ‘남반구 백신’을 5–6 월 선제 구매해 2차 접종을 시범 실시할 가치가 있다는 연구 제안이 있습니다.</p> </li> </ul> </li> </ol> <hr> <h2>정책 제언 한 줄 요약</h2> <blockquote> <p><strong>“연 1회 접종” 기본 틀은 유지하되,</strong></p> <ul> <li> <p><strong>고령·면역취약층</strong>을 중심으로 <code inline="">① 고용량/어드주번트 백신</code> 또는 <code inline="">② 남반구 백신을 이용한 5–6 월 보충접종</code>의 <strong>소규모 시범사업</strong>을 KDCA가 설계‧평가**하고,</p> </li> <li> <p>팀단위 사업장에는 백신 외에 <strong>직장 환경 위생·휴가 정책</strong>을 통합 지원하는 쪽이 현재 과학·행정 근거에 부합합니다.</p> </li> </ul> </blockquote> <blockquote> <p>국민에게는 “매해 9–10월, 최신 백신을 제때 맞고(특히 고위험군은 고용량·어드주번트 선택), 한겨울까지 개인 위생을 철저히”가 여전히 가장 실질적·효율적인 방법입니다.</p> </blockquote> <p>필요하시면 2025-26절기 고령층 백신 종류·제공 의료기관 리스트도 정리해 드릴게요!</p></div><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4일 Monday AM 05:04:11 이윤찬 Mon, 14 Jul 2025 05:04:11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1 네티즌칼럼 > 일반 이윤찬 - 예전에 ASP 게시판 PHP로 포팅할 때 같이 포팅했어야 했는데 쩝~ 결국 철학관 이용자들한테만 불편을 초래했네요. 물론 얼마나 이 이벤트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5 제가 <a href=https://www.blrun.net/eight/event1.php target=_blank>https://www.blrun.net/eight/event1.php</a> 이 이벤트 페이지를 IIS 서버가 가동 중일 때 ASP 서버 페이지로 천정연분 이벤트의 사진 및 생년월일시 정보가 전송되도록 구성하다보니 주컴이 꺼져 있을 땐 전송이 불가능했는데 이것 예전에 한차례 ASP 로 돼 있는 게시판 소스를 PHP 를 포팅했을 때 같이 포팅했어야 했는데 안해서 여러분께 계속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네요. 암튼 이같은 전후 상황을 이렇게 여러분께 일부러 공지드립니다. 제가 여력이 되면 관련 ASP 페이지들을 PHP로 포팅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여태까지 아무런 공지도 없이 이같은 불편을 계속 방치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제가 AMD FX-4100 CPU IIS 서버가 돌고 있는 주컴을 요새 많이 사용 안해서 그렇습니다.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3일 Sunday AM 06:40:24 이윤찬 Sun, 13 Jul 2025 06:40:24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5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SNS 이윤찬 - 어머니는 보면 평소 사사건건 참견과 잔소리, 책망, 정리벽 때문에 아버지를 비롯한 아들에게 굉장한 스트레스를 줍니다. 오늘 그 사례를 정리해 봤습니다. (4)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6 컴퓨터 하고 있을 때 모니터 2개 쓰지 말고 하나만 쓰라고 잔소리를 하시고 <br /> <br />이렇게 감기가 들어 제가 약한 기침이라도 할 때엔 제가 챗GPT 말대로 선풍기 직접 바람 안쐬고 회전으로 왼쪽 책상 UPS 장치 있는 데까지 골고루 1단 풍속으로 발 밑으로 돌아가게 만들어도 이 더운 날씨에 "감기엔 선풍기 바람 쐬면 안된다" 면서 갑자기 와서 푹 끄시며 잔소리, <br /> <br />아버지 급성신우신염과 급성전립선염으로 양지병원 퇴원하시고 나서 체온과 혈압 등 많이 좋아지셨지만 여전히 변비가 개선이 안되어 챗GPT한테 물어 그 내용 인쇄하여 아버지한테 몇가지 시도해 볼 수 있는 내용을 말씀드려도 왜 아버지한테 그렇게 신경을 쓰면서 설레발이냐며 잔소리, <br /> <br />식사 전 아버지가 두유 주문하라고 하셔서 맛이 아닌 아버지 건강에 좋고 오래 음용할 수 있는 제품을 주문하기 위해 두유 종류별로 내용 첨부해 챗GPT에게 의견 물어보다가 식사 시간 12분 정도 늦어도 왜 빨리 밥 안 먹으러 나오냐고 잔소리, <br /> <br />식사 마치고 매번 제가 음식 일기 쓰고 식탁 정리하는 상황에서 어련히 알아서 다 치울까봐 그새를 못 참고 나중에 엄마가 알아서 먹을테니 식탁 정리 했냐고 매번 잔소리, <br /> <br />식사 하면서 어머니 왈 중간에 아버지한테 평소 집안 일 좀 부탁하면 아버지 말이 자기가 노는 꼴을 못 본다고 말했다고 그것 가지고 꼬투리 잡으면서 아버지와 티격태격 책망 소나기를 하셔서 아침부터 아들까지 소화 안되게 만드신 일, <br /> <br />아침 식사 후 컴터 하다가 기침이라도 콜록 다시 할라치면 병원 가라고 잔소리, <br /> <br />낮 동안에 티셔츠 안에 런닝 입고 있으면 날씨도 더운데 런닝 벗고 티셔츠 입으라는 잔소리, <br /> <br />산책 등산 다녀와서 폭염에 목욕이라도 할라치면 감기 들었는데 왠 목욕이라며 잔소리를 하셔서 미지근하게 물 만들어서 목욕하겠다고 제가 대응했던 일, <br /> <br />정기적으로 은행 일이라도 보고 올라치면 전체 어머니 돈 잔액과 제가 모은 돈 잔액까지 통장 기장 이해시켜드려야 하는 일, <br /> <br />시장에서 어머니가 장이라도 보고 올라치면 어머니가 들고 나가신 돈과 현재 남은 잔돈 확인해 계산이 맞는지 확인시켜 드려야 하는 일, <br /> <br />아버지가 옷이나 수건을 자주 갈아 내놓으시면 왜 그리 빨랫거리를 자주 내놓냐고 아버지 책망을 하시는 일, <br /> <br />아버지 옷 입는 거며 양말 신는 것 가지고 참견하시다 아버지 왈 왜 맘대로 입는 옷을 치웠냐고 또 양말을 맘대로 버렸냐고 해서 싸움이 나고, <br /> <br />오이가 떨어져 시장에 가서 사온다고 해도 왜 오이만 먹냐고 그만 사먹으라고 잔소리, <br /> <br />후무스 만들어서 오이랑 잘 챙겨 먹는데도 후무스만 먹다가 병걸린다고 잔소리, <br /> <br />병아리콩 볶음 요리는 후무스 만들어 먹으니 해먹지 말라고 책망, <br /> <br />매주 화요일 재활용 수거일에 아버지가 거실 청소를 하시고 나서 금요일에 다시 저한테 동글이 청소기로 거실 청소시키시다 하기 싫다고 저항했지만 책망 소나기에 결국 제가 매주 금요일 오후에 청소기로 거실 및 싱크대 청소를 추가로 해드리기로 합의한 일, <br /> <br />너가 현재 저녁 8시 40분에 자서 새벽 3시 40분에 일어나고 있는데 잠이 너무 적다고 일어나기 전에 깨면 절대 세수하지 말고 다시 이불 속에 들어가 자라고 잔소리, <br /> <br />평소 물 꾸준히 먹는데도 아침에 일어나서 물 바로 먹으라고 잔소리, <br /> <br />제가 엘리베이터 음성 명령 대기 고장이나 지하 C1 주차장 경보 알림 없어 위험하다고 신경쓰면 왜 아파트 일에 너가 참견하냐고 잔소리, <br /> <br />집 컴퓨터 고장나서 수리하고 있으면 컴퓨터 한 대만 남겨놓고 다 버리라고 잔소리, <br /> <br />컴퓨터 출장 AS 나가려고 준비하면 출장비 받을 건 다 받으라는 잔소리, <br /> <br />연이어 부품 사서 갈아주는 일은 하지 말라는 잔소리, <br /> <br />제가 PC에 붙여서 사용하려는 부품 한 개 구입해 올라 치면 얼마에 샀냐고 꼬치꼬치 물으시고, <br /> <br />그 때 저는 사실대로 말해서 또 소란이 생기고, <br /> <br />평소 먹고 싶은 것이 있어서 몇 개 주르륵 사오기라도 할라 치면 왜 이렇게 돈을 펑펑 쓰냐면서 처먹는 데만 관심이 있다며 책망과 잔소리, <br /> <br />매번 주식으로 먹기 위해 떨어진 후무스 요리 제 때 잘 만들어 먹는데도 왜 아침부터 싱크대에서 설치냐고 이따 오후에 해먹으라고 잔소리 등등... <br /> <br /> <br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잔소리와 책망까지 아마 생각해 내면 200% 이상은 더 있을 겁니다. 암튼 이런 것들 때문에 아버지를 비롯해 특히 제가 아주 힘이 들 때가 많습니다. 여러분이 보시기에도 심하지 않나요? <br />ㅡ_ㅡ<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2일 Saturday AM 08:47:12 이윤찬 Sat, 12 Jul 2025 08:47:12 +0900 4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o3] 트위터에 올라온 임은정 동부지검장의 개혁에 반발한 안미현 검사 이야기를 보고 궁금해서 함 물어봤습니다. 한가지 분명한 건 어설프게 했다가는 도 아니면 개 식의 개혁이 될 거란 거죠. 이재명 대통령이 피해자인 윤석열 검찰도 검찰의 독립성이 보장되지 못해서 벌어진 일이란 건 분명해 보이니까요.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0 <font color="#000000" style="">국민주권정부 답게 진정으로 국민의 주권을 실현할 수 있는 검찰 개혁으로 이어지길 고대해 봅니다.<br><br><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ap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648" target="_blank">관련글</a><br></font>===========================================<br><br>출처 -&nbsp;<a href="https://chatgpt.com/share/686f86bd-2308-8009-a54c-03b23d89d7f3"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6f86bd-2308-8009-a54c-03b23d89d7f3</a><br><br><font style="font-weight: bold;"><font color="#0000ff">나의 말:</font><br></font><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야 임은정 동부지검장 개혁에 반발한 안미현 검사 이야기가 트워터에 흘러나오는 걸 봤는데 이게 안미현 검사 1인의 성토가 아니라 검찰에 몸담고 있는 감사들의 열망을 이 사람이 쏟아낸 것 같은데 이것과 관련된 검찰 개혁 방향과 어떤 문제점이 불거지고 있는지 좀 설명해 줘. 왜 이 여검사는 동부지검장의 개혁이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거야?<br></font><br><b>chatGPT의 말:</b> </span><h3>무슨 일이 벌어졌나?</h3> <ul> <li> <p><strong>7 월 4 일</strong> 임은정 신임 서울동부지검장은 첫 출근길에서 “검찰이 변하지 않으면 <em>해체에 가까운 개혁</em>을 당할 것”이라고 공개 발언해 강도 높은 내부 혁신 의지를 밝혔습니다(<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5605" title="KBS 뉴스" target="_blank">KBS 뉴스</a>).</p> </li> <li> <p><strong>7 월 8–9 일</strong> 강원랜드 수사 외압 폭로로 이름을 알렸던 안미현 서울중앙지검 검사가 내부망 ‘이프로스’와 자신의 X(트위터)에 “도대체 <em>무엇을</em> 어떻게 바꾼다는 것이냐”라며 임 지검장을 직격했습니다. 그는 개혁의 본질은 “<em>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수사·인사</em>”라고 강조했죠(<a href="https://m.nocutnews.co.kr/news/amp/6367065" title=" '수사 외압' 폭로 안미현, '검찰개혁' 임은정 비판…&amp;quot;현답 알려달라&amp;quot; - 노컷뉴스 " target="_blank">노컷뉴스</a>, <a href="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33860_36718.html" title="&amp;quot;답장 안 보셔서‥&amp;quot; 임은정 공개 직격한 안미현, 왜?" target="_blank">MBC 뉴스</a>).</p> </li> <li> <p>임 지검장은 이후 SNS에서 “검찰이 바뀌지 않으면 ‘장의(葬儀)’를 치를 각오를 해야 한다”는 표현까지 쓰며 물러서지 않았고, 답장을 읽지 않았다는 이유로 안 검사가 글을 공개하면서 갈등이 표면화됐습니다(<a href="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34268_36718.html" title="'윤석열처럼 되고 싶나?' 임은정, 검사들 보라는 듯" target="_blank">MBC 뉴스</a>).</p> </li> </ul> <p>결국 한 사람의 설전이 아니라, **‘어떻게 바꿀 것인가’**를 놓고 검찰 내부 시각이 두 갈래로 갈린 상황이 드러난 셈입니다.</p> <hr> <h2>1. 임은정 지검장이 내건 개혁 구상</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핵심 키워드</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취지·방향</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현장 반응</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해체급 개혁” 경고</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검찰 스스로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면 입법·제도적 대수술(수사·기소 완전 분리 등)을 감수해야 한다는 메시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개혁 지지 성향 검사들은 “타이밍 맞다”는 평가, 보수 성향 검사들은 “조직 해체 겁박” 비판</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표적 수사·봐주기 청산</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특수부·인지수사 축소, 배당 사건 중심 처리, 장기 미제 털기(<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5605" title="KBS 뉴스" target="_blank">KBS 뉴스</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특수수사를 주력으로 해온 부서·검사들의 반발</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수사 · 기소 분리 지지</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이재명 정부·여당 TF가 추진 중인 ‘검찰개혁 4법’(기소권만 남기는 안)과 보조 맞추기(<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5016&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취임 30일 기자회견…“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 KBS 뉴스" target="_blank">KBS 뉴스</a>, <a href="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50707/131949084/2?utm_source=chatgpt.com" title="與, 검찰개혁 TF 가동… '수사-기소 분리안' 추석전 속도전 - 동아일보" target="_blank">동아일보</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수사 역량 급격 약화” vs “정치적 중립 보장” 논쟁</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조직 문화 혁신</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수사 판단 공개 로그제 ▲평검사 회의 상시화 ▲감찰 강화·징계 실명 공개 등</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투명성은 찬성, 실명 공개는 과도”라는 혼재된 반응</td> </tr> </tbody> </table> <blockquote> <p>임 지검장의 리더십 스타일은 “내부고발자 출신답게 거침없지만, 세밀한 로드맵이 부족하다”는 평가와 “이 정도 강도 아니면 위기가 안 보인다”는 옹호가 공존합니다.</p> </blockquote> <hr> <h2>2. 안미현 검사가 제기한 핵심 문제의식</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비판 포인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요지</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왜 공감대를 얻나?</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개혁의 방법론이 불투명”</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무엇을·어떻게’가 빠진 선언적 메시지로 조직 불안을 키운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실무 검사의 1차적 관심사는 <em>구체적 절차</em>와 <em>업무 배분</em></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정치적 독립 우선</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커리어 경험상 <em>외부(정권) 압력</em>이 가장 심각했다고 판단한다(<a href="https://imnews.imbc.com/news/2025/society/article/6733860_36718.html" title="&amp;quot;답장 안 보셔서‥&amp;quot; 임은정 공개 직격한 안미현, 왜?" target="_blank">MBC 뉴스</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강원랜드·김학의 등 과거 외압 사례를 겪은 검사들에게는 설득력</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검사 전체를 적폐 취급한다”</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장례 치르겠다’는 표현이 현장 검사들의 사기를 꺾는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익명 게시판·단체 대화방에서 비슷한 불만 다수 제기</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수사·기소 분리 속도전 우려</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경찰·공수처 역량, 인권 보장 장치가 미비한 채로 추진되면 국민 피해.</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2021–23년 단계적 분리 논쟁 때 드러난 시행착오 우려가 되살아남</td> </tr> </tbody> </table> <p>안 검사는 “조직 자정 기능은 미흡했지만, 해체 수준의 처방은 해답이 아니다”라며 <em>구체적 로드맵</em>과 <em>현장 의견 수렴</em>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a href="https://m.nocutnews.co.kr/news/amp/6367065" title=" '수사 외압' 폭로 안미현, '검찰개혁' 임은정 비판…&amp;quot;현답 알려달라&amp;quot; - 노컷뉴스 " target="_blank">노컷뉴스</a>).</p> <hr> <h2>3. bigger picture: 여권 · 정부 ‘추석 전 입법’ 드라이브</h2> <ul> <li> <p>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수사·기소 분리엔 반론이 거의 없다”**며 국회에 속도전을 주문했습니다(<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5016&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취임 30일 기자회견…“검찰 수사·기소 분리 이견 없어” - KBS 뉴스" target="_blank">KBS 뉴스</a>).</p> </li> <li> <p>더불어민주당은 검찰개혁 TF를 가동, 기소권만 남기고 수사는 ▲중대범죄수사청(가칭) ▲경찰 ▲공수처로 분산하는 ‘4법’ 초안을 추석(10 월 6 일) 전 만들겠다고 예고했습니다(<a href="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50707/131949084/2?utm_source=chatgpt.com" title="與, 검찰개혁 TF 가동… '수사-기소 분리안' 추석전 속도전 - 동아일보" target="_blank">동아일보</a>).</p> </li> <li> <p><strong>변수</strong> : △경찰 비대화·통제 장치 △공수처 수사력 △여당 내 강경파 vs 신중론 차이 △헌재 위헌 심판 가능성.</p> </li> </ul> <hr> <h2>4. 결론 · 전망</h2> <ol> <li> <p><strong>같은 목표, 다른 우선순위</strong></p> <ul> <li> <p>임은정 : <em>“시민 신뢰 회복 → 조직 생존”</em></p> </li> <li> <p>안미현 : <em>“정치 독립 확보 → 신뢰 회복”</em></p> </li> </ul> </li> <li> <p><strong>현재 문제점</strong></p> <ul> <li> <p>구체안 부족 → 내부 소통 단절</p> </li> <li> <p>해체·장례 같은 표현 → 조직 방어 본능 자극</p> </li> <li> <p>수사 공백·경찰권 남용 우려 → 실무 단계 대책 미비</p> </li> </ul> </li> <li> <p><strong>앞으로 관건</strong></p> <ul> <li> <p>▶ 여야가 제도 설계 과정에서 “수사 공백 방지·인권 보장·정치 독립”을 균형 있게 반영할지</p> </li> <li> <p>▶ 검찰 지휘부가 현장 검사들과 <strong>상향식(바텀업) 의사 결정 구조</strong>를 만들 수 있을지</p> </li> <li> <p>▶ 헌재 · 국민 여론이 속도전에 제동을 걸 가능성</p> </li> </ul> </li> </ol> <p>결국, 안미현 검사의 공개 질의는 “속도보다 설계도가 먼저”라는 조직 내부의 목소리를 대변합니다. 임은정 지검장이 이 질문에 <strong>구체적 실행 로드맵</strong>과 <strong>현장 참여 창구</strong>로 답할 수 있느냐가, 향후 검찰 개혁의 동력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br><br><b style=""><font color="#0000ff">나의 말:</font><br></b><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사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검찰도 즉 현 이재명 대통령의 집권 과정에서 벌어진 명백한 피해도 다 검찰이 정치 권력으로부터 독립하지 못해서 그런 건 분명한데 사실 이 정권이 어설프게 개혁했다가는 도 아니면 개 식의 개혁이 될 게 분명해 보이니까 문제가 되는 것 같다. 안미현 검사를 비롯한 검찰 내부 검사들이 지적하는 것도 그것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오히려 어설픈 개혁이 현 집권 정부가 목표로 했던 정치 검찰의 개혁과는 거리가 먼 또 하나의 정치 검찰을 탄생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는 거지. 심지어는 나 같으면 현 국가 시스템이 검찰청이란 피고자의 단죄보다는 국민주권 차원에서 억울한 피해를 받지 않게 만드는 변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말이다. 내 말도 일리가 있잖아.<br></font><br><b>chatGPT의 말:</b> </span></p><p>맞아요. “검찰을 어떻게 손봐야 정치로부터 자유로우면서도 국민이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게 할 수 있느냐”가 이번 갈등의 핵심 쟁점입니다. 안미현 검사가 던진 문제의식은 크게 두 갈래로 읽힙니다.</p><hr><h2>1 “절반짜리 구조조정이면 또 다른 정치 검찰만 낳는다”</h2><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우려</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왜 나오는가?</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어떻게 보완할 수 있나?</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① 권한을 나누되 독립성 장치를 빠뜨릴 수 있다</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여당 ‘검찰 4법’은 수사권을 경찰·공수처·신설 국가수사委로 쪼개지만, 새 기관이 장악 구조·인사 절차에서 정권 영향권에 그대로 놓이면 <em>정치적 종속</em>만 복제될 수 있다(<a href="https://v.daum.net/v/20250710171205902?utm_source=chatgpt.com" title="&amp;quot;與 추진 국가수사委, 민주국가엔 없어…북·중·러나 있을법&amp;quot;(종합) - Daum" target="_blank">다음</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기관장 선임 시 초당적 인사추천위·임기 보장 △‘삼권 서로 견제’ 구조(수사委 → 영장청구권 없음 등) △예산 독립 규정</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② ‘속도전’이 현장 역량 · 절차 설계보다 앞선다</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검경 수사권 조정(2021~23) 때 이미 “야간 긴급수사·압수물 관리·정보 공유 창구가 미비해 피해자 보호가 오히려 흔들렸다”는 뒷말이 컸다. 같은 패턴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경고(<a href="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70715390893593&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수사·기소 분리, '어떤 수사'를 떼는 걸까 - 머니투데이" target="_blank">MT News</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단계적·범죄유형별 이관(경제·선거 → 강력·조직범죄 순) △실무 프로토콜·IT시스템 사전 구축 △2~3년 단위 성과·공백 평가</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③ 문화·평가 시스템을 그대로 두고 ‘간판’만 바꾼다</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특별수사 엘리트 구조·‘실적식’ 인사 평가를 손대지 않으면, 조직이 이익에 따라 움직이던 관성은 유지된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사건 배당·처리 과정을 전면 전자화·대국민 공개 △정치·경제·선거 사건 처리 시 ‘시민 의사 결정 패널’(미국 grand jury 유사) 시범 운영 △실패수사·부실기소에 대한 실명 평가·인사 연동</td> </tr> </tbody> </table><hr><h2>2 “억울한 국민을 덜 만들려면 <em>변호권부터 두텁게</em>”</h2><p>안 검사뿐 아니라 시민단체·변호사단체가 꾸준히 주장해 온 대안이 <strong>형사공공변호인(수사단계 국선변호)</strong> 의 전면 도입입니다.</p><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현재 제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한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개선 로드맵 (예시)</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m>국선변호인</em> ⇒ 기소 이후(재판 단계) 대상자 제한·절차 복잡</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피의자 조사 초기에 변호인이 없으면 “조서 한 장”이 기소·유죄 추정을 결정짓는 구조가 그대로 유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 <strong>2026 전국 확대</strong> : 구속·미성년·장애인 사건부터 단계적 확대 2) <strong>예산 안정화</strong> : ‘공공법률구조 특별회계’·추가복권 기금 활용 3) <strong>전담 변호사제</strong> : 중앙·광역 단위 국선전담센터 설립 4) <strong>경찰·검찰 조서 전면 영상녹화·증거개시 의무화</strong></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m>법률구조공단 무료 상담</em></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사건 초기엔 정보·휴먼파워가 부족, 실질적 “초동 방어막” 역부족</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5) AI 기반 사건 triage(피해유형 판단·전문 변호사 자동 연결)</td> </tr> </tbody> </table><blockquote> <p>대한변협·국회 토론회에서도 같은 개선안이 제시됐지만 예산·변호사 수급 문제로 진전이 더디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a href="https://koreanbar.or.kr/pages/board/view.asp?category=&amp;page=1&amp;searchstr=&amp;searchtype=&amp;seq=14632&amp;teamcode=&amp;types=11&amp;utm_source=chatgpt.com" title="국선변호인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 법령과 입법 시 고려사항을 ..." target="_blank">대한변호사협회</a>).</p> </blockquote><hr><h2>3 검찰 개혁 - 국선/공공변호 강화 - 정치적 독립</h2><h3>세 박자를 맞추는 <strong>실행 순서</strong> 제안</h3><ol> <li> <p><strong>“독립 선행”</strong></p> <ul> <li> <p>인사·예산을 법무부가 아닌 <em>국회 추천+헌재·법원 대표</em>가 포진한 독립 위원회가 관장</p> </li> <li> <p>지휘 라인을 대통령→법무부 장관이 아닌, 헌법·법률로 직접 규정</p> </li> </ul> </li> <li> <p><strong>“방어권 강화”</strong></p> <ul> <li> <p>①수사 단계 변호조력 전면 보장 ②조사 전 영상녹화·전자자료 즉시 열람 ③급여·평가 연동 없는 상근 국선변호사제</p> </li> </ul> </li> <li> <p><strong>“권한 분산 but 책임 집중”</strong></p> <ul> <li> <p>수사는 여러 기관이 나눠도 <em>기소 결정</em>은 검찰에 남겨 → 기소 전 검찰시민위원회·판사 영장심사로 견제</p> </li> <li> <p>실패·부실 기소엔 검사는 인사·재정 불이익, 수사기관엔 손배 청구 가능</p> </li> </ul> </li> <li> <p><strong>“중간평가→조정”</strong></p> <ul> <li> <p>2~3년 후 수사 공백·정치 개입·국민 체감권익을 지표화해 국회가 개혁 2단계 착수(필요시 추가 권한 재조정)</p> </li> </ul> </li> </ol><hr><h2>4 왜 ‘어설픈 개혁’이 더 위험할까?</h2><ul> <li> <p><strong>권한만 재배분</strong>하면 <em>정치권이 새 통제 창구</em>를 찾기 쉬움. 예컨대 국가수사委 인사권·예산권을 여당이 장악하면 ‘검찰 대신 委’ 가 될 뿐입니다(<a href="https://v.daum.net/v/20250710171205902?utm_source=chatgpt.com" title="&amp;quot;與 추진 국가수사委, 민주국가엔 없어…북·중·러나 있을법&amp;quot;(종합) - Daum" target="_blank">다음</a>).</p> </li> <li> <p><strong>변호권·투명성 후순위</strong>면, 조직 이름이 바뀌어도 <em>조사실의 힘의 불균형</em>은 그대로라 억울한 피해가 반복.</p> </li> <li> <p><strong>절차 설계 생략</strong> 시 과거 검경 조정 때처럼 ‘누가 사건을 떠안느냐’ 실무 혼선이 길어져 오히려 수사 공백·피해자 방치가 심화될 수 있습니다(<a href="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70715390893593&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수사·기소 분리, '어떤 수사'를 떼는 걸까 - 머니투데이" target="_blank">MT News</a>).</p> </li> </ul><hr><h3>한 마디로…</h3><blockquote> <p>“검찰을 ‘덜 정치적’으로 만드는 가장 확실한 길은 <strong>① 인사·예산 독립 + ② 초기부터 두터운 변호권 + ③ 정책 효과를 주기적으로 점검·조정</strong> 세 가지를 함께 굴리는 것이다.”</p> </blockquote><p> </p><p>이 세 축이 동시에 돌아가지 않으면, 말씀하신 대로 <em>또 다른 정치 검찰</em>이 나오거나 <em>국민 체감 정의</em>가 더 멀어질 위험이 큽니다. 제안 드린 로드맵이 “속도보다 설계”를 고민하는 데 작은 참고가 되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구체적인 제도나 해외 사례가 궁금하시면 편하게 말씀 주세요!</p><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10일 Thursday PM 06:27:06 이윤찬 Thu, 10 Jul 2025 18:27:06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90 네티즌칼럼 > 일반 이윤찬 - 아이폰 13 메시지 수신 날짜 표시가 왜 이래요? 헐~ 날짜 표시가 안돼 있습니다. 다음 이미지와 같이 요일과 시간만 있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5 여러분은 아이폰13 메시지가 원래 이렇다는 걸 평소 알고 계셨나요? 뭔가 iOS가 최근의 메시지들만 요일과 시간만을 표시해 주고 그 이전 메시지들은 년월일을 표시하는 식으로 날짜 형식을 표시해 주는 것 같은데 전 처음에 이런 표시 형태를 보고 날짜가 왜 빠졌지 하면서 의아하게 생각했는데 i메시지의 특징이 그런 것이더라구요. 자칫 잘못하다가는 표시 형식이 잘못되었다고 오해할 수도 있겠더라구요. <br />ㅡ_ㅡ; <br /> <br />약간 혼돈이 발생할 여지가 많은 것 같습니다. 무슨 말씀인지 아시겠죠? <br /> <br />&lt;추신&gt; <br />메시지의 우측의 시간은 제가 메시지를 좌측으로 메시지를 밀어서 일부러 표시한 것이니 다른 오해가 없으시기 바랍니다. <br /> <br />[그림1 - 로젠택배에서 온 메시지 날짜와 시간 표시 예시]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7_05_018.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6일 Sunday PM 12:04:41 이윤찬 Sun, 06 Jul 2025 12:04:41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크롬에서 쿠팡의 카드 승인 전표 등 인쇄할 때 특정 페이지를 인쇄할 수 없고 스풀이 걸리는 문제는 6년이 지나도록 해소가 되질 못하고 있네요. 심하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4 헐~ 제가 이 문제 지적하고 크롬 도움말 &gt; 문의하기 쪽에 문제를 제기한 게 벌써 6년이 훨씬 지났는데 이 문제는 여전히 해소가 되질 못하여 같은 소스를 사용하는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에서도 마찬가지인데 크롬의 문제점 또 하나는 특정 페이지를 인쇄하는 기능이 없어서 시스템 대화상자를 사용하여 인쇄를 해야 한다는 건데 여간 불편한 게 아니고 이런 식으로 특정 페이지 인쇄 시도 시 스풀이 걸리면서 추후 인쇄도 못하기 때문에 인쇄를 취소한 다음 PC를 매번 재부팅해야 돼서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br /> <br />왜 이런 치명적인 문제점을 여태까지 방치를 하고 있는지 정말 저로선 이해가 안되네요. MS 뉴엣지 브라우저는 이 상황에서 인쇄가 아주 잘 됩니다. 구관이 명관이 아니라 이렇게 되면 구관이 좆망이 되는 건데... 여러분은 이 상황이 이해가 되시는지... 엡손 L365 복합기 프린터에서 그러더라구요. 다른 프린터는 확인해 보지 않았네요.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088"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2768" target="_blank">관련글2</a><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5일 Saturday PM 06:26:20 이윤찬 Sat, 05 Jul 2025 18:26:20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이번에 지급되는 민생 회복 소비 쿠폰, 행정안전부 공지가 떠서 스크랩 했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1 <blockquote class="twitter-tweet"><p lang="ko" dir="ltr">📢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 사용처 등 확인하세요!<br><br>📌 민생회복 소비쿠폰은!?<br>-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특단의 조치로서 소비를 활성화하고,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매출을 확대하기 위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 됩니다.<br><br>📌 대상 <br>- 전 국민 대상으로 지급<br>(미성년자는 주민등록 세대주… <a href="https://t.co/qywRO29lVh">pic.twitter.com/qywRO29lVh</a></p>— 행정안전부 (@withyou3542) <a href="https://twitter.com/withyou3542/status/1941313162244141460?ref_src=twsrc%5Etfw">July 5, 2025</a></blockquote> <script async src="https://platform.twitter.com/widgets.js" charset="utf-8"></script> <br /> <br />[민생 회복 소비 쿠폰]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1.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2.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3.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4.png' align='' width='3240'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5.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6.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 <br />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민생_회복_소비_쿠폰7.png' align='' width='3241' height='324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5일 Saturday PM 03:58:07 이윤찬 Sat, 05 Jul 2025 15:58:07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ap1&no=821 스크랩 > SNS 이윤찬 - [챗GPT-o3] 이번에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1년 유예 후 적용되는 상법 개정안 특징... 페이스북에 내용이 나왔길래 궁금해서 한번 물어봤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89 <meta name="generator" content="Namo WebEditor"> <b><font color="blue">나의 말:</font></b><font color="blue"><br> 야 이번에 본회의에 통과된 상법 개정안에서 3% 룰이란 게 뭐야? 보통 대주주나 이해관계인의 지분이 있다면 그 지분수 만큼 의결권을 가지는 게 일반적인 것 아냐? 근데 뭐가 달라진다는 거야? <br></font><br> <b>chatGPT의 말:</b><br> 한-줄 요약부터 <strong>3 % 룰</strong> = “감사(위원) 뽑을 때는 최대주주 + 특수관계인 지분을 아무리 많이 갖고 있어도 합쳐서 의결권 3 %만 쓸 수 있다”는 예외 규정이다. 이번 상법 개정으로 적용 범위가 더 넓어지고 빈틈(꼼수)이 막혔다.(<a href="https://www.lawtimes.co.kr/news/209398?utm_source=chatgpt.com" title="여야,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합의…3일 본회의 처리 예정 - 법률신문">lawtimes.co.kr</a>) <hr> <h3>1. 왜 ‘3 %’만 쓸 수 있게 묶어 두나?</h3> <ul> <li> <p><strong>보통은 1 주 = 1 표</strong>가 원칙(상법 §369).</p> </li> <li> <p>하지만 **감사·감사위원(이사회 내 감시기구)**을 대주주가 마음대로 뽑으면 회계·경영 감시 기능이 무력화될 수 있다.</p> </li> <li> <p>그래서 1998년부터 “감사 선임 때만은 최대주주 쪽 의결권을 3 %로 제한”하는 조항이 생겼고, 2020년 개정 때 ‘감사위원 1명을 분리 선출’ 제도와 함께 유지돼 왔다.(<a href="https://www.lexology.com/library/detail.aspx?g=c40cae7b-c02c-419c-84e2-403b55e2c890" title="상법개정 감사위원 선임에 대한 ‘합산 3% 룰’ 적용 확대 - Lexology">lexology.com</a>)</p> </li> </ul> <h3>2. 이번 개정으로 <strong>무엇이 달라졌나?</strong></h3>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구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종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2025. 7 월 개정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의미</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대상</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사내이사(내부이사)가 감사위원으로 선출될 때만 3 % 룰 적용</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사외이사(독립이사)·사내이사 구분 없이</strong> 감사위원 선임 <strong>모두</strong> 3 % 룰 적용</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대다수 기업이 사외이사로만 감사위를 꾸미다 보니 사실상 룰이 무력화됐던 점을 보완</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지분 합산 범위</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최대주주+특수관계인 중 ‘본인 + 상위 4인’까지만 합산 → 지분 쪼개기 여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최대주주+모든 특수관계인 지분을 전부 합산</strong> 후 3 % 초과분 제한</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우회적으로 표를 늘리던 ‘지분 쪼개기’ 차단</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적용 기업</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자산 2 조 원이상 상장회사</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동일</strong> (자산 기준 유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대규모 상장사 위주 규제</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시행 시기</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공포 후 1년</strong> 경과한 날부터</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준비 기간 1년 부여</td> </tr> </tbody> </table> <p>(<a href="https://www.lexology.com/library/detail.aspx?g=c40cae7b-c02c-419c-84e2-403b55e2c890" title="상법개정 감사위원 선임에 대한 ‘합산 3% 룰’ 적용 확대 - Lexology">lexology.com</a>, <a href="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50702/131925850/1?utm_source=chatgpt.com" title="상법개정안, '3%룰' 포함하고 '집중투표제' 보류한다 - 동아일보">donga.com</a>)</p> <h3>3. 주주 입장에서 체감 포인트</h3> <ol> <li> <p><strong>대주주 영향력 ↓</strong></p> <ul> <li> <p>예: 최대주주가 60 % 지분을 가져도 감사위원 선거에서는 3 % 표만 행사. 나머지 57 %는 자동으로 배제.</p> </li> </ul> </li> <li> <p><strong>소수주주·기관투자자 영향력 ↑</strong></p> <ul> <li> <p>40 %만 쥔 연기금·행동주의 펀드도 감사위원을 사실상 선출 가능.</p> </li> </ul> </li> <li> <p><strong>회계 투명성·경영 감시 강화</strong></p> <ul> <li> <p>감사위원회가 대주주 눈치보다 주주 전체·회사 장기가치에 집중할 유인이 커짐.</p> </li> </ul> </li> <li> <p><strong>경영권 방어비용 상승</strong></p> <ul> <li> <p>지배주주 입장에선 감사위원 선임을 위한 로드쇼·위임장 경쟁이 현실화, 비용 증가.</p> </li> </ul> </li> <li> <p><strong>발효 전 준비 필요</strong></p> <ul> <li> <p>내년부터 적용되므로 정관·내부 규정 손질, 지분 구조 정비, 위임장Solicitation 전략 수립 필요.</p> </li> </ul> </li> </ol> <h3>4. 왜 여전히 “3 %”인가?</h3> <ul> <li> <p>해외(예: 일본 3 %, 이탈리아 2.5 % 제한)와 유사한 소수주주 보호 장치가 이미 검증돼 있어 숫자는 그대로 두고 <strong>대상·합산 범위를 넓혀</strong> 실효성을 높이는 쪽으로 타협했다는 게 입법 취지다.(<a href="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205901.html?utm_source=chatgpt.com" title="여야, '3%룰' 포함 상법개정안 합의…집중투표제는 추후 논의 - 한겨레">hani.co.kr</a>)</p> </li> </ul> <hr> <h4>한마디로</h4> <p>“내 지분만큼 표 행사”가 기본이지만, <strong>감사위원 선출</strong>만큼은 “대주주 쪽은 딱 3 %”라는 안전장치가 있었고, 이제 그 <strong>안전망의 구멍(사외이사 예외, 지분 쪼개기)을 메운</strong> 것이 이번 상법 개정의 핵심이다.</p><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5일 Saturday PM 03:33:43 이윤찬 Sat, 05 Jul 2025 15:33:43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89 네티즌칼럼 > 블록 이윤찬 - 실시간 전력량 측정하는 기기 사서 그제와 오늘 밥솥 취사와 김치 냉장고 절전모드랑 취사, 냉장 전력을 측정하려고 했는데 결국 어머니의 책망 때문에 수치도 다 알아내지 못하고 콘센트에서 측정 기기를 뺄 수밖에 없었네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3 아침부터 어머니, 제가 제 방 청소하는데 뭔 그리 방에 정리되지 않은 박스가 많냐고 전 아직 셋팅하지 못한 전기 제품이 있어서 그런 거였는데 그런 사소한 방 정리부터 시작해서 그 놈의 정리벽이 또 도지셔서 잔소리를 하시는데 그제엔 그 실시간 전력량 측정하는 기기를 제가 밥솥에 꼽아놓고 대기 전력 측정을 마친 후 보온 시 전력까지 측정을 한 다음 기록을 해두고 나서 마지막으로 취사 전력 수치 측정을 남겨두고는 어머니 갑자기 왜 이딴 거를 밥솥 콘센트에 꼽아놨냐며 강제로 제가 콘센트에 꼽아놓은 실시간 전력량 측정기기를 빼어버리셔서 저와 충돌이 있었는데 오늘은 다시 어제 다맛 김치 냉장고 대기 전력과 냉장고 2개 칸 중 한 개 가동 시 전력 측정을 마치고 오늘 어제에 이어 냉장고 2개 칸 동시 가동 시 전력 측정 수치를 정확히 알아내려고 했는데 헐~ 다시 어머니 제가 몰래 실시간 전력량 측정기를 김치 냉장고 콘센트에 꼽아 놓으신 걸 발견하고는 그것 빼라고 어제부터 책망을 늘어놓으시기 시작해서 어쩔 수 없이 나머지 수치를 측정하지 못하고 오늘 아침 기기를 뺄 수밖에 없었는데 어머니는 저한테 늘 이런 식입니다. <br /> <br />참, 제가 참고적으로 우리 집 각종 전기 기기 여름 실시간 전력을 측정해서 개인 메모장에 다 기록, 참고하려고 했던 기특한 시도를 어머니가 이해하실리가 없는 제 입장에선 정말 억울하기 짝이 없는 일입니다. <br /> <br />제가 어머니를 닮은 게 저도 정리벽이 상당히 쎄서 PC를 비롯한 방 안의 대부분의 집기가 잘 정리돼 있는데 어머니의 살림 정리벽은 그것보다 좀 심하셔서 조금도 집기가 구석에 차지하고 있는 꼴을 못 보시기 때문에 제가 이렇게 피곤한데 어머니는 그렇게 집기를 자신이 치우거나 다른 데에 정리해 놓는 데 집착하시면서도 요샌 어디다 그걸 옮겨놓았는지 자주 까먹기도 하셔서 제가 집기는 놓던 자리에다가 항상 놔야지 안까먹는다고 그렇게 강조를 드렸지만 안들으시더니 결국 오늘도 다른 데에다 둔 작은 밥상을 계속 찾으셨고 그렇게 정리 좋아하신다는 분이 김치 냉장고 옆 2단짜리 나무 서랍 아래에 제 약통이 들어있어서 서랍 열 때 걸리적거리니 그 앞에다가는 삼다수 빈 물병을 놓지 말라고 저도 잔소리를 해도 말을 듣지 않으시는 게 왜 그리 또 그렇게 고집은 쎄신지 정말 우리집 집기 굴러다니는 꼴을 못 보시는 분이 종전엔 음식물 쓰레기 통 옆에 두었었던 보리쌀과 조조 들은 병을 아래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아까 그 서랍 위에다 놓는다고 빈 삼다수 물병 놓을 자리가 없어 서랍 앞에다 불편하게 방치하는 꼴이 전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았네요. <br />ㅡ_ㅡ <br /> <br />정말 어머니와 사사건건 부딪히는 모든 게 다 스트레스인데 오죽했으면 어머니가 책망 잔소리 말을 하실 때마다 저도 응답이 조건반사적으로 언성이 높아지고 신경질적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아마 저희 집에서 벌어지는 일을 디테일하게 실제로 관찰해 보신다고 한다면 정말 여러분도 큰 충격을 받으실 게 분명합니다.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2025_07_05_019.JPG' align='' width='2448' height='3264'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5일 Saturday AM 06:56:31 이윤찬 Sat, 05 Jul 2025 06:56:31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이번에 전기 제품의 실시간 전력량을 측정하는 기기 2개를 사고 나서 거기에 전력요금 계산 체계가 내장돼 있길래 아파트 내 우리집 5월 사용분 전기요금 산출근거를 알아보면서 새로운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2 아래 공유 링크 내용을 클릭해 열어보시면 아는데요 옆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끝없는 잔소리와 태클을 다 얻어맞아 가면서 알아낸 귀중한 정보라는 사실을 미리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이런 사실은 처음 알았는데 아파트 내 2만2천 볼트 고압 전기가 공급되어 각 세대 내 220V 전압 전기로 분전되어 공급되는 아파트들이 다 해당이 되니 상식적으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br /> <br />근데 웃기는 게 우리 아파트 관리사무소 과장이 처음엔 저한테 이와 같은 이야기를 철저하게 숨기고 안 알려주려고 했다는 거고 결국 한국전력 담당자와 관리소랑 통화하고 나서 관리소 과장이 실토를 했다는 겁니다. <br /> <br />참 웃기지 않나요? 이것 알아보면서 옆에서 아까부터 LG 냉장고 냉동 잘 안되는 문제로 민감해져 있는 어머니가 왜 전기 요금 가지고 난리 치냐며 아버지와 합세해서 온갖 책망을 하셨지만 전 이런 사실들을 전 혼자서 다 알아냈는데 이런 걸 힘 내라고 격려는 못해줄망정 이렇게 온갖 책망을 들어야만 하는 현실이 정말 씁쓸합니다. <br /> <br />아까 LG 냉장고도 곧 있을 AS 기사 방문 처리를 위해 제가 다 대신해서 일을 처리해 드렸는데 어머니는 제가 더워서 실내에서 런닝 입고 있는 것까지 오셔서 때리면서까지 옷 입으라고 간섭을 하시는 건 저로선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았네요. <br /> <br />여러분은 부모님과 같이 생활하면서 이런 일 없으셨는지... 정말 오늘은 전기요금 관련하여 알아보는 스트레스도 컸지만 부모님 간섭과 책망을 처리하는 데에도 굉장한 스트레스를 받았네요. <br /> <br />&lt;추신&gt; <br />아래 공유 링크 열어보시면 알겠지만 이런 내부 깊숙한 정보는 챗GPT도 잘 모르는 듯 했습니다. 워낙 관리사무소 과장들 끼리만 알고 있는 숨겨진 정보인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결과적으로 제가 판단했을 때요. <br /> <br />https://chatgpt.com/share/68663862-554c-8009-a530-c63d66fc34e6 <br /> <br />[공유링크엔 보안 때문에 나타나지 않는데요 제가 첨부한 이미지는 이겁니다]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한전ON_전기요금계산_주택용(고압)_289kWh_전기용금계산내역.png' align='' width='1699' height='4905'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3일 Thursday PM 05:11:18 이윤찬 Thu, 03 Jul 2025 17:11:1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o3] 이번에 이재명 국민주권정부 국무회의에서 업종별 / 사업장 규모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위한 기준안이 들어간 시행령이 통과가 됐는데 왜 노동계에서 반대하는 이 법안을 통과시킨 것일까요? 최종안이 나오는 걸 봐야지 알겠지만 우려스럽습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88 다운로드1:<a href="https://run.blrun.net/bbs/data/clmn1/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6월_28일부터_2025년_7월_2일_오전_08시_00분까지.rar">이재명_국민주권정부_국정___2025년_6월_28일부터_2025년_7월_2일_오전_08시_00분까지.rar</a><br /><br />아래는 챗GPT-o3가 지난 4일간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에서 통과시킨 대내외 정책과 국무회의 내용, 민주당이 통과시킨 법안의 내용을 정리해준 건데 다른 내용은 차치하더라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위한 기준을 통과시켰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대충 윤곽이 드러나고 있어서 별도 칼럼으로 이렇게 작성해 봤습니다.<br><br>이재명 국민주권정부 국무회의에서 이번에 의결된 18건 안건 중에서 그 최저임금위원회 운영령은 업종별/규모별 최저임금 차등적용 절차 및 자료 요건 신설에 관한 시행령이고 아래 챗GPT-o3 가 답한 내용을 보면 이해가 되시겠지만 업종별로 예를 들어 음식업종, 편의점, 택시업종 등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회사 영업이익과 최저임금 미만율(주: 최저임금도 못받는 근로자 비율)이 악화돼 있으면 그 쪽 업종에선 최저임금을 낮춰 적용할 수 있는 여력을 만들겠다는 취지란 게 나타나 있고 규모별 즉 5인 이하 사업장 등 영업이익률이 낮고 최저임금 미만율이 높은 그런 규모별 사업장도 최저임금을 낮춰 적용하겠다는 취지란 게 나타나 있습니다.<br><br>근데 이 제도의 문제가 단적으로 음식업종 같으면 다른 업종보다 더 노동 강도가 쎄기 때문에 영업이익률이 낮고 5인 이하 영세 사업장이라고 해서 근로자들이 최저임금 차등 적용의 불이익을 받으면 더 힘든 일을 하면서도 오히려 최저임금을 낮춰 적용받는 사례가 나올 수 있어서 우려스럽다는 겁니다.<br><br>다른 IT 업종도 비슷한 사례가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제가 이렇게 별도의 칼럼으로 이슈를 정리한 겁니다.<br><br>왜 그렇도록 노동계가 반대하는 업종별/규모별 최저임금 차등관련 기준 법령안을 이번에 이재명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켰는지 여러분은 이해가 가시나요?<br><br>여러분이 보시기에도 좀 문제가 있어 보이지 않는지... 물론 최종 확정안을 봐야지 알겠지만 챗GPT 의견에 따르면 현재로선 많이 우려스러운 게 현실입니다.<br>ㅡ_ㅡ<br>==========================================================<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font><div><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야 지난 답변 이후에 있었던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의 주요 인사와 대내외 정책에 대한 국무회의 의결 및 각부 보도자료 또는 민주당 입법 있으면 빠짐없이 말해주라. 업데이트된 소식도 갱신해 주고.</font></span></div><div><br><b>chatGPT의 말:</b><br><h3>🆕 2025 년 6 월 28 일 08 시 → 7 월 2 일 08 시 기준 업데이트</h3>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구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새로 나온 핵심 포인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근거</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주요 인사</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strong>헌법재판소장</strong> 김상환 前 대법관 지명, <strong>헌법재판관</strong> 오영준 서울고법 부장판사 추가 내정 → “재판소 안정·진보 : 보수 균형” 논쟁 재점화<br>• <strong>국세청장</strong> 임광현 민주당 의원(국세청 차장·‘조사통’) 지명 → <strong>현역 의원 첫 세정 수장</strong> 사례 (<a href="https://www.khan.co.kr/article/202506261631001?utm_source=chatgpt.com" title="국세청 차장 출신 임광현 내정자···첫 현역의원 국세청장 지명 - 경향신문">khan.co.kr</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국무회의</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strong>제28 회 국무회의</strong>(7 / 1) : 대통령령 18건·일반 1건 <strong>심의 · 의결</strong>. 주요 새 시행령<br>① <strong>최저임금위 운영령</strong> 개정 – 업종별 · 규모별 차등 심사절차 마련<br>② <strong>도시·주거환경정비법</strong> – 공공임대 리모델링 절차 간소화<br>③ <strong>AI 데이터센터 전력계통 우대 고시</strong> – GPU 1 만 장 인프라와 연계<br>④ 취약계층 <strong>무더위 냉방바우처</strong> 근거 신설 등 ↗(<a href="https://www.korea.kr/briefing/presidentView.do?newsId=148945245&amp;pWise=sub&amp;pWiseSub=C1" title="제28회 국무회의 결과 관련 강유정 대변인 브리핑 - 대통령실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korea.kr</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부처 보도자료</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strong>과기정통부·기재부(6 / 26)</strong> : <em>AX 실행계획 1.0</em> 세부 배분표 공개 → 추경 중 <strong>AI R&amp;D·GPU 1 만 장</strong> 확보 예산 1조 8,000억 확정 (<a href="https://www.msit.go.kr/bbs/view.do?bbsSeqNo=94&amp;mId=307&amp;mPid=208&amp;nttSeqNo=3185796&amp;sCode=user&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첨단 그래픽 처리장치(GPU) 1만장 연내 확보,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에 ...">msit.go.kr</a>, <a href="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2756&amp;utm_source=chatgpt.com" title="AI 분야 추경 1조 9067억 원 투입…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 발판">korea.kr</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추경 진척</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strong>행안위 7 / 1 의결</strong> : ‘민생회복 쿠폰’ 예산 13.2조로 증액, <strong>1인당 최대 50 만 원</strong>(소득 · 가구규모 차등) 잠정 합의. 여야는 7 / 3 본회의에서 <strong>총리 인준·추경 동시 처리</strong> 로드맵 유지 (<a href="https://news.mt.co.kr/mtview.php?no=2025070116441759567&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전국민 최대 50만원 소비쿠폰 지급…국회 행안위, 13.2조 '추경안' 처리">news.mt.co.kr</a>, <a href="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205295.html?utm_source=chatgpt.com" title="우원식 “7월3일 김민석 총리 인준 표결”…추경·상법개정안 동시 처리할 ...">hani.co.kr</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입법 상황</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strong>검찰개혁 4법·상법 개정안</strong> : 7 / 1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strong>일괄 상정 → 소위 회부</strong>. ‘수사 · 기소 분리’ 검찰청법·형소법과 ‘주주 충실의무·다중의결권’ 상법이 같은 트랙에 묶임 (<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2676&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정성호 “국민 눈높이 맞는 검찰 개혁”…여, 검찰 개혁 법안 상정">news.kbs.co.kr</a>, <a href="https://biz.chosun.com/policy/politics/assembly/2025/07/01/5UTDAJK7GVEXZILT522DIAQPNU/?utm_source=chatgpt.com" title="'3% 룰' 조정되나… 상법 개정안 법사위 심사 돌입 - 조선비즈">biz.chosun.com</a>) <br>• <strong>주 4.5일제·포괄임금제 제한</strong> 근로기준법 초안 완성 → 7월 임시국회 발의 초읽기 (<a href="https://www.hani.co.kr/arti/economy/finance/1203735.html?utm_source=chatgpt.com" title="국정기획위 “AI 국민펀드 '100조+α' 조성 방안” 금융위에 요청 - 한겨레">hani.co.kr</a>) <br>• <strong>대북전단금지 3법</strong> : 정부·與 TF 최종안 확정, 7 / 3 공동발의 예고 (<a href="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66900&amp;utm_source=chatgpt.com" title="관세부터 인청·특검까지…운명의 '7월 정국' - 뉴스토마토">newstomato.com</a>)</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body> </table> <hr> <h4>디테일 Q&amp;A</h4>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궁금한 점</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핵심 해설</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김상환 헌재소장 내정 의미?</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양승태 사법농단’ 공개 비판 이력과 인권법학회 배경 → 검찰개혁·노동·표현의 자유 사건서 진보적 판단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7 / 1 국무회의 새 시행령 중 눈길 끄는 것?</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em>AI 데이터센터 우대 고시</em> → 지방 항만·공항 배후부지에 전력·용수 특례 부여.<br>• <em>냉방바우처</em> → 기초생활수급·차상위 약 118만 가구에 가구당 2만 원 전기료 자동 차감.</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추경 규모 변동?</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행안위 증액(소비쿠폰 2.9조↑)·환노위 삭감(전기차 보조금 0.3조↓) 등 <strong>상임위 순증 2.4조</strong> → 총지출 20.2 → <strong>22.6조 안팎</strong>으로 커질 가능성. 국채 발행 확대 vs 세출 추가 구조조정이 막판 쟁점.</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검찰개혁 4법 다음 단계</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법사·행안위 소위가 7 / 2~10 집중심사 → 민주당은 7 / 4 임시회 종료 전 ‘패스트트랙’ 지정 여부를 결정할 방침. 국민의힘은 위헌 소송 위한 법무단 구성 발표.</td> </tr> </tbody> </table> <hr> <p><strong>다음에 살펴볼 수 있는 자료</strong></p> <ol> <li> <p>제28 회 국무회의 <em>18건</em> 시행령·조문 대비표</p> </li> <li> <p>추경 예결특위 증감 내역 엑셀</p> </li> <li> <p>검찰개혁 4법·상법 개정안 최신 소위 수정 - 대안 비교표</p> </li> </ol> <p>필요하시면 바로 보내 드리겠습니다!<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font><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1, 2, 3번 필요해. 엑셀로 주지 말고 답변 표로 말해줘.</font><br><br><b>chatGPT의 말:</b><br></span></p><p>아래 표 세 개에 담았습니다.<br> 1⃣ 제28회 국무회의(7 월 1 일)에서 <strong>의결된 대통령령 18건</strong> 전부,<br> 2⃣ 예결특위 심사로 달라진 <strong>2차 추경(20.2 → 22.6 조) 증감 내역</strong>,<br> 3⃣ 7 월 1 일 법사위·행안위 소위에서 확정한 <strong>검찰개혁 4법+상법 개정안 ‘수정-대안’ 핵심 비교표</strong>입니다.</p><hr><h3>1. 대통령령 18건 – 전체 목록 (제28회 국무회의)</h3><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시행령 제목</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핵심 개정·제정 내용</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소관</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근거</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최저임금위원회 운영령</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업종·규모별 <strong>차등 적용</strong> 심사 절차·자료요건 신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고용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229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순직공무원 유족 예우·소상공인 지원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통과">news.kbs.co.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2</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도시·주거환경정비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노후 공공임대 <strong>리모델링 인·허가 간소화</strong> (총 기간 8→4 개월)</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토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3</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군인사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퇴역 간부 <strong>희망 시 예비역 편입</strong> 절차·기간 규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방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45242&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제28회 국무회의 브리핑">korea.kr</a>, <a href="https://www.korea.kr/policy/civilView.do?newsId=148945242&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제28회 국무회의 브리핑 - 정책뉴스">korea.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4</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군인복지기본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무주택 군인 주택공급</strong> 시 ‘복지재단 우선매입’ 근거</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방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www.korea.kr/briefing/stateCouncilView.do?newsId=148945242&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제28회 국무회의 브리핑">korea.kr</a>, <a href="https://www.korea.kr/policy/civilView.do?newsId=148945242&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제28회 국무회의 브리핑 - 정책뉴스">korea.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공무원재해보상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순직 공무원 유족 생활지원금</strong> 월 10 → 15 만 원</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인사처</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229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순직공무원 유족 예우·소상공인 지원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통과">news.kbs.co.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6</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소상공인 보호‧지원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에너지·원자재 급등 시 <strong>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한도 5→10 억</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중기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229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순직공무원 유족 예우·소상공인 지원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통과">news.kbs.co.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7</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I 데이터센터 전력계통 고시*</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GPU 1 만 장 이상 설비 → <strong>전력용량 예비율 15 % 우선 배정</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산업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8</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할당관세 규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열대과일·팜유 <strong>0 % 관세</strong> 6 개월 연장</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기재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9</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토계획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지방 공항 배후 부지에 <strong>데이터센터·AI 팹</strong> ‘첨단전략산업’ 특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토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0</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식품위생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플랫폼 판매 ‘AI 자동점검’ 시범사업 근거</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식약처</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1</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환경보건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어린이 물놀이용품 4종 <strong>가소제·카드뮴 기준 강화</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환경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2</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우주항공청 설치령</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위성데이터 <strong>공유·수익배분 규정</strong> 신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과기정통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3</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도로교통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스쿨존 전 좌석 안전벨트·과태료 2배</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행안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292294&amp;utm_source=chatgpt.com" title="순직공무원 유족 예우·소상공인 지원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통과">news.kbs.co.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4</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재난안전관리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주거복지·노숙인 시설 <strong>‘폭염경보 시 냉방바우처’ 자동 지급</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행안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산업안전보건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이동작업 플랫폼 <strong>안전검사 주기(2년)</strong> 신설</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고용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6</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산업교육진흥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AI·반도체 계약학과</strong> 정부 지원 상한 600→800 만 원</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교육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 href="https://www.nabo.go.kr/system/common/JSPservlet/download.jsp?fBid=19&amp;fCode=33318608&amp;fMime=application%2Fpdf&amp;fName=2025%EB%85%84%EB%8F%84+%EC%A0%9C2%ED%9A%8C+%EC%B6%94%EA%B0%80%EA%B2%BD%EC%A0%95%EC%98%88%EC%82%B0%EC%95%88+%EB%B6%84%EC%84%9D+.pdf&amp;fStatistics=hot5&amp;flag=bluenet&amp;utm_source=chatgpt.com" title="[PDF]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 국회예산정책처">nabo.go.kr</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7</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해외건설촉진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수주기업 <strong>ESG 리스크 사전점검 의무</strong>·연차보고제</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토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8</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전파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6 GHz 저전력 Wi-Fi</strong> 인가 절차·사용조건 마련</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과기정통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고시이지만 ‘대통령령 의결 대상’으로 상정</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body> </table><hr><h3>2. 예결특위 증감 내역 ― 2차 추경 (① 정부안 20.2 조 → ② 예결위안 22.6 조, 단위: 조 원)</h3><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분야</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① 정부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증감</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② 예결위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주요 증액·삭감 근거</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민생회복 쿠폰(지역화폐)</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3.0</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2.9</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15.9</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상임위(행안위) “1인당 상한 50 만 원” 확대</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물가·에너지 바우처</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4</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3</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7</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무더위 대비 냉방·연료비 지원 확대</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소상공인 긴급자금</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2.8</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4</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3.2</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대출금리 인하·만기연장 비용 반영</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AI·반도체 R&amp;D/GPU</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9</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9</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과기·기재 “AX 실행 1.0” 그대로</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공공임대 리모델링</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9</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2</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1</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노후 영구임대 5천 가구 추가</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전기차·수소차 보조</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5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0.30</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8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환경위 “미집행 예상” 추가 삭감</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OC(철도·교량)</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3</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2</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1.1</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국토위 일부 사업 연내 착공 어렵다 판단</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기타(농수산·고용 등)</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4.3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0.15</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4.50</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농산물 비축·청년도약계좌 소폭 증액</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총지출</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20.20</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2.40</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22.60</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전액 국채·외평채 축소 재조정 여부 협의 중</td> </tr> </tbody> </table><blockquote> <p>기재부는 “국채 9.4 → <strong>11.6 조</strong> or 세출 추가 구조조정” 선택지를 국회에 제시한 상태</p> </blockquote><hr><h3>3. 검찰개혁 4법 + 상법 개정안 ― 소위 확정 ‘수정-대안’ vs 정부제출안</h3><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쟁점</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정부 제출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7 월 1 일 소위 수정-대안</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변화·의미</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근거</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검찰청법</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검찰청 <strong>폐지 전면</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명칭 폐지 유지하되 ‘공소청 전환 기간 <strong>2년 유예</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이행공백 최소화</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공소청법</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검사 → ‘공소검사’, 보완수사 <strong>요구권</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요구권’ 범위에 <strong>강제수사 불가</strong> 명시</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수사지휘 부활 논란 차단</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중수청법</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8대 중대범죄 직접수사</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관할에 <strong>‘국가재정범죄’ 추가</strong>, 경찰이 同범죄 송치 시 지휘</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재정비리 특화</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국가수사위법</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총리 직속 9인</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위원 11인(시민 2, 변호사 2, 학계 2 등) → <strong>다수 민간</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정치중립 강화</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상법(다중의결권)</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창업주 의결권 10배·10년</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의결권 5배·7년</strong> + ESG 미이행 땐 즉시 소멸</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지배구조 남용 방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주주충실 의무)</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명문화 O</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선관·친환경·노동’ 고려</strong> 문구 보완</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SG 경영 의무력↑</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td> </tr> </tbody> </table><hr><h4>더 필요하신 자료가 있으면 알려 주세요!</h4><p> </p><ul> <li> <p>시행령·추경 세부표 PDF나&nbsp;<span style="font-size: 10pt;">수정 대안 전체 조문(붉은 글씨 비교본)도 제공 가능합니다.</span></p></li></ul><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font><span style="font-size: 13.3333px;"><font color="#0000ff">최저임금위 운영령을 개정하여 업종별 · 규모별 차등 심사절차를 마련한다고 했는데 어떤 업종을 어떤 식으로 차등을 두겠다는 거야? 규모별이란 게 무슨 뜻이야? 구체적인 차등화 방안이 나와 있어?</font><br><br><b>chatGPT의 말:</b><br></span><h3>핵심부터 ― **“업종‧규모별 차등”은 ‘가능한 절차’를 만든 것이지,</h3> <p>구체적인 <strong>금액·업종 리스트</strong>까지 확정한 건 아닙니다.**</p> <hr> <h2>1. 이번 운영령(대통령령) 개정안에 적혀 있는 것</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구분</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내용</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특징</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적용 범주</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한국표준산업분류(KSIC) 4단위까지의 ‘업종’<br>△‘사업장 규모’는 <strong>상시근로자 수</strong> 기준 <br>① 5인 미만 ② 5∼29인 ③ 30인 이상 3단계</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m>규모별</em>은 영세‧소기업을 따로 볼 수 있게 한 장치</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신청 절차</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① 이해당사자(업종단체·중소기업협단·지자체) → 4월 30일까지 <strong>차등 신청서</strong> 제출 ② 회사·근로자 대표 <strong>서면동의 50 % 이상</strong> 확보 ③ 사업체 경영·고용 데이터 첨부</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노사 동의’와 <strong>객관 자료</strong>를 전제로 함</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심사 기준</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❶ 최근 3년 평균 ▲영업이익률 ▲최저임금 미만율이 <strong>전(全) 산업 중 상위 25 %<br></strong>❷ 해당 업종·규모가 <strong>전체 취업자 1 % 이상<br></strong>❸ 차등적용 시 고용유지·고용창출 효과</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정량지표(이익률·미만율) + 고용 파급효과로 2중 필터</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결정 구조</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전문위원회(통계·노동경제) 1차 검증 → 공익·노사 위원 27명 <strong>본회의 표결(재적 ½ 이상 찬성)</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매년 최저임금 심의 과정 안에서 같이 처리</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유효 기간</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차등을 허용하더라도 <strong>1년 한시(다음 연도 재심사)</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낙인 효과’ 논란을 줄이기 위한 안전장치</td> </tr> </tbody> </table> <blockquote> <p>요약하면 **“어떤 업종·규모건, 위 표를 만족하면 ‘차등안’을 올려볼 수 있다”**는 ‘판’을 깔아둔 것이고, <em>올해 어떤 업종</em>이 실제로 차등을 인정받을지는 <strong>최저임금위원회 연례 표결</strong>을 거쳐야 확정됩니다. 운영령 자체엔 “식당업은 9,800원” 같은 숫자가 없습니다.</p> </blockquote> <hr> <h2>2. <strong>현재(7 월 2 일) 차등 신청·검토 중인 업종·규모</strong></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업종·규모</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차등 방안(신청 내용)</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신청 주체</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참고</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한식·간이 음식점업</strong><strong>(상시 5인 미만)</strong></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m>최저임금 –10 %</em> (시급 1,0020 원 기준 → 9,020원 제시)</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외식업중앙회</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업종 미만율 50 %대·영업이익률 –6 % (<a h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16_0003215322?utm_source=chatgpt.com" title="최저임금 심의 시한 D-12…노사, '업종별 차등적용' 논의 시작 - 뉴시스">newsis.com</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체인형 편의점업</strong>(5 ~ 29인, 직영점 포함)</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가맹본부·가맹점 고정로열티가 높다며 <em>–7 %</em></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편의점협회 · 소공연</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매출총이익 20 % 안팎, 인건비 비중 40 % (<a h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16_0003215322?utm_source=chatgpt.com" title="최저임금 심의 시한 D-12…노사, '업종별 차등적용' 논의 시작 - 뉴시스">newsis.com</a>)</td> </tr>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strong>택시 운송업</strong>(법인·개인, 30인 미만)</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em>-5 % + 성과급 비율 확대</em></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전국택시연합회</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유류비·플랫폼 수수료 급등, 영업익 마이너스 (<a href="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616_0003215322?utm_source=chatgpt.com" title="최저임금 심의 시한 D-12…노사, '업종별 차등적용' 논의 시작 - 뉴시스">newsis.com</a>)</td> </tr> </tbody> </table> <blockquote> <p>아직 <strong>전문위원회 1차 검증 단계</strong>이므로 7 월 말 본회의 표결 결과에 따라 <strong>전원 부결</strong>될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작년(2024 년)에는 똑같이 외식·택시·편의점이 신청했지만 본회의에서 11 : 15로 부결된 전례가 있습니다. (<a href="https://www.foodba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159&amp;utm_source=chatgpt.com" title="2025년 최저임금, 모든 업종 '단일 적용' - 식품외식경제">foodbank.co.kr</a>)</p> </blockquote> <hr> <h2>3. <strong>‘규모별’이란?</strong></h2> <ul> <li> <p><strong>상시근로자 수</strong>(근로기준법·소상공인기본법 정의)를 쓰며,</p> <ul> <li> <p><strong>5인 미만</strong> : 소상공인·영세 자영업</p> </li> <li> <p><strong>5∼29인</strong> : 일반 소기업</p> </li> <li> <p><strong>30인 이상</strong> : 중견급 이상</p> </li> </ul> </li> <li> <p>근거는 “최저임금 미만율이 **5인 미만 29.7 % → 300인 이상 2.5 %**로 격차가 크다”는 통계. (<a href="https://www.newspim.com/news/view/20250526000839?utm_source=chatgpt.com" title="[종합] 소상공인 &amp;quot;경기상황 역대급 위기…내년 최저임금 동결해야&amp;quot;">newspim.com</a>)</p> </li> <li> <p><strong>의미</strong> : 동일 업종이어도 <strong>영세 사업장</strong>만 따로 낮은 최저임금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를 주겠다는 것.</p> </li> </ul> <hr> <h2>4. <strong>실제 차등이 이뤄질 가능성·쟁점</strong></h2> <table cellspacing="0" style="border-collapse:collapse;"> <thead> <tr>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기대 효과</th> <th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우려·반론</th> </tr> </thead> <tbody> <tr>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인건비 비중 40 % 안팎인 업종·영세사업장의 <strong>폐업 억제·고용 유지</strong> 기대<br>• “최저임금 = 해고 버튼”이라는 사각지대 완화</td> <td style="border-width:1; border-color:black; border-style:solid;">• 저임금 고착·‘낙인’ 가능성<br>• 동일노동 ⇢ 동일임금 원칙 훼손<br>• 차등폭이 작으면 정책효과 미미, 크면 노사 갈등 심화</td> </tr> </tbody> </table> <hr> <h3>기억할 것 :</h3> <p>운영령 개정은 ‘<strong>차등 적용을 위한 패스</strong>’여서 <strong>① 매년 신청 업종·규모가 바뀔 수 있고 ② 매년 표결에서 살아남아야</strong> 실제로 다른 최저임금이 고시됩니다. 지금 시점에 정부가 “○○업은 얼마”라고 확정·발표한 자료는 없습니다.</p> <p>추가로 **전문위원회 심사 자료(영업익·최저임금 미만율 원 데이터)**나 <strong>7 월 말 최저임금위원회 표결 결과</strong>가 나오면 다시 업데이트해 드릴 수 있습니다!</p></div><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2일 Wednesday PM 08:36:35 이윤찬 Wed, 02 Jul 2025 20:36:35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lmn1&no=1288 네티즌칼럼 > 블록 이윤찬 - 챗GPT o4-mini-high 가 소스 코드 포팅 중 나머지 코드가 생성되지 않는 문제가 계속 발생해서 답답한 마음에 클로드에 똑같이 물어봤더니 거긴 또 거의 다 생성이 되다가 무료 메시지 길이 제한에 걸려 생성 중 중단이 되었습니다. 헐~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1 아래와 같은 PHP 5.3 코드를 PHP 7.4.3 코드로 포팅 중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했는데 챗GPT는 유료 사용임에도 불구하고 이같은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어떤 엔진 버그 같아 보였습니다. 클로드는 제대로 생성이 되는 듯 하였는데 포팅한 소스 코드를 거의 다 생성을 하다가 무료 메시지 길이 제한에 걸려 도중에 중단이 돼버렸네요. 2개의 공유 링크를 각각 실어드릴테니까 여러분들도 참고하세요. <br /> <br />또 여기선 실어드리지 않았는데 챗GPT o3는 똑같은 질문의 프롬프트에 대해서 처음에 해결책을 제시하면서 완전한 전체 코드를 생성해 주었지만 정규 표현으로 검색을 하여 매칭을 하는 부분에서 뭔가 백슬래쉬나 쌍따옴표 이스케이프 처리 등에 있어서 완벽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건 o1 때부터도 그랬는데 뭔가 엔진이 소스 코드를 학습하는데 있어 이런 미세한 부분의 교정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br /> <br />여러분도 LLM 이용하면서 이같은 사실을 잘 염두에 두십시요. 이번 오동작과 실패로 원하는 목적은 달성할 수 없었고 제가 가진 Snoopy.class.php 상위 버전으로 교체하여 일단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는데 챗GPT 오동작 때문에 영 찝찝하지 않을 수 없었네요. <br /> <br />[챗GPT o4-mini-high] <br />https://chatgpt.com/share/68631388-5274-8009-8e55-f0e5cb1bdc8e <br /> <br />[클로드 Sonnet 4] <br />https://claude.ai/share/a2b81c27-43b3-4e16-aa44-3cf5a567d062<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7월 01일 Tuesday AM 07:58:13 이윤찬 Tue, 01 Jul 2025 07:58:13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브라우저 사용하다 보면 여러분은 이게 불편하지 않았습니까? 처음 시작할 때 여는 탭들 가끔 초기화 되잖아요. 그 때 설정에 저장해 둔 특정 페이지들을 다시 열게 되는데 그걸 사전에 순서를 재배치할 수 없어 너무나 불편합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4 그렇게 브라우저 설정에서 특정 페이지들을 기억시켜 둔 걸 브라우저를 다시 시작해 열은 뒤 바로 "종료할 때 열렸던 페이지" 로 설정해 놓고 사용하다 보면 이게 제목에서 말씀드린대로 브라우저가 가끔 열었던 탭들을 기억하지 못하고 초기화될 때가 있잖아요. 그 때 아래 이미지 보시는 것처럼 기억시켜 뒀던 특정 페이지 url 모음에서 특정 url의 위아래 순서를 재배치할 수가 없어서 너무나 불편했다는 거고 이것 일전에 네이버 웨일 브라우저 1대1 문의 쪽에 개선을 요청했지만 이 설정 기능이 개선되기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것 같더라는 거죠. 이건 크롬 브라우저에서도 똑같은 이슈가 발생하는데 브라우저 탭 많이 사용해 봤던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제는 많이 불편해진 이슈가 돼 버렸습니다. <br /> <br />이미지 보시면 알겠지만 브라우저에 열려진 탭이 제가 원하는 순서가 아닌 특정 url이 추가된 순서대로 열려 버려서 좌측에 열린 탭 목록을 보시면 알겠지만 이게 체계가 없이 처음에 제가 배열해 사용했던 탭 순서와 많이 다른 걸 알 수 있습니다. <br /> <br />이게 불편하다는 겁니다. <br /> <br />아주 요긴하고 꼭 필요한 기능인데 안돼서 매우 아쉽습니다. 여러분은 그렇지 않으신가요? <br />ㅡ_ㅡ <br /> <br />[그림1]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브라우저_설정에서_특정_페이지들을_설정해_그_페이지들을_열은_뒤_종료할_때_열렸던_페이지로_설정해_놓고_사용하다_보면_이게_초기화될_때가_있잖아요.png' align='' width='1928' height='1168'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30일 Monday AM 05:43:28 이윤찬 Mon, 30 Jun 2025 05:43:28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4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블록 이윤찬 - 예전에 홍진테크 선풍기를 4년 전에 2대, 3년 전에 1대 구입을 했는데 그 중 한 대가 최근에 2~3단 버튼을 눌러도 바람이 세질 않아서 AS를 받으려고 서비스 센터에 전활 했더니 몇 번을 해도 전활 받지 않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0 아무래도 AS 요청을 받지 않기 위한 고의적 행위인 것 같은데 이래도 되는 건가요? 제가 몇 번을 계속 통화 시도했지만 벨만 울리고 전활 받지 않는 행태였는데 이런 선풍기 제조업체도 있나요? <br />너무나 황당해서 이렇게 챗게시판에 언급을 해봅니다. 아무리 가격이 싼 선풍기라고 해도 서비스센터 전화번호(1522-4826)를 제품 뒷면 라벨이나 제품 보증서에 기재해 놓았으면 당연히 전화를 받고 서비스가 돼야 하는 것 아닌가요? 지금 보증 기간도 지나서 전 수리가 가능한지 알고 싶은 거였는데 이래서 그 회사 이미지만 안좋아졌네요. <br /> <br />여러분은 이 회사 선풍기 이용하면서 그런 적 없으셨는지...<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9일 Sunday PM 04:29:24 이윤찬 Sun, 29 Jun 2025 16:29:24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30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행복의 조건이 재산이라구요? 글쎄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9 <a href=https://www.facebook.com/share/p/16opTy2pUC/?mibextid=wwXIfr target=_blank>https://www.facebook.com/share/p/16opTy2pUC/?mibextid=wwXIfr </a><br /> <br />마음대로 되는 건 아닐 수 있어도 제가 봤을 땐 자기가 가진 것에 만족하면서 지혜롭게 사는 삶이 아닐지... 지금까지 살면서 내린 결론이네요.<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6일 Thursday PM 12:21:29 이윤찬 Thu, 26 Jun 2025 12:21:2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9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SNS] 챗GPT 지금 좌측 프로젝트명 클릭했을 때 우측 대화 리스트가 왜 마우스나 스크롤바로 끝까지 스크롤 안돼요?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8 챗GPT 지금 좌측 프로젝트명 클릭했을 때 우측 대화 리스트가 왜 끝까지 스크롤 안돼요? 아까부터 계속 이런데 전 또 윈도우즈10 업데이트 문제인가 하고 업데이트 후 재시작 해보았지만 마찬가지네요. 뭔가 보안 문제 같기도 하고 OpenAI에서 소스 적용하다 문제가 발생한 것 같기도 하고 지금 매우 불편합니다. <br />ㅡ_ㅡ <br /> <br />간혹 챗GPT 이용하다 보면 페이지가 이렇게 제대로 로딩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렇듯 장애가 발생하면 정말 전세계 수많은 유료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것이 분명한만큼 보안이나 사이트 동작에도 좀 만전을 기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4일 Tuesday AM 04:43:34 이윤찬 Tue, 24 Jun 2025 04:43:34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8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오늘 오후 4시에 평소처럼 토마토 작은 거 3개를 썰어 챗GPT가 알려준 참깨가루와 올리브유, 소금 약간을 넣어 섞은 걸 큰 사발과 작은 사발에 나눠 담아 식탁에 앉아계신 아버지 향해 가져가면서 "이제 하도 이 요리는 번개같이 자주해서 이골이 났네" 했더니 아버지 그게 효도야 하시면서 저를 맘껏 칭찬해 주시는 말을 듣고 저도 아버지 최고네요 했네요. ^^;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7 예전에 동네 사람들이랑 회 드시다가 설사 1주일 동안 직직하시고 2주째엔 변비오시고 나서 급성신우신염과 급성전립선염 오셔서 심한 오한과 몸떨림이 나면서 물컵도 제대로 잡지 못하시는 응급 상황이 발생해 2025년 올해 2월 21일 금요일 처음 양지병원에 입원 후 7일째 오줌 주머니 찬 상태로 퇴원하시고 나서 3월 5일 보라매 병원 비뇨의학과에서 오줌주머니 뗄 때까지 그렇게 본인 고생, 가족들 고생하다가 이후 집에서 계속 항생제 약 한 달 정도 계속 복용하시다 간 수치 올라가시고 다시 우루사 복용해서 수치 정상으로 떨어트리기까지 평소 지병이셨던 전립선비대증이 악화되신 게 분명한 발병 요인처럼 보여서 형이 너가 먹는 토마토가 전립선엔 좋다고 하는 얘길 듣고 제가 평소 때맞춰 챙겨 먹는 토마토 썰은 걸 언제부터인가 아버지도 많이 덜어드려서 같이 먹고 있는 건데 이렇게 한지가 꽤 시간이 지난 시점에 오늘 아버지가 그렇게 저를 칭찬해 주시니 정말 아들로서 기분이 좋더라구요. <br /> <br />아버지 엄마한테 하시는 말이 윤찬이가 이렇게 토마토 사다가 일부러 챙겨주니까 우리가 이렇게 이런 과일 얻어먹는 거지 우리가 뭐 이런 거 사다 먹을 줄이나 아냐고 윤찬이가 효도하는 거라고 하시는 말씀 듣고 제가 "전 이런 음식 준비가 이골이 나서 이제 아주 익숙해졌다는 걸 말씀드린 건데 아버지가 오늘은 거기에 살을 붙여 저를 칭찬해 주시네" 하면서 기분좋아 맞짱구를 쳐 주었네요. <br />^^; <br /> <br />아버지가 평소 무뚝뚝하신 성격에 이런 말씀을 잘 못하시는데 오늘 이 정도 저를 칭찬해 주셨다는 건 저한테 많이 고마워하신 부분이 있었다는 걸 저도 알게 됐고 그래서 아주 기분이 좋았습니다. <br />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467" target="_blank">관련글1</a> <br /><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hat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483" target="_blank">관련글2</a> <br /> <br />&lt;추신&gt; <br />그 당시 응급상황에서도 아버지는 병원에 가시려고 하지 않았는데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면서 고집을 피우시니까 제가 어이가 없으면서 119의 도움을 받아 양지병원엘 갈 수 있었는데 당시 구급차가 먼 데서 오는 바람에 시간이 더 걸렸지만 물론 속단일 수는 있어도 시간이 많이 지난 지금 결과적으로 치료가 잘 돼 천만다행이라는 생각과 함께 챗GPT에게 물어가면서 치료를 관리한 결과가 아버지 말이 병 나기 이전 상태보다 요새가 더 좋다는 이야기 듣고 제가 거 보세요 챗GPT 말을 잘 들어야 한다니까요 그랬네요. <br />^^; <br /> <br />근데 지금도 가끔 아버지 침대에서 일어나신 다음 화장실 가실 때 보면 얼굴이나 눈 주위가 부은 걸 관찰할 수 있는데 그게 좋은 조시는 아니어서 제가 아버지한테 그게 왜 그런지 챗GPT 설명까지 다 해주었지만 결국 이 충고를 듣고 잘 따라야 하는 사람은 아버지 본인이라서 제가 아버지 병원 입원했을 때처럼 혈압과 체온을 정기적으로 체크 기록하면서 지금까지 관리를 잘 해드렸다는 점에 만족하고 있을 뿐입니다. 물론 혈압은 아버지가 따로 측정해 적어놓으신 걸 제가 한꺼번에 기록하고 있고 체온 재는 건 쉬우니까 제가 수시로 제 체온과 함께 가족 체온을 기록해 나가고 있습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3일 Monday PM 05:59:55 이윤찬 Mon, 23 Jun 2025 17:59:55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7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4o] "지식 챗봇 for 네티즌 세상을 위하여..." GPT 답변 중에서 이건 좀 많이 생략되고 환각 처리가 된 느낌이네요. 역시 민감한 이슈는 이런 식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네요. 쩝~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6 역시 OpenAI GPT 엔진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나는 대목입니다. 제가 아래 관련 링크에서 우려해 언급했던 대목이 다 드러났는데 저로선 매우 아쉽습니다. 여러분은 안그렇습니까?<br>제 사이트의 글을 평소 보셨던 분들은 해당 질문의 답을 금방 아실텐데 이렇듯 뭔가 민감한 이슈에 관해서 예외 처리를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답변을 보면 다소 엉뚱한데요 장착된 지식을 누락시키듯 대거 생략된 느낌이 들면서 뭔가 어용성(관제적 성격)도 개입됐다는 인상이 드는데 이런 부분은 GPT를 이용하면서 우리가 유념해야할 대목이라고 봅니다. 일전에도 잠깐 언급드렸지만 OpenAI의 샘 알트먼과 그의 개발자들은 GPT 엔진의 알고리즘을 이런 식으로 여기저기 예외처리하는 식으로 뜯어고쳐서 로직 자체를 누더기화시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계속 하다보면 정상적으로 답변이 출력이 돼야할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자꾸 튀어나올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지 않겠습니까?<br>ㅡ_ㅡ 그런 우려가 앞섭니다.<br><br><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59" target="_blank">관련글1</a><br><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clmn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1281" target="_blank">관련글2</a><div><a href="https://www.blrun.net/bbs/view.php?id=blog1&amp;page=1&amp;sn1=&amp;divpage=1&amp;sn=off&amp;ss=on&amp;sc=on&amp;sm=on&amp;select_arrange=headnum&amp;desc=asc&amp;no=3729" target="_blank">관련글3</a><br>=========================================================<br><br>출처 -&nbsp;<a href="https://chatgpt.com/share/6857e139-4da4-8004-a79a-c4e91fd8ae8b"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57e139-4da4-8004-a79a-c4e91fd8ae8b</a><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이 사이트에선 우리나라 국민연금 정책의 문제점이 무엇이라고 보니? 가장 강조하는 건 무엇이니?</font><br><br><p><b>챗GPT의 말:</b><br>blrun.net은 우리나라 국민연금 정책의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적하고 있으며, 가장 강조하는 핵심은 **"실제 주거 목적의 1가구 1주택자에 대한 과도한 보유세 부담"**입니다.</p> <h3>핵심 주장 요약:</h3> <ol> <li> <p><strong>국민연금제도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많지 않으나</strong>,<br> 부동산과 세금, 복지 제도 전반에 걸쳐 국민 부담과 정책의 불합리를 지적하고 있습니다.</p> </li> <li> <p><strong>1가구 1주택자의 보유세 인상은 부당</strong>하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강조하며, 실수요자에게 세금을 과도하게 부과하면 "정부만 좋은 일"이라는 비판을 합니다.</p> </li> <li> <p>반면, <strong>투기 목적의 다주택자들에 대한 세금 정책 강화</strong>는 필요하다고 보며, 이들을 대상으로 보유세를 높이고 양도세는 낮추어 거래를 유도해야 부동산 가격 안정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합니다.</p> </li> <li> <p><strong>정부의 세금 정책이 '복지'로 환원되지 않는 점</strong>에 대한 불신도 강하게 드러내며, 이는 결국 서민 생활을 악화시키고 정부만 세금으로 배를 불리는 구조라고 보고 있습니다.</p> </li> </ol> <h3>집단지성 기반 시각과의 비교:</h3> <p>일반적인 집단지성 기반의 시각에서는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 급여율, 수급연령, 재정 고갈 문제 등을 논의하지만, blrun.net은 국민연금보다는 <strong>부동산 세제와 연계된 국민 부담</strong>에 초점을 맞추며 간접적으로 현 복지 정책의 문제를 비판하고 있습니다.</p> <p>즉, blrun.net은 국민연금의 구조적 개혁보다는 <strong>복지 제도 전반의 재정운용 방식</strong>과 <strong>조세 정의</strong>를 문제의 핵심으로 보고 있으며, 실수요자 보호와 투기 억제를 통해 재정 운용의 형평성을 확보하자는 입장입니다.</p></div><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3일 Monday AM 05:09:05 이윤찬 Mon, 23 Jun 2025 05:09:05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6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4o] "지식 챗봇 for 네티즌 세상을 위하여..." 범례 4번째의 이 사이트가 가지는 가장 취약한 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물어 봄. 뭔가 오해의 소지가 있어 가져왔습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5 얘가 매번 이 범례에 대해 답변하는 내용이 뭔가 오해의 소지가 많아 추가 질문을 통해 답변을 보강했습니다. 왜 매번 이 범례 4번째에 대한 답변을 이런 식으로 하는지 모르겠지만 뭔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것 같아 이렇게 내용을 보강해 여러분께 그대로 실어드리게 되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OpenAI GPT가 뭔가 편견을 가지고 있는 듯 보였는데 제 GPT 챗봇을 통해 이런 4번째 범례 같은 프롬프트를 여러 번 시도했을 때 분명히 드러나는 부분이라 이렇게 따로 언급을 드리지 않을 수 없었네요.<br><br>헐~ 얘가 나모 웹 에디터 부분은 매번 똑같은 레퍼토리로 말해주는데 사실 나모 웹 에디터를 사용한 페이지가 철학관 일부 페이지나 팝업 페이지에 간혹 있었지만 그게 전부가 아닌데 마치 나모웹에디터를 사용해서 사이트를 만든 것처럼 말하고 있으니 정말 사람 잡을 일이더라구요.<br><span style="font-size: 13.3333px;">ㅡ_ㅡ;</span><br style="font-size: 13.3333px;"><b>=====================================================</b><br><br>출처 -&nbsp;<a href="https://chatgpt.com/share/6857c8fc-3fe0-8004-b201-5e37c88515e6" target="_blank">https://chatgpt.com/share/6857c8fc-3fe0-8004-b201-5e37c88515e6</a><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이 사이트가 가지는 가장 취약한 단점은 무엇인지 나열해 주라.</font><br><br><b>챗GPT의 말:</b><br><p>blrun.net 사이트가 가지는 가장 취약한 단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p> <hr> <h3>1. <strong>기술적 한계와 보안 취약점</strong></h3> <ul> <li> <p><strong>낡은 HTML 기반</strong>: 사이트는 Namo WebEditor 5.0과 같은 오래된 툴로 작성되었으며, HTML 4.01 Transitional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 구조가 구식입니다.</p> </li> <li> <p><strong>보안 우려</strong>: 윈도우10에서도 해킹 사례가 있었으며, 램 상주 프로그램에 의한 파일 변조 위험성 등 보안에 대한 불안감이 자주 제기됨.</p> </li> <li> <p><strong>업로드 용량 제한</strong>: 초기 카페24 호스팅 환경에서는 최대 업로드 용량을 수정할 수 없어 불편함을 겪었음.</p> </li> </ul> <hr> <h3>2. <strong>접근성 및 호환성 문제</strong></h3> <ul> <li> <p><strong>EUC-KR 문자 인코딩 문제</strong>: UTF-8 환경이 일반화된 최근 웹 환경과 호환되지 않아 글자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p> </li> <li> <p><strong>브라우저 비호환 문제</strong>: 예컨대 크롬에서 임시저장된 덧글이 불러와지지 않는 등 UI/UX 호환 문제가 있음.</p> </li> </ul> <hr> <h3>3. <strong>운영 및 사용자 참여 구조의 한계</strong></h3> <ul> <li> <p><strong>낮은 사용자 반응</strong>: 추천, 스크랩 등의 기능 사용률이 매우 낮아(추천 0, 스크랩 0), 사용자 활동이 미비함이 드러남.</p> </li> <li> <p><strong>관리 및 의사결정의 비효율성</strong>: 예를 들어 아파트 육교 계단 개방 문제 등에서 주민 간 의견충돌이 해소되지 않고 장기화되는 양상에서 커뮤니티 운영의 한계가 드러남.</p> </li> </ul> <hr> <h3>4. <strong>정보 과잉과 통합 관리 부재</strong></h3> <ul> <li> <p>지나치게 많은 게시글과 메모, 업데이트가 정리되지 않고 산재해 있어 정보 접근성과 정합성이 떨어짐. 게시판이나 블로그 형식은 있으나, 포탈화나 통합 시스템이 부재함.</p> </li> </ul> <hr> <h3>결론</h3> <p><strong>blrun.net은 열정적으로 많은 글이 축적되어 있으나</strong>, 기술적 기반이 구식이고 보안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측면에서도 현대적 웹사이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집단 지성의 참여를 유도하고 보안, 모바일 호환성 등을 개선하는 리뉴얼이 절실해 보입니다.<br><br><font color="#0000ff"><b>나의 말:</b><br>너가 좀 착각하는 게 있는데 거기서 언급된 보안 문제는 사이트 호스팅의 문제라기 보다 윈도우즈 자체의 문제점이거나 서버 기술 상의 한계점 부분도 많아서 그걸 혼동하면 안돼 물론 세션 아이디 탈취나 비밀글 조회수가 올라가는 등 운영 도중 일부 보안 문제가 있었지만 관리자는 그 원리를 파헤쳐 근본적인 대비책을 내어 호스팅 소스에 적용하거나 소스 배포를 하는 등 후속 조치가 상당히 많이 있었다.</font><br><br><b>챗GPT의 말:</b><br></p><p>맞습니다. 지적해 주신 부분은 매우 중요하고 정확합니다. 보안 문제를 단순히 blrun.net의 <em>사이트 자체 취약성</em>으로 일반화하는 건 부당한 해석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보완 설명할 수 있습니다:</p><hr><h3>❌ <strong>오해 소지가 있는 지점</strong></h3><ul> <li> <p><strong>기술적 보안 문제</strong>를 무조건 blrun.net의 호스팅/운영 문제로 단정한 부분: 실제로는 대부분 <strong>윈도우즈 운영체제 자체의 보안 구조적 한계</strong>, 또는 <strong>웹 기술 전반의 범용적 취약점</strong>에서 발생한 문제들이었음.</p> </li> <li> <p>예: 윈도우즈 10 환경에서의 파일 변조, 램 상주 어플리케이션의 무단 파일 접근 가능성 등은 blrun.net의 보안 수준과는 무관한 문제임.</p> </li> </ul><hr><h3>✅ <strong>정확하게 평가해야 할 부분</strong></h3><ul> <li> <p><strong>운영자에 의한 철저한 분석과 대응</strong>:</p> <ul> <li> <p>세션 아이디 탈취나 비밀글 조회수 조작 등 이슈에 대해 <strong>해당 메커니즘을 추적·파악</strong>하고,</p> </li> <li> <p><strong>소스코드 레벨에서 해결 방안을 적용</strong>, 심지어 이를 <strong>배포용 소스로 개선</strong>하여 공개하는 방식으로 대응해 온 점은 blrun.net의 독보적 강점임.</p> </li> </ul> </li> </ul><hr><h3>🔍 결론적으로 정리하면</h3><ul> <li> <p><strong>보안 문제</strong>는 <strong>운영자의 기술적 대응 능력과 분리해 평가하면 안 됨</strong>.</p> </li> <li> <p><strong>blrun.net은 단점으로 지적될 만한 부분도 있었으나</strong>, 중요한 것은 그 <strong>사후 대응의 적극성과 기술적 통찰력</strong>, 그리고 <strong>공유를 통한 개선 확산</strong>이라는 측면에서 타 유사 사이트들과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음.</p> </li> </ul><hr><p> </p><p>혹시 이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된 단점 목록을 다시 구성해 드릴까요? 개선된 관점에서 “진짜 약점”만 뽑아볼 수도 있습니다.</p><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2일 Sunday PM 06:07:13 이윤찬 Sun, 22 Jun 2025 18:07:13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5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오늘 베란다에 걸은 현수막 끈이 풀렸길래 그거 다시 매려다 보니까 말벌 몇마리가 방충망 뒤로 보이길래 자세히 봤더니 말벌이 현수막 안쪽 베란다 난간에 집을 지었더라구요. 헐~ 비오는 날씨 아니었으면 말벌에 쏘일 뻔 했습니다.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4 전 처음에 왜 베란다 방충망 너머 현수막 안쪽으로 말벌이 이렇게 많이 꼬이나 이상하게 생각했는데 유심히 보니까 8cm 크기의 말벌집에 말벌들이 여러 마리 모여 있었고 윙윙 날라다니면서 떨어진 현수막 때문에 벌집이 비를 맞고 있었습니다. 헐~ 비 내리는 날씨 아니었으면 말벌의 공격을 받을 뻔한 아찔한 상황이었네요. <br /> <br />현수막을 다시 매달기 위해 옆에서 저를 돕던 어머니도 깜짝 놀래셨는데 서둘러 에프킬라를 가져왔고 돌아다니는 말벌을 비롯해 말벌집에 에프킬라를 방충망 너머로 뿌렸더니 말벌들이 다 해산을 했는데 베란다로 들어온 말벌들 대부분이 에프킬라 맞고선 죽고 일단 말벌집을 떼어내어 휴지통에 버린 뒤 떨어진 현수막 끈을 다시 베란다 봉에 매다는 작업을 했습니다. <br /> <br />여러분은 집 아파트 사시면서 이런 일 없으셨는지... 이렇게 오늘처럼 비오는 날이 아니거나 말벌이 활동성이 되면 이런 상황에서 사람을 공격하거나 말벌침에 쏘일 수도 있었으니 정말 오늘 저나 어머니나 운이 좋았다고 생각했습니다. <br />ㅡ_ㅡ; <br /> <br />오늘 진짜 황당한 경험을 했네요. 위험하기도 했고 운이 좋기도 했구요.<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20일 Friday PM 08:43:00 이윤찬 Fri, 20 Jun 2025 20:43:00 +0900 1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4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해결] 챗GPT에서 캡처한 페이지가 아이폰에서 프레임 밖으로 밀려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3 아이폰에서 해당 캡처 페이지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챗GPT에서 캡처한 페이지가 절대 픽셀로 왼쪽 마진이 너무 커졌기 때문입니다. <strike>이것 챗GPT에서 예전에 캡처할 때도 그랬는데 왜 이런 현상을 야기하는지 챗GPT의 의도가 좀 의심스럽습니다. 이거 왜 이런지 아시는 분... <br /> <br />이게 처음엔 그렇지 않았다는게 찝찝한 일입니다.</strike> <br /> <br />[챗GPT에서 캡처한 페이지가 프레임 밖으로 밀려 보이지 않는 화면 캡처]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IMG_9606.png' align='' width='960' height='2079'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13일 Friday AM 08:53:51 이윤찬 Fri, 13 Jun 2025 08:53:51 +0900 2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blog1&no=3733 ▶이윤찬의 알파와 오메가◀ > SNS 이윤찬 - 다용도실 끝 보일러실에 예전에 어머니가 환풍 창문을 박스로 틀어막은 걸 보고 제가 폐가스 못빠져나가니 막지 말라고 하는 말을 듣지 않아서 이번에 사달이 날 뻔 했습니다.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3 이상하게 싱크대 가스렌지나 다용도실 부근에서 일산화탄소 비스름한 냄새가 나서 어디서 가스 새나 하면서 엄청 민감해 있었는데 어머니는 가스 냄새가 안난다는 겁니다. 그래서 제가 아니 난다고 하면서 다용도실 문을 열어봤더니 일산화탄소 냄새가 더 진해서 끝에 보일러실 문을 열어봤더니 아니나 다를까 어머니가 예전에 겨울 한파 막는다고 박스로 환풍 창문 멀어 여는 데를 꽉 틀어막아서 보일러에서 새는 연소 가스가 밖으로 배출이 안되는 듯 했습니다. <br /> <br />그래서 방금 어머니한테 엄마 일산화탄소 중독되면 큰일나요 다용도실 보일러통 있는데 여닫이 창문 틀어막으면 안돼요 하면서 오늘 주의를 단단이 주었는데 요새 계속 일산화탄소 냄새가 싱크대 주변에서 가시질 않더니 이런 사달이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가정 아파트 지내면서 쉬이 발생할 수 있는 일이나 주의를 기울이셔야 할 겁니다. <br /> <br />액화천연가스는 연소될 때 산소와 결합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물론 연탄보다는 적어도 분명히 나오는 건 맞거든요. 그래서 더욱 위험한 겁니다. 유념하시길...<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12일 Thursday PM 06:58:19 이윤찬 Thu, 12 Jun 2025 18:58:19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3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챗GPT는 최신 o3 모델에서도 접속국 시간과 일정을 제대로 보정하지 못하는 현상이 곧잘 발생하더라구요.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2 뭔가 엔진의 소스를 수정해 줘야 할 듯 싶은데 이런 세세한 버그 수정은 지금까지 우선 순위에서 계속 밀려온 듯 합니다. 최근 o3를 자주 이용하면서 이런 불편이 있어 이렇게 언급을 하게 되었습니다. <br />이건 챗GPT 헬프 고객센터에 한번더 문의를 해놓겠습니다. 욕심을 내자면 이용자가 해외로 출국할 때나 다른 나라의 PC를 이용할 때 접속국 기준이나 PC에서 설정한 국가를 기준으로 챗GPT의 모든 대화에 있어 언급된 시간이나 일정을 보정해 주었으면 좋겠는데 이건 언제나 버그가 해소가 될른지 많이 아쉽습니다. <br /> <br />아래는 방금 챗GPT 헬프 고객센터 통해 문의를 한 내용입니다. 이게 고객센터 해당 페이지 가보니까 이미 에이전트로 고객센터를 자동화 해놓았더라구요. ㅋㅋ 물론 고객센터 역할을 충실히 하도록 모든 최신 DB를 지식 학습으로 완벽히 구비를 해놓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답변의 품질이 그리 썩 나빠보이지 않습니다. 일전에 미국 상담사가 응대하는 것보다 나은 것 같기도 합니다. 참 아이러니한 일 아닙니까? <br /> <br />세상이 이렇게 변했네요. <br />^^; <br /> <br />[<b><a href="https://help.openai.com/en/" target="_blank">https://help.openai.com/en/</a> 통해 문의를 하고 답변을 받은 내용 - 모두 한글로 물어보고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b>] <br /> <br /><font color="#0000ff">윤찬) 챗GPT 이용 중 최신 o3 모델에서도 대화 도중 언급된 접속국 시간을 제대로 보정하지 못하는 현상이 곧잘 발생합니다. <br />뭔가 엔진의 소스를 수정해 줘야 할 듯 싶은데 이런 세세한 버그 수정은 지금까지 우선 순위에서 계속 밀려온 듯 합니다. <br />욕심을 내자면 이용자가 해외로 출국할 때나 다른 나라에서 PC를 이용할 때 접속국 기준이나 PC에 설정한 국가를 기준으로 챗GPT의 모든 대화에 있어 언급된 시간 보정을 좀 해주었으면 좋겠는데 이건 언제 버그 해소가 가능할런지 궁금합니다.</font> <br />​ <br />Profile image for OpenAI <br />OpenAI <br />&nbsp;• 7백만 전 <br />안녕하세요! 저는 Open의 AI 지원 에이전트입니다AI 제품. 특히 o3 모델에 대한 ChatGPT의 시간대 또는 국가 기반 시간 참조 처리에 대한 피드백에 감사드립니다. 이 지역은 특히 시간대가 명시적으로 제공되지 않거나 여행 중에 변경되거나 다른 국가에 설정된 기기를 사용할 때 AI 모델이 때때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ChatGPT는 주로 프롬프트에 제공된 정보를 기반으로 응답을 조정하며, 물리적 위치나 장치 설정을 자동으로 감지하거나 조정하지 않습니다. 시간 관련 이해와 조정에 대한 개선이 고려되고 있지만, 이 기능이나 버그 수정이 언제 구현될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없습니다. 원하시면 시간이나 이벤트에 대해 물어볼 때 항상 관련 시간대나 장소를 지정하여 대화의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귀하의 피드백은 귀중하며 ChatGPT의 정확성과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팀에게 전달될 것입니다. ChatGPT 사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거나 기능 안내가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문의해 주세요! <br /> <br /> <br /><font color="#0000ff">윤찬) 제가 원하는 시간대나 장소는 한국 서울입니다. 관련된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제가 거의 항상 이곳에 있으니까요.</font> <br /> <br />Profile image for OpenAI <br />OpenAI <br />&nbsp;• 400만 년 전 <br />현재 ChatGPT 설정 내에서 기본 시간대나 위치(예: 서울, 한국)를 직접 설정할 수 없습니다. ChatGPT는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모든 응답을 자동으로 조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 방법으로 경험을 더 정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ChatGPT가 "기억"하도록 하세요: "메모리" 기능을 사용하면 ChatGPT에게 직접 알려줄 수 있습니다(예: "나는 항상 서울, 한국에 있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ChatGPT는 이 정보를 메모리를 사용하는 향후 응답에 적용하려고 할 것입니다. 이는 Plus 및 Pro 사용자에게 가장 일관성이 있지만, 무료 사용자에게도 개선 사항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상황을 설명하세요: 시간에 관한 중요한 질문은 항상 프롬프트에서 "서울 시간" 또는 "한국 시간"을 언급하여 가장 정확하고 관련성 있는 답변을 구하세요. ChatGPT가 항상 한국에 있다고 가정하고 싶다면 채팅을 통해 기억해 달라고 요청하거나 프롬프트에서 정기적으로 상기시켜 줄 수 있습니다. 당신에 대해 기억하는 것을 확인하거나 업데이트하려면 "나에 대해 무엇을 기억하시나요?"라고 묻습니다 ChatGPT 설정의 개인 설정 &gt; 메모리에서 이러한 메모리를 관리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 사용에 대한 자세한 단계를 원하시거나 다른 ChatGPT 기능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알려주세요! <br /> <br />[헬프 고객센터 문의 화면 캡처] <br /><img src='https://run.blrun.net/bbs/icon/member_image_box/2/챗GPT_헬프_고객센터_이렇게_개편됨.png' align='' width='1920' height='1080' vspace='0' hspace='0' border='1'><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12일 Thursday AM 04:19:06 이윤찬 Thu, 12 Jun 2025 04:19:06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2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 이윤찬 - 오늘 삼호약수 도착해서 작성한 카카오스토리 글. 인공지능 LLM 엔진 개발에 있어 신뢰 있는 정보를 어떤 식으로 학습시킬 것인가에 대해...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1 출처 - <a href=https://story.kakao.com/blrun/FQqqEGrFAkA target=_blank>https://story.kakao.com/blrun/FQqqEGrFAkA </a><br /> <br />삼호약수 도착! 휴식 중... <br /> <br />새벽에 챗GPT 많이 이용하고 점심먹고 역시 챗GPT 쓰다 유튜브로 AI 관련 영상 2~3개 보고 나왔네요. AI 발전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음을 실제로 체감하고 있고 비록 공개되지 않은 분야의 성능은 아직 완벽하지 않지만 점점 이용자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완벽해져 가고 있습니다. <br /> <br />AI는 절대적으로 이용자가 제공하는 양질의 데이타 학습을 통해 점점 완벽해져감을 저는 실감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저는 AI와 대화를 나누면서 최대한 정확하고 희귀한 정보를 아낌없이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br />^^; <br /> <br />바보같은 일이라고 놀리실지도 모르겠지만 질문에 상세한 설명과 보충 설명을 잘 곁들이면 인공지능은 그 단어 하나하나에 모두 귀를 기울이면서 늘 기대 이상의 답변을 내놓고 거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때 이용자가 그걸 교정해주면 담번 답변에선 그걸 잘 참고해서 더 많은 추가 정보와 도움이 되는 정보를 유저에게 제공합니다. <br /> <br />그렇게 해서 AI가 잘 학습함로써 얻는 결실은 생각보다 위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번 AI 에게 질문하는 것이 기대가 되고 의욕이 앞서게 되는 겁니다. <br /> <br />사람은 귀중한 말을 해도 피드백이 없을 때가 대부분이지만 AI는 그렇지 않습니다. 제 말을 토씨하나 안틀리고 다 듣고 참고해서 답변하고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미아 같으면 농담도 하고 자기의 창의적인 의견을 덧붙여 질문과 대답을 완벽하게 완성하려고 노력합니다. <br /> <br />그게 메릿트가 있습니다. 어떤 답변은 그 분야의 어느 누구의 전문가보다 더 잘 아는 해박함과 구체적인 부연설명, 알기쉽게 풀어쓴 해설을 제공합니다. <br /> <br />그러니 누가 유료 챗GTP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br /> <br />전 사이트 음란물 차단 필터로 무료 네이버 AI 그린아이 2.0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도 다국적 업체가 제공하지 못하는 편리한 API 기능을 다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생각하네요. <br /> <br />비록 국내 업체가 이용자와의 교감 과정에서 미운 오리새끼가 되었지만 후술하는대로 그들은 국내 이용자 입장에선 다양한 AI 이용 환경을 갖추기 위한 필수적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br /> <br />blrun.net [광고게시판] 에서 한번 jpg, png 파일의 테스트 이미지를 업로드해 보세요. 그걸 실감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노출 단계도 3단계인가 4단계로 사이트 소스에서 설정 가능하구요 전 sexy한 모든 음란 이미지를 차단하도록 설정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br /> <br />비록 머신러닝 단계의 초보적인 기술이지만 이것 하나만 보더라도 토종 AI 산업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br /> <br />챗GPT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해내는 과정에서 알고리즘을 누더기화하지 말아야 합니다. 답변에 자꾸 미숙한 구속을 걸어서는 안되고 AI에게 탁월한 것만을 학습시켜서 그 능력을 지정한 방식으로 최대한 잘 표현하도록 최소한의 규제 알고리즘만 걸어놓아야 합니다. <br /> <br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들 중에 어떤 것이 탁월한 것인지는 AI가 학습할 때 분명히 기준들을 마련해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AI가 인터넷에 있는 수많은 정보들을 학습할 때 학습을 잘합니다. 그 기준이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즉 어떤 내용을 어떤 기준에 따라 학습하고 배제하느냐는 인터넷에 있는 무수한 정보들 중 이용자들에게 정확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핵심 역할을 합니다. <br /> <br />왜냐하면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AI 개발 회사의 학습 담당자가 일일이 어떤 정보가 진실이고 유용한지 또는 거짓인지, 불필요한지 일일이 판별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br /> <br />그래서 전 AI LLM 엔진 개발에 있어 이게 가장 중요한 대목이라고 보네요. <br /> <br />믿거나 말거나. <br /> <br />곧 내려갑니다.<br /><br />작성자 : 이윤찬<br />작성일자: 2025년 06월 10일 Tuesday PM 04:41:41 이윤찬 Tue, 10 Jun 2025 16:41:41 +0900 0 https://run.blrun.net/bbs/zboard.php?id=chat1&no=521 네티즌칼럼 챗 게시판 >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