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제로보드를 새 계정에 옮기고 나서는 먼저 www/bbs/myZrCnf2019.php 파일안의 정보를 적절하게 수정해 준다. 두번째 줄은 DB 유저네임, 세번째 줄은 DB 유저 패스워드, 네번째 줄은 DB 이름이다. 리눅스에서 myZrCnf2019.php 파일의 chmod 속성은 604(-rw----r--)로 바꿔주세요. 0.3 /index.php 파일 14, 15행 쯤, /m/index.php 파일 14, 15행 쯤 이미지와 경로를 확인한다. (나중에 버전업을 위해 파일명은 그대로 사용하고 이미지 파일만 교체해 사용해도 된다) 0.4 /main.php 파일, /main2.php 파일 20행 쯤 이미지와 경로를 확인한다. (나중에 버전업을 위해 파일명은 그대로 사용하고 이미지 파일만 교체해 사용해도 된다) 0.5 lib.php 파일의 341행 쯤의 @mysqli_query($connect, "set names utf8mb4"); 에서 DB 캐릭터셋을 확인한다. 0.7 lib.php 파일의 457행, 458행, 522행, 523행 쯤의 이미지와 경로를 확인한다. (나중에 버전업을 위해 파일명은 그대로 사용하고 이미지 파일만 교체해 사용해도 된다) 0.9 lib.php 파일의 609행 $target 변수는 aanalyzer 를 설치해 새로 통계를 작성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3. https 보안서버인증서를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는 잘못 저장된 www/bbs/include/get_url.php 파일의 url 정보를 일반 url로 모두 수정해 사용한다. (ssl url 정보도 모두 일반 url로 설정한다. 단 보안서버인증서 이용자는 설치시 입력했던 포트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3.5 https 보안서버인증서를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는 잘못 저장된 www/bbs/script/get_url.php 파일의 url 정보를 일반 url로 모두 수정해 사용한다. (ssl url 정보도 모두 일반 url로 설정한다. 단 보안서버인증서 이용자는 설치시 입력했던 포트 번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4.5 www/bbs/admin/dbDump.php 파일 138행 쯤 "bin/" 를 우분투에서는 "/bin/" 으로 고쳐줘야 DB가 제대로 루트 폴더에 생성이 된다. 리눅스 서버에선 수정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4.7 www/bbs/admin/dbDump.php 파일 137행 설명대로 cafe24에선 139행의 passthru("mysqldump~"); 명령을 그대로 쓸 수 있지만 일부 서버에선 예전의 보안 설정이 적용돼 있어 passthru($bindir."mysqldump~"); 와 같이 수정해 주지 않으면 크롬에서 관리자메뉴의 "DB 백업" 을 클릭했을 때 www 폴더에 호스팅 전체 백업 파일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참고 바랍니다. (해당 폴더에 가보면 크기가 0인 백업 파일이 생성되므로 주의!) 5. www/rss/old_rss2/ 폴더 안의 zero_rss.php, www/rss/old_rss3/ 폴더 안의 index.php 파일 54행의 이미지와 경로를 확인한다. (나중에 버전업을 위해 파일명은 그대로 사용하고 이미지 파일만 교체해 사용해도 된다. rss 사용법은 old_rss 폴더안의 파일들을 www/rss 루트 폴더로 이동시켜 한가지만 사용하면 된다) 5.5 www/bbs/setup.php 파일 10행 쯤 url 정보를 수정해 준다. (이건 수정하지 않아도 수정증보판을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다) 7. lib_ajax.php 파일의 252행 쯤의 @mysqli_query($connect, "set names utf8mb4"); 에서 DB 캐릭터셋을 확인한다. ※ 회원중에 sprdrg 란 아이디를 만들어 레벨 9의 게스트 계정을 만들고 회원가입한 분들을 레벨8로 설정하면 로그인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게스트 계정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 또 bbs/skin 디렉토리 안에 있는 폴더명은 변경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부득이하게 웹소스 내에서 폴더 스킨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코드가 있어서 변경을 하게 되면 일부 기능에서 오동작을 하게 됩니다.